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해양 오염 추적 모의 실험 방안에 대한 연구
Simulation Approach for the Tracing the Marine Pollution Using Multi-Remote Sensing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2 pt.2, 2020년, pp.249 - 261  

김근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김의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최준명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신지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김원국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광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센터) ,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특성연구센터) ,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중 플랫폼/센서를 활용한 연안 모니터링은 연안 해양환경 변화와 다양한 재해/재난을 높은 시공간 해상도로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다중 플랫폼과 센서를 복합적으로 이용한 통합 관측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고, 통합 관측을 통한 효율성, 융합 한계성 등에 대해 평가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센서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통합 관측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용성과 한계점을 진단하였다. 다양한 해양 재해, 재난을 모사하기 위하여 Rhodamine WT (RWT) 형광염료를 이용하여 통합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2019년 9월 남해-여수 해역에 형광염료를 주입 후 위성(Kompsat-2/3/3A,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 (OLI), Sentinel-3 Ocean and Land Colour Instrument (OLCI), GOCI), 무인항공기 (Mavic 2 pro, Inspire 2), 유인항공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염료 패치의 분포와 이동을 탐지하였다. 형광염료 주입 초기 패치 규모는 2,600 ㎡ 이었고, 약 138분 후 62,000 ㎡ 규모까지 확산되었다. RWT 패치는 처음 주입된 지점으로 부터 점차 남서 방향으로 이동하였고, 이는 현장 모의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조위(고조: 7시 7분(286 cm), 저조: 13시 9분(73 cm))가 점차 낮아짐에 따라 조석이 남동 방향으로 흐르는 것과 유사하였다. 무인항공기 영상은 공간해상도와 시간해상도 측면에서 가장 높은 해상력을 보인 반면 탐지 영역이 가장 좁았다. 위성의 경우 탐지 영역은 넓었지만 재방문 주기가 길기 때문에 운용성 측면에서 타 플랫폼과 비교하여 다소 한계가 있었다. 또한 Sentinel-3 OLCI와 GOCI의 경우 분광해상도와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높았지만 소규모 형광염료 탐지에는 공간해상도 측면에서 제한적이었다. 유인항공기에 탑재된 초다분광 영상의 경우 분광해상도가 가장 높았지만 이 역시 운용성 측면에서 다소 제한적이었다. 다중 플랫폼 통합관측 연구를 통해 시간과 공간뿐만 아니라 분광 해상력 증가 향상을 확인 가능하였다. 향후 이 연구 결과가 연안 수치모델과 연계된다면 오염 물질의 이동확산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수치모델의 입력 및 검증 자료로 활용하여 모델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stal monitoring using multiple platforms/sensors is a very important tools for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offshore marine environment and disaster with high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s. However, integrated observation studies using multiple platforms and sensors are insufficien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동안 많은 연구에서는 단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해양 오염을 탐지,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각 플랫폼과 센서의 활용 가능성 및 정확도 등을 평가하였다. 반면 아직까지는 다양한 플랫폼을 동시에 투입하여 실험적인 결과를 보여준 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다중플랫폼을 활용한 통합현장조사를 기획하고 자료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토의하고자 한다. 2019년 9월 26일 수행된 다중플랫폼 통합현장조사에는 환경에 독성이 거의 없는 물질로 알려진 RWT 형광 염료를 해양에 주입 후 다양한 원격탐사 플랫폼(위성, 무인항공기, 유인항공기)을 이용하여 탐지 및 추적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 유인 항공기는 사전 결정된 형광염료 투하 지점 주변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였고, 남북 방향으로 지그재그 비행을 수행하면서 초다분광영상을 촬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과를 포함하지 않았지만 HF 해양레이더를 이용한 표층 해류를 생산하였고, RWT 형광염료의 수평 확산 뿐만 아니라 수직적 이동 확산 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심 별로 표류 부이를 투하하여 조류 영향을 관측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2종, 위성 6종, 유인항공기 등 다양한 플랫폼과 센서에 대한 자료를 획득 가능하였다. 