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멀칭 자재가 하이부쉬블루베리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y by Mulching Material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8 no.2, 2020년, pp.209 - 221  

김수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이동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허윤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임동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박서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정성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  정경호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하이부쉬블루베리의 대표 세 품종을 대상으로 멀칭 재료에 따라 토양 환경, 수체생육, 과실 특성 및 잡초 발생 등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양 온도는 우드칩 멀칭 처리구에서 변화폭이 가장 적었으며 CEC, 인산, 치환성 양이온 농도 또한 처리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우드칩 처리구에서 줄기 수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톱밥, 왕겨, 부직포 순으로 나타났다. 총 신초 수는 흡지 수와 줄기 수와 마찬가지로 유기물 멀칭처리구와 부직포 처리구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유기물 멀칭 재료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초의 굵기는 처리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특성을 조사한 결과 품종에 상관없이 우드칩 멀칭 처리구에서 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가용성고형물 함량, 산도, 경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확량은 품종에 상관없이 유기물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처리간에는 우드칩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주당 수확량은 Duke 3.6, Bluecrop 2.7, Elliott 품종의 경우 2.6 kg였다. 블루베리의 줄기 수와 수확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r2 값이 0.8413으로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과원에 우드칩으로 멀칭하는 것이 블루베리의 안정적인 생산과 환경친화적인 농업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Duke', 'Bluecrop', and 'Elliott', were applied with ground cover mulch systems to evaluate bush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Soil temperature variation was lower in the woodchip mulching plot. Therefore, CEC, soil pH, phosphate, mineral ions were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왕겨나 톱밥은 쉽게 구할 수 있으나 잡초 억제 효과가 낮으며 왕겨의 경우 조류 출현 빈도를 높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국내 하이부쉬블루베리의 대표 품종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유기물 멀칭 재료에 따라 토양 환경, 수체 생육, 과실 특성 및 잡초 방제 등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의 특징은? 국내 재배중인 블루베리(Vaccinium spp.)는 대표적인 관목성 과수로 페놀화합물인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등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Määttä-Rihinen et al., 2005; Kylli et al., 2011; Shin et al., 2014) 강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항암, 항당뇨, 항균, 항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ttino et al., 2009).
블루베리 재배 시 유념해야 할 조건은? 블루베리는 세근의 부재와 천근적 특성을 가진 근계 때문에 생장과 과실 생산에 미치는 토양수분의 영향이 매우 크고(Gough, 1980; Freeman, 1983; Garren, 1988; Haman et al., 1988; Holzapfel et al., 2004), 재배 시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나무 주변의 잡초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잡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직포나 제초 매트로 나무의 기부 전체 토양 표면을 덮어 주는 방법은 관목인 블루베리에 적합하지 않다.
블루베리의 국내 재배가 꾸준히 증가할 수 있었던 요인과 2018년 재배 면적은 어떻게 되는가? , 2009). 또한 이용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국내 재배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8년 기준 3,576.5 h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를 차지하는 과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nes, J. and A. R. Putnam. 1986. Evidence for allelopathy by residues and aqueous extracts of rye (Secale cereale). Weed Sci. 34: 384-390. 

  2. Battino, M., J. Beelwilder, B. Denoyes-Rothan, M. Laimer, G. J. McDougall, and B. Mezzetti. 2009. Bioactive compounds in berries relevant to human health. Nutrition Reviews 67: S145-S150. 

  3. Choi, H. S. 2009. Effects of different organic apple production systems on seasonal variation of soil and foliar nutrient concentra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USA. 

  4. Fortin, M. C. and F. J. Pierce. 1991. Timing and nature of mulch retardation of corn vegetative development. Agron. J. 83: 258-263. 

  5. Freeman, B. 1983. Blueberry production, Agfact H3 1.4. Department of Agriculture, NSW, Australia. 

  6. Garren, R. 1988. Riegoy poda en arandano. In: Seminario El Cultivo del Arandano, Programa Frutales y Vinas, Serie Carillanca No. 2. INIA, Temuco, Chile. 73-79. 

