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분변화가 망둑어과 어류 3종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3 Gobiidae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0 no.1, 2012년, pp.9 - 14  

황운기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해양생태위해평가센터) ,  민은영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강주찬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넓은 범위의 염분에 대한 망둑어 3종의 적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존 및 성장에 대한 염분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두줄망둑은 0~33.6‰의 염분범위에서 유의한 생존율 차이가 없었고, 점망둑의 생존율은 염분농도 13.4‰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3.4‰ 이하에서는 80% 이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날개망둑의 생존율은 염분농도 3.4‰ 이상에서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나, 담수에서는 87.5%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두줄망둑은 염분농도 13.4 및 20.2‰에서 가장 높은 일일성장률은 나타냈고, 담수에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점망둑의 일일성장률은 염분농도 20.2~33.6‰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10.1‰ 이하에서 가장 낮아 이들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날개망둑의 일일성장률은 염분농도 10.1~27.4‰에서 가장 높았으나, 담수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3종의 망둑어, 특히 점망둑은 낮은 염분에 노출되었을 때, 그들의 생존 및 성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이들의 분포 및 개체수에 잠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biidae, $Tridentiger$ $trigonocephalus$, $Chasmichtthys$ $dolichognathus$ and $Favonigobius$ $gymnauchen$ were reared for 4 weeks under 0~33.6‰ salinity condit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alinity on its survival and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넓은 범위의 염분에 대한 망둑어 3종의 적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존 및 성장에 대한 염분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두줄망둑은 0~33.
  • 이같이 3종의 망둑어는 담수, 기수 및 연안의 많은 지역에서 어류군집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염분에 대한 저항성, 특히 생존 및 성장에 대한 비교∙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넓은 범위의 염분에 대한 망둑어 3종의 적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분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은? 염분은 해양생태계에서 해양생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며, 염분변화는 때때로 해양생물의 생리적 변화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즉 염분은 어류의 대사활동, 삼투조절 및 생체리듬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어와 같은 회유성어류 및 기수지역에 서식하는 광염성어류 등의 생활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Mortensen and Damsgard 1998; Claireaux and Audet 2000). 따라서 염분에 대한 어류의 내성 및 적응기구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들의 삼투조절 및 기타 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Handeland et al.
망둑어과 어류는 무엇인가요? 망둑어과 어류는 담수, 기수 및 연안 등지에 넓게 분포하는 소형 저서성 어류로 우리나라에는 40여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et al. 1987), 이들에 대한 생태 및 생리에 관해서 일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Paik 1970; Ryu and Lee 1979; Baek and Lee 1985).
담수 혹은 해수지역의 어류와 비교해, 기수 지역 어류가 유리하게 적응하는 외부환경은? 5%의 생존율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염분에 따른 어류의 저항성은 그들의 서식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기수지역에 서식하는 어류는 담수 혹은 해수지역에 한정되어 서식하는 어류보다 넓은 범위의 염분에서도 강한 내성을 나타내며, 삼투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Otto 1971; Blaber 1974; Martin 1990). 두줄망둑은 주로 강의 하류나 하구 같은 기수지역, 점망둑은 바위와 암벽으로 이루어진 조간대 바위틈, 날개망둑은 기수역의 모래진흙 바닥 등에 서식하는 종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katsu S, A Abdul, KM Elah and S Teng. 1983. Effects of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brown spotted grouper (Epinephelus tauvina. Serranidae) larvae. J. of the World Mar. Soc. 14:624-635. 

  2. Baek HJ and TY Lee. 1985. Experimental studies on the machanism of reprodective cycle in the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mathus (Hilgendorf). Bull. Korean Fish. Soc. 18:243-252. 

  3. Blaber SJM. 1974. Osmoregulation in juvenile Rhabdosargus holubi [Steindacher (Teleostei: Sparide)]. J. Fish Biol. 6: 797-800. 

  4. Claireaux G and C Audet. 2000. Seasonal changes in the hypoosmoregulatory ability of brook charr: the role of environmental factors. J. Fish Biol. 56:347-373. 

  5. Deacon N and T Hecht. 1999. The effect of reduced salinity on growth, food conversion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in juvenile spotted grunter, Pomadasy commersonnii. Aquacul. Res. 30:13-20. 

  6. Dendrinos P and JP Thorpe. 1985. Effects of reduced salinity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the European bass Dicentrarchus labrax (L.). Aquacul. 49:1149-1156. 

  7. DeSilva SS and PAB Perera. 1976. Studies on young grey mullet, Mugil cephalus L. I. Effectis of salinity on food intake, growth and food conversion. Aquacul. 7:327-338. 

  8. Gutt J. 1985. The growth of juvenile flounders (Platyichthys flesus L.) at salinities of 0, 5, 15 and 35 $‰$ . J. Appl. Ichthy. 1:17-26. 

  9. Handeland SO, A Berge, B Bjornsson and SO Stefansson. 1998.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smoregulation and growth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smolts in seawater. Aquacul. 168:289-302. 

  10. Handeland SO, A Berge, B Bjornsson and SO Stefansson. 2000. Seawater adaptation by out-of-seaso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smolts at different temperatures. Aquacul. 181: 377-396. 

  11. Kim IS, YJ Lee and YU Kim. 1987.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Gobiidae (Pisces, Gobiidae) from Korea. Bull. Korean Fish. Soc. 20:529-542. 

  12. Lambert Y, J Dutil and J Munro. 1994. Effects of intermediate and low salinity conditions on growth rate and food conversion of Aquatic cod (Gadus morhua). Canadian. J. Fish. and Aquatic Sci. 51:1569-1576. 

  13. Martin TJ. 1990. Osmoregulatory in three species of Ambassidae (Osteichthyes: Perciformes) from estuaries in Natal. South African J. of Zool. 25:229-234. 

  14. Morgan JD and GK Iwama. 1991. Effects of salinity on growth, metabolism, and ion regulation in juvenile rainbow and steelhead trout (Oncorhynchs mykiss) and fall chinook salmon (Oncorhynchus tshawytscha). Canadian J. of Fish. and Aquatic Sci. 48:2083-2094. 

  15. Mortensen A and B Damsgard. 1998. The effect of salinity on desmoltification in Atlantic salmon. Aquacul. 168:407-411. 

  16. Nordlie FG. 1978.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salinity on respiratory oxygen demands in the euryhaline teleost. Ambassis interrupta Bleeker. Comp. Biochem. and Physiol. 59A:271-274. 

  17. Otto RG. 1971. Effects of salinity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pre-smolt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J. Fish. Res. Board of Canada 28:343-349. 

  18. Paik EI. 1970.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Syneohogobius hasta. Bull. Korean Fish. Soc. 3:117-119. 

  19. Ryu BS and JH Lee. 1979. The life form of Periophthalmus cantonensis in the Gum river in summer. Bull. Korean Fish. Soc. 12:71-77. 

  20. Woo NYS and ACY Fung. 1981. Studies on the biology of red sea bream. 2. salinity adaptation. Comp. Biochem. and Physiol. 69A:237-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