하지만 날씨(구름, 바람 등)에 의해 활용되지 못한 플랫폼/센서(Kompsat-3/3A)를 제외하더라도 탐지 대상(RWT 형광염료)의 확산 규모를 미리 예측하지 못하여 공간해상도가 낮은 위성 센서인 GOCI와 Sentinel-3 영상은 활용이 불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안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관측 플랫폼과 센서를 활용한 해양 오염 탐지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 효용성을 시험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위성과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시간적, 공간적, 분광적 측면의 다중 플랫폼/센서 융복합 관측의 시너지 효과와 한계점 등을 진단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연안환경에 적조, 유류유출, 녹조, 괭생이모자반 등 다양한 해양 재해, 재난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형광염료를 해양 표층에 주입하였고, 최대한 많은 플랫폼을 활용하여 높은 시간 해상도와 공간 해상도로 탐지 및 추적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안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관측 플랫폼과 센서를 활용한 해양 오염 탐지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 효용성을 시험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위성과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시간적, 공간적, 분광적 측면의 다중 플랫폼/센서 융복합 관측의 시너지 효과와 한계점 등을 진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재해, 재난을 정확하게 탐지에 활용 가능한 플랫폼들은 무엇이 있는가? 위와 같은 다양한 해양 재해, 재난을 정확하게 탐지 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의 성능 평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플랫폼 별로 살펴보면, 위성 영상은 광역 조사가 가능한 장점과 주기적인 관측 정보 제공이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해양오염 발생시 빠르게 탐지 가능하고 오염 발생원에 대한 위치 추적 정보를 제공 가능하다(Kim et al., 2018; Wu et al., 2019). 무인항공기 의 경우 다양한 비행체의 개발과 관측 센서의 탑재 용 이성을 장점으로 중요 관측 지역 및 긴급 상황 발생지 역에 대한 정밀 관측자료 제공이 가능하다(Yue and Pan, 2019). 이외에도 관측 주기가 매우 짧은HF 해양레이더 를 이용하여 준실시간의 해양관측 정보를 제공 가능하고, 수상뿐만 아니라 수중 정보 수집이 가능한 이동형 수중무인기가 해양 관측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Maresca et al., 2014; Tonacci et al.
US-IOOS는 무엇인가?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 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고해상도로 수집 할 수 있는 다중플랫폼 기반 관측정보시스템을 구축하 는 것이 점점 더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미국 연안 해양 환경을 보호하기 해양 경제를 부흥시키며 안전을 도모 하기 위하여 연방과 지역, 학계 기업에서 획득되는 데 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통합 해양관측시스템(US-IOOS: Us-Integrated Ocean Observing System)을 구축하였다 (Thomas, 2003; Jochens et al., 2010).
체계적인 해양 감시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어업 활동과 해상 무역 활동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해상사고, 해양오염, 유류유출 등 해양 재해, 재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해양오염, 해양사고와 더불어 적조, 부유성 녹조(Ulva sp.), 갈조(Sargassum horneri) 등에 의한 조류 대발생 역시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어 해양 재해/재난에 따른 피해 저감 대책을 마련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해양 이용 및 효율 적 해양자원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해양 감시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Kim et al., 2019; Sh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lark, D.B., L. Lenain, F. Feddersen, E. Boss, and R.T. Guza, 2014. Aerial Imaging of Fluorescent Dye in the Near Shore,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31: 1410-1421. 

