$\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
Faunal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Macrozoobenthos in the Tidal Fla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v.5 no.2, 2020년, pp.81 - 91  

서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최진우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신경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평형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 울타리섬 주변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과 2017년 5월에 신자도, 진우도, 을숙도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31~39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서식밀도는 789~1,644 ind.m-2의 범위를 보였다. 출현종수는 신자도에서 가장 높았으나, 서식밀도는 신자도에서 가장 낮았고, 진우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은 갑각류의 Gammaridae unid., 다모류의 Scoletoma heteropoda, Scoloplos armiger,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japonica, 연체동물의 댕가리(Batillaria cumingii), Laternula marilina 등이었다. 세 지역 모두 갯벌의 상부지역에서는 갑각류와 연체동물의 비중이 높았고, 하부로 갈수록 다모류의 비중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육식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니질 퇴적물의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는 퇴적물 안정화에 기여하는 tube-builder가 속한 표층 퇴적물 식자의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모래갯벌의 대형저서생물상은 국내 다른 하구 모래갯벌이나 조간대 모래갯벌의 생물상과 유사한 종조성과 분포양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faunal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where the sand tidal flat around barrier island at Nakdong River estuary in May, 2016 and 2017. The number of species ranged from 31 to 39, and density was from 789 to 1,644 ind.m-2 during the study per...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9)

  1. Barbier EB, Hacker SD, Kennedy C, Koch EW, Stierand AC, Silliman BR. 2011. The value of estu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Ecol Monogr 81: 169-193. 

  2. Bolam SG, Fernandes TF. 2002. Dense aggregations of tube-building polychaetes: response to small-scale disturbances. J Exp Mar Biol and Ecol 268: 197-222. 

  3. Feebarani J, Joydas TV, Damodaran R, Borja A. 2016. Benthic quality assessment in a naturally-and human-stressed tropical estuary. Ecol Indicators 67: 380-390. 

  4. Jeong S-H, Khim B-K, Kim B-O, Lee S-R. 2013. Shoreline-changes rates of the barrier island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SPOT-5 image. Oce Pol Res 35: 1-14. 

  5. Jeong SH. 2013. Study on the rate of shoreline changes for barrier islands in Nakdong River Estuary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master's Thesis). 

  6. Khim B-K, Kim BO, Lee SR. 2009. Variation of the textural parameters of surface sediments between spring and fall season on the Jinu-do beach, Nakdong River estuary. Korean Soc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1: 444-452. 

  7. Kim S-Y, Ha J-S. 2001.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J Korean Fish Soc 34: 268-278. 

  8. Kim, WH, Lee HH. 1980.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the Nagdong estuary. Korea. J Geol Soc Korea 16: 180-188. 

  9. Koo BJ, Shin SH, Woo HJ. 2005.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in subtidal area and on sand flat of Sindu-ri coast, Korea. J Korean Wetland Soc 7: 69-88. 

  10. Lee H-G, Lee J-H, Yu OK, Kim C-K. 2005.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7: 135-148. 

  11. Lim H-S, Lee J-Y, Lee J-H, Shin H-C, Ryu J. 2019.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the three estuaries of South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4: 106-127. 

  12. Park S, Lee J, Choi JU, Heo N, An S. 2016. Study on the long-term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benthic ecology and evaluation on effect of the barrage in Nakdong River estuary. J Wetland Res 18: 58-67. 

  13. Seo J-Y, Kim J-H, Choi J-W. 2016.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21: 112-124. 

  14. Seo J-Y, Kim J-H, Choi J-W. 2018a.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s of Corbicula japonica populations inhabiting at the subtidal estuary of the Seomjin River and the intertidal Eulsuk sand flat of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J Malacol 34: 135-145. 

  15. Seo J-Y, Kim J-H, Choi J-W. 2018b.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during recent summer seasons at the Bongam sand tidal flat of Masan Bay,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6: 626-637. 

  16. Seo J-Y, Kim J-H, Chung JM, Lee YS, Choi J-W. 2017. Distribution patterns of a marsh clam, Corbicula japonica on the Eulsuk tidal fla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Malacol 33: 185-193. 

  17. Smallegan SM, Irish JL, Van Dongeren AR, Den Bieman JP. 2016. Morphological response of a sandy barrier island with a buried seawall during Hurricane Sandy. Coastal Engineering 110: 102-110. 

  18. Swinbanks DD, Murray JW. 1981. Biosedimentological zonation of Boundary Bay tidal flats, Fraser river Delta British Columbia. Sedimentology 28: 201-237. 

  19. Yoon EC, Lee JS. 2008.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 to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J Korean Soc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0: 372-3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