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남부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농어목 망둑어과 한국첫기록종, Callogobius shunkan
First Record of a Goby, Callogobius shunkan (Perciformes: Gobiidae)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2 no.4, 2020년, pp.251 - 256  

안정현 (인천대학교대학원 생물학과) ,  김병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 ,  김상길 (제주굿다이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연안성 어류자원 미발굴 분류군 탐색을 위해 제주도 남부 연안해역에서 SCUBA를 이용한 수중조사 과정 중 2015년 9월 수심 약 15미터에서 망둑어과 한국첫기록종인 Callogobius shunkan 2개체(표준 체장 54.9~66.1 mm)를 채집하였다. 본 종은 살아있을 때 암갈색 바탕에 등지느러미 기저부에서 시작하는 3개의 흑갈색 안상반문이 있는 점, 두부 감각관과 잘 발달된 피습에 공기열이 배열되어 있는 점(특히 비공과 안와 후방에 공기열이 있는 점), 배지느러미막이 잘 발달된 점, 흑갈색 바탕의 체색에 백색 반점이 산재하는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주름망둑'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scribed the first record of Callogobius shunkan from Korea, based on two specimens (54.9~66.1 mm in standard length)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These specimens were characterized by prominent papillae ridges on the head, including postnasal and postorbital rows...

주제어

참고문헌 (19)

  1. Akihito, P. 1984. Suborder Gobioidei. In: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eds.),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Tokyo, Japan, pp. 236-238. 

  2. Akihito, P. and K. Meguro. 1977. Five species of the genus Callogobius found in Japan and their relationships. Japan. J. Ichthyol., 24: 113-117. 

  3. Akihito, P., K. Sakamoto, Y. Ikeda and K. Sugiyama. 2002. Gobioidei. In: Nakabo, T. (ed.),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English ed. Tokai Univ. Press, Tokyo, Japan, pp. 1139-1310. 

  4. Akihito, P., K. Sakamoto, Y. Ikeda and M. Aizawa. 2013. Gobioidei. In: Nakabo, T. (ed.),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3rd ed. Tokai Univ. Press, Kanagawa, Japan, pp. 1349-1541. 

  5. Bleeker, P. 1851. Over eenige nieuwe soorten van Blennioiden en Gobioiden van den Indischen Archipel. Natuurk. Tijdschr. Ned.-Indie, 1: 236-258. 

  6. Bleeker, P. 1874. Esquisse d'un systeme naturel des Gobioides. Arch. Neerl. Sc. Exact., 9: 289-331. 

  7. Delventhal, N.R. and R.D. Mooi. 2013. Callogobius winterbottomi, a new species of goby (Teleostei: Gobiidae) from the western Indian Ocean. Zootaxa, 3630: 155-164. 

  8. Eschmeyer, W.N. and R. Fricke. 2016.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genera, species, references. Available at: http://resercharchive.calcademy.org/research/ichthyology/catalogfishcatmain.asp., (accessed 5 Jan. 2016). 

  9. Fowler, H.W. 1918. New and little-known fishes from the Philippine Islands. Proc. Acad. Nat. Sci. Philadelphia, 70: 2-71. 

  10. Hubbs, C.L. and K.F. Lagler. 1964. Fishes of the Great Lakes regio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U.S.A., xv+213pp. 

  11. Koumans, F.P. 1953. Biological results of the Snellius expedition, XVI: The Pisces and Leptocardii of the Snellius expedition. Temminckia, 9: 177-275. 

  12. McKinney, J.F. and E.A. Lachner. 1978. Two new species of Callogobius from Indo-Pacific waters (Teleostei: Gobiidae). Proc. Biol. Soc. Wash., 91: 203-215. 

  13. McKinney, J.F. and E.A. Lachner. 1984. Callogobius crassus, a new fish from the Indo-Pacific region (Teleostei: Gobiidae). Proc. Biol. Soc. Wash., 97: 627-631. 

  14. Motomura, H., A. Habano, Y. Arita, M. Matsuoka, K. Furuta, K. Koeda, T. Yoshida, Y. Hibino, B. Jeong, S. Tashiro, H. Hata, Y. Fukui, K. Eguchi, T. Inaba, T. Uejo, A. Yoshiura, Y. Ando, Y. Haraguchi, H. Senou and K. Kuriiwa. 2015. The Ichthyofauna of the Uji Islands, East China Sea: 148 new records of fishes with notes on biogeographical implications. Mem. Fac. Fish. Kagoshima Univ., 64: 10-34. 

  15. Smith, J.L.B. 1958. The fishes of the family Eleotridae in the western Indian Ocean. Ichthyol. Bull. Dept. Ichthyol., Rhodes Univ., 11: 137-163, pls. 1-3. 

  16. Snyder, J.O. 1908. Descriptions of eighteen new species and two new genera of fishes from Japan and the Riu Kiu Islands. Proc. U. S. Natl. Mus., 35: 93-111. 

  17. Steindachner, F. 1879. Ichthyologsche Beitrage (VIII). Sitz.-Ber. K. Akad. Wiss., math.-naturwiss. Kl., 80: 119-191, pls. 1-3. 

  18. Takagi, K. 1957. Description of some new goboid fishes of Japan, with a proposition on the sensory line system as a taxonomic character. J. Tokyo Univ. Fish., 43: 97-126. 

  19. Takagi, K. 1964. Studies on the comparative morphology, phylogeny, distribution, and ecology of gobioid fishes in the Japanese waters. Doctoral Thesis, Kyoto University, Japan, iii+273pp., 47 pl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