  2. Jochens, A.E., T.C. Malone, R.P. Stumpf, B.M. Hickey, M. Carter, R. Morrison, J. Dyble, B. Jones, and V.L. Trainer, 2010. Integrated ocean observing system in support of forecasting harmful algal blooms, Marine Technology Society Journal, 44(6): 99-121. 

  3. Jung, B.-K., 2016. A study on the protection plan of fisheries resources against illegal fishing of Chinese fishing vessel,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6): 1549-15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B.J., Y.J. Ro, K.Y. Jung, and K.S. Park, 2014. Numerical modeling of circulation characteristics in the Kwangyang estuarine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6(4): 253-2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K., J. Shin, K.Y. Kim, and J.-H. Ryu, 2019. Long-term trend of green and golden tides in the eastern Yellow S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I(90): 317-323. 

  6. Kim, K., J. Shin, and J.-H. Ryu, 2018. Application of multi-satellite sensors to estimate the green-tide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2): 339-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W., S.-H. Roh, Y. Moon, and S. Jung, 2019. Evaluation of Rededge-M camera for water color observation after Image preproces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7(3): 165-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aresca, S., P. Braca, J. Horstmann, and R. Grasso, 2014. Maritime surveillance using multiple highfrequency surface-wave radar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2(8): 5056-5071. 

  9. Mobley, C.D., 1999. Estimation of the remote-sensing reflectance from above-surface measurements, Applied Optics, 38(36): 7442-7455. 

  10. Oh, S.-J., K.-H. Choi, and G.-K. Park, 2017. Empirical analysis on economic factors of infringement on ocean sovereignty from Chinese fishing boat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33(3): 69-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Park, J.-E. and K. Lee, 2017. The signal-to-noise ratio enhancement of the satellite electro-optical imager using noise analysis method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2): 159-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rk, S.-H., H.-S. Jung, and M.-J. Lee, 2020. Oil spill mapping from Kompsat-2 high-resolution image using directional median filter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Remote Sensing, 12(2): 253. 

  13. Ryu, H., A.M. Klimkowska, K. Choi, and I. Lee, 2018a. Ship positioning using multi-sensory data for a UAV based marine surveillanc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2): 393-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Ryu, J.-H., H. Han, S. Cho, Y.-J. Park, and Y.-H. Ahn, 2012. Overview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and GOCI data processing system (GDPS), Ocean Science Journal, 47: 223-233. 

  15. Ryu, J.-H., S. Lee, D.-J. Kim, and J.D. Hwang, 2018b. Wide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of marine territory using multi-platfor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2): 307-3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hin, J., K. Kim, Y.B. Son, and J.-H. Ryu, 2019. Synergistic effect of multi-sensor data on the detection of Margalefidinium polykrikoides in the South Sea of Korea, Remote Sensing, 11(1): 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otillo, M. G., S. Cailleau, P. Lorente, B. Levier, R. Aznar, G. Reffray, A. Amo-Baladron, J. Chanut, M. Benkiran, and E. Alvarez-Fanjul, 2015. The MyOcean IBI ocean forecast and reanalysis systems: operational products and roadmap to the future Copernicus Service, Journal of Operational Oceanography, 8(1): 63-79. 

  18. Sundermeyer, M.A., E.A. Terray, J.R. Ledwell, A.G. Cunningham, P.E. LaRocque, J. Banic, and W.J. Lillycrop, 2007. Three-dimensional mapping of fluorescent dye using a scanning, depth-resolving airborne lidar,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4: 1050-1065. 

  19. Sutton, D.J., Z.J. Kabala, A. Francisco, and D. Vasudevan, 2001, Limitation and potential of commercially available rhodamine WT as a groundwater tracer, Water Resources Research, 37(6): 1641-1656. 

  20. Thomas, C.M., 2003. The Coastal Component of the U.S. Integrated ocean observing system, In: Melzian, B.D., Engle, V., McAlister, M., Sandhu, S., Eads, L.K. (eds), Coastal Monitoring through Partnership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21. Tonacci, A., G. Lacava, M.A. Lippa, L. Lupi, M. Cocco, and C. Domenici, 2015. Electronic nose and AUV: A novel perspective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Marine Technology Society Journal, 49(5): 18-24. 

  22. Wu, X.B., Q. Xu, G. Li, Y.A. Liou, B. Wang, H. Mei, and K. Tong, 2019. Remotely-observed early spring warming in the southwestern Yellow Sea due to weakened winter monsoon, Remote Sensing, 11(21): 2478. 

  23. Yue, G. and Y. Pan, 2019. Intelligent inspection of marine disasters based on UAV intelligent vision,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I(93): 410-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