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Mentoring of Entrepreneurship on the Intentions of Business Start-Up -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원문보기

벤처혁신연구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v.3 no.1, 2020년, pp.1 - 26  

김영태 (호서대 벤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회복탄력성이 이들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표본은 20대에서 50대까지의 예비창업자(창업 3년 이내 포함) 178명이며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였다.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결과 나타난 주요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과 멘토링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창업교육과 멘토링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역할을 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를 향상하는데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주요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촉진하기 위한 선행변수로서 창업교육과 멘토링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매개변수로 선정한 회복탄력성은 교육학과 심리학에서 주로 연구되던 변수로서 창업교육 및 멘토링과 창업의지간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rural experience by applying the unified push-pull-mooring model. The theoretical model is an unified PPM model that introduces new variables based on PPM. The pull factor of the newly introduced variable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the ...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76)

  1. 강재학(2016),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기회 인식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구진아(2010), 국어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학습효과 예측력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기홍(2014), 창업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멘토링 교육만족도와 창 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 JST창업교육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기홍, 김용태(2014), "창업멘토링 교육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9(5), 33-41. 

  5. 김명옥(2002), 비서직 종사자를 위한 e-Mentoring 시스템 설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재식(1997), "상업교육의 변화추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13(1), 67-93. 

  7. 김동일, 김원호, 김명찬, 최선, 이주영(2011), "다시 생각해 본 리질 리언스: 외상성 손상 후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적응 결과 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4), 1371-1390. 

  8. 김성우(2017), 대학의 창.취업교육이 창.취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실증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김수복(2016),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주관적 행복감 및 회복 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0. 김수안, 민경환(2011),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한국심리학회, 25(2), 224-227. 

  11. 김종운(2014),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9(1), 79-85. 

  12.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게 임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3), 43-81. 

  13. 김주미, 박재필(2011), "국제간 비교 연구를 통한 기업가정신 지수 표준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14. 남정인(2013), 창업멘토링이 창업태도와 창업의도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마예림(2016), 중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지가 회복탄 력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목영두, 최명길(2012), "대학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한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모형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5(2), 833-857. 

  17. 문성식(2017),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시니어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박성호(2016), "대학생의 실패손실 부담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가정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16 한국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7-50. 

  19. 박시사, 강성일(2007), "개인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여행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1(2), 187-204. 

  20. 박영신, 김의철 역(2001), 자기효능감과 갊의 질, 교육 건강 운동 조직에서의 성취, 문화심리학총서3, 서울: 교육과학사. 

  21. 박용호(2014), 창업멘토링이 창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박은지(2014),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박은희(1996), 자아탄력성,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 관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박인영(2014), 대학생의 부모애착, 성인애착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방혜민(2013), 멘토역량과 멘토링이 창업초기 성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신윤철, 은태욱, 이용진, 김진수(2007), "공업고 BizCool 운영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2), 104-131. 

  27. 안승권(2016), 창업교육과 제도적 지원이 자기효능감 및 의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안호준(2009), 멘토역량, 멘토링 기능이 신입사원의 조직유효성과 조직 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윤방섭(2004), "창업의지의 결정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산학경영연구, 17(2), 89-110. 

  30. 이재석(2015),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 : 기업가 지향성과 환경 적 요인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이임덕(2012),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낙관성, 긍정적 환상과 심리 사회적응 간의 관계: 중.고등학교 특수학급담당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전정숙(2015),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적 실패내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정진수, 최종인(2008), "인터넷 창업교육 현황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3(1), 29-55. 

  34. 최종열, 정해주(2008), "경영학 교육이 기업가정신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3), 213-230. 

  35. 태은주(2015), 학업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과학고등학교 학생 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한선영(2015), 회복탄력성, 일-삶 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한정화, 이명자(1998), "창업을 위한 경영학 교육: 한국의 창업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경영교육연구, 2(2), 5-26. 

  38. 호병환(2016), 대학 및 사회의 창업지원과 대학생의 창업의지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Bagozzi, R. P., J. Baumgartner, and Y. Yi(1989), "An investigation into the role of intentions as mediators of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0(1), 35-62. 

  40. Bae, T. J., S. Qian, C. Miao, and J. O. Fiet(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meta-analytic review",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8(2), 217-254. 

  41. Bechard, J. P. and J. M. Toulouse(1998), "Validation of a didactic model for the analysis of training objectives in entrepreneurshi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3(4), 317-332. 

  42. Block, J. H. and A. Kremen(199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stress on native m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43. Chen, C. C., P. G. Greene, and A. Crick(1998), "Do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distinguish entrepreneurs from manage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3(4), 295-316. 

  44. Crant, J. M.(1996),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s a predictor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4(3), 42-49. 

  45. Debackere, K. and R. Veugelers(2005), "The role of academic technology transfer organizations in improving industry science links", Research Policy, 34(3), 321-342. 

  46. Fayolle, A., B. Gailly, and N. Lassas-Clerc(2006), "Assess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mes: a new methodolog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30(9), 701-720. 

  47. Fishbein, M. and I. Ajzen(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NY: Addison-Wesley. 

  48. Garavan T. N. amd B