  7. Gough, R. 1980. Root distribution of Coville and Lateblue highbush blueberry under sawdust mulch. J. Am. Soc. Hort. Sci. 105: 576-578. 

  8. Gough, R. E. 1994. The highbush blueberry and its management. Food Products Press, New York, USA, Chapter 1. 

  9. Haman, D. Z., A. G. Smajstrla, and P. M. Lyrene. 1988. Effects of irrigation and ground cover on growth of blueberry. Proc. Fla. State Hort. Soc. 101: 235-238. 

  10. Haman, D. Z., A. G. Smajstrla, R. T. Pritchard, F. S. Zazueta, and P. M. Lyrene. 1994. Water use in establishment of young blueberry plants. Bulletin 296. Gainesville, Fla.: Univ. of Florida Coop. 

  11. Hanson, E. and J. Hancock. 1996. Managing the nutrition of highbush blueberries. Michiga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Horticulture. Extension Bulletin E-2011. 

  12. Holzapfel. E. A., R. F. Heppb, and M. A. Marino. 2004. Effect of irrigation on fruit production in blueberry. Agric. Water Manag. 67: 173-184. 

  13. Kim, H. L., Y. B. Kwack, H. D. Kim, J. G. Kim, and Y. H. Choi. 2011. Effect of different soil water potentials on growth properties of northern-highbush blueberry. Korean J. Soil Sci. Fert. 44: 161-167. 

  14. Kylli, P., L. Nohynek, R. Puupponen-Pimia, B. Westerlund-Wikstrom, T. Leppanen, J. Welling, E. Moilanen, and M. Heinonen. 2011. Lingonberry (Vaccinium vitis-idaea) and European cranberry (Vaccinium microcarpon) proanthocyanidins: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activities. J. Agr. Food Chem. 59: 3373-3384. 

  15. Lee, C. Y., T. J. Kim, and G. J. Lee. 2010. Effects of organic mulching on potato production and weed management. Korean J. Organic Agric. 18: 587-598. 

  16. Lee, J. S., I. J. Kim, C. K. Youn, K. S. Ahn, K. H. Kim, S. Y. Nam, and H. S. Kim. 2013. Effects of removing of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on garlic growth, yield and weed occurrence in double layer mulching cultivation. Korean J. Organic Agric. 21: 413-422. 

  17. Maatta-Rihinen, K. R., M. P. Kahkonen, A. R. Torronen, and I. M. Heinonon. 2005. Catechins and procyanidins in berries of Vaccinium speci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Agri. Food Chem. 53: 8485-8491. 

  1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8. http://www.agrix.go.kr 

  19. Nam, S. Y., I. J. Kim, M. J. Kim, C. H. Lee, T. Yun, S. G. Park, and W. Y. Lee. 2006. Effects of covering materials to survival rate of rhizome and weeds occurrence in wintering of 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 Weed Sci. 26: 50-55. 

  20. Pritts, M. P. and J. F. Hancock. 1985. Lifetime biomass partitioning and yield component relationships in the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Ericaceae). Amer. J. Bot. 72: 446-452. 

  21. RDA. 2000. Methods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2. Shin, W. S., A. K. Hjimeray, and C. H. Park. 2014. Investigation of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tioxidant and allyl isothiocyanate content in the different organs of Wasabi japonica grown in an organic system.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11: 38-45. 

  23. Smajstrla, D. Z., D. Z. Haman, and P. M. Lyrene. 1988. Use of tensiometer for blueberry irrigation scheduling. Proc. Fla. State Hort. Soc. 101: 232-235. 

  24. Steinsiek, J. W., L. R. Oliver, and F. C. Collins. 1982. Allelopathic potential of wheat (Triticum aestivum) straw on selected weed species. Weed Sci. 30: 495-4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