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해운 운임지수와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불확실성 사이의 의존성 구조 분석
Analysis of dependence structure between international freight rate index and U.S. and China trade uncertainty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6 no.4, 2020년, pp.93 - 106  

김부권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  김동윤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  최기홍 (부산대학교 경제통상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역은 국가 경제에 중요한 경제활동이다. 특히, WTO 출범 이후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다자간 무역체계의 확립,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무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국가 간 무역장벽의 완화 및 통합화로 인해 무역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무역시장 규모가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6년 브렉시트, 2018년 미·중 무역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사건 발생하여 무역시장이 직접적으로 타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역활동을 대변하는 변수인 국제 해운 운임지수와 미국, 중국 무역 불확실성 사이의 의존구조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중국 무역 불확실성과 국제 해운 운임지수 조합의 결합분포가 각각 Frank copula, rotated Clayton copula 270°으로 나타나, 미국, 중국 국가별로 동일한 분포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endall's tau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국제 해운 운임지수와 미국, 중국 무역 불확실성 사이에 음(-)의 의존성을 갖지만, 의존성 정도는 중국 무역 불확실성과 국제 해운 운임지수의 조합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즉, 전 세계 수요와 무역 불확실성의 의존성은 미국보다 중국이 더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꼬리 의존성 결과를 살펴보면, 미국, 중국 무역 불확실성과 국제 해운 운임지수가 서로 독립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무역 불확실성의 극단적인 사건 혹은 국제 해운 운임지수의 극단적인 사건이 발생해도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e is an important economic activity. In particul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the scope of trade has been expanding due to events such as the entry of China into the WTO in 2001, the establishment of a multilateral trading system, mitigation and integration o...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김안호.기성래(2005),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4호, 141-160. 

  2. 김창범(2010), 환위험과 경기 불확실성이 우리나라의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4호, 88-103. 

  3. 안경애(2017), 환율변동성이 우리나라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무역상무연구, 제75권, 95-116. 

  4. 이승준(2010), 실질환율 불확실성과 수출: 개별자료 접근, 무역학회지, 제35권 제1호, 57-76. 

  5. 전선애(2013), 환율의 변동성이 국제무역에 미치는 영향: ARDL Bounds 검정 이용, 여성경제연구, 제10권 제1호, 133-164. 

  6. 조성일(2010), 원/위안 환율변동 불확실성과 한국과 중국의 무역, 무역연구, 제6권 제3호, 153-172. 

  7. 최봉호(2007), 환율변동성과 컨테이너물동량과의 관계,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1호, 1-18. 

  8. 최봉호.이재득(2006), 환율변동성의 무역수지에 대한 영향, 국제통상연구, 제11권 제3호, 67-86. 

  9. Aas, K.(2016), Pair-copula constructions for financial applications: A review, Econometrics, 4(4), 43. 

  10. Aloui, R., M. S. B. Aissa and D. K Nguyen(2013), Conditional dependence structure between oil prices and exchange rates: a copula-GARCH approach,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32, 719-738. 

  11. Aloui, R., R. Gupta and S. M Miller(2016), Uncertainty and crude oil returns, Energy Economics, 55, 92-100. 

  12. Aloui, R., S. Hammoudeh and D. K Nguyen(2013), A time-varying copula approach to oil and stock market dependence: The case of transition economies, Energy Economics, 39, 208-221. 

  13. Baker, S. R., N. Bloom and S. J. Davis(2016), Measuring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1(4), 1593-1636. 

  14. Bems, R., R. C. Johnson and K. M. Yi(2011), Vertical linkages and the collapse of global trade, American Economic Review, 101(3), 308-12. 

  15. Bloom, N.(2009), The impact of uncertainty shocks, econometrica, 77(3), 623-685. 

  16. Caldara, D., M. Iacoviello, P. Molligo, A. Prestipino and A. Raffo(2020), The economic effects of trade policy uncertainty,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109, 38-59. 

  17. Davis, S. J., D. Liu and X. S. Sheng(2019),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China since 1949: The view from mainland newspapers, In Chicago Booth Research Paper 19-04. 

  18. Davis, S. J., D. Liu and X. S. Sheng(2020), Stock Prices, Lockdowns, and Economic Activity in the Time of Coronavirus, University of Chicago, Becker Friedman Institute for Economics Working Paper, (2020-156). 

  19. Eaton, J., S. Kortum, B. Neiman, and J. Romalis(2016), Trade and the global recession, American Economic Review, 106(11), 3401-38. 

  20. Handley, K.(2014), Exporting under trade policy uncertainty: Theory and evidence,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94(1), 50-66. 

  21. Handley, K. and N. Limao(2015), Trade and investment under policy uncertainty: theory and firm evidence, American Economic Journal: Economic Policy, 7(4), 189-222. 

  22. Iacovone, L. and B. S Javorcik(2010), Multi-product exporters: Product churning, uncertainty and export discoveries, The Economic Journal, 120(544), 481-499. 

  23. IMF,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A Weakening Global Expansion," January 2019. 

  24. Kee, H. L., C., Neagu and A. Nicita(2013), Is protectionism on the rise? Assessing national trade policies during the crisis of 2008,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5(1), 342-346. 

  25. Knight, F. H.(1921), Risk, uncertainty and profit (Vol. 31), Houghton Mifflin. 

  26. Limao, N. and G. Maggi(2015), Uncertainty and trade agreements, American Economic Journal: Microeconomics, 7(4), 1-42. 

  27. Novy, D. and A. M. Taylor(2020), Trade and uncertaint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02(4), 749-765. 

  28. Patton, A. J.(2009), Copula-based models for financial time series, In Handbook of financial time seri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767-785. 

  29. Patton, A. J.(2012), A review of copula models for economic time series,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110, 4-18. 

  30. Schindler, D. and C. Jung(2018). Copula-based estimation of directional wind energy yield: A case study from Germany.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169, 359-370. 

  31. Shin, M., Zhang, B. M. Zhong and D. J. Lee(2018), Measuring international uncertainty: The case of Korea, Economics Letters, 162, 22-26. 

  32. Sraj, M., N. Bezak. and M. Brilly(2015), Bivariate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copula function: a case study of the Litija station on the Sava River, Hydrological Processes, 29(2), 225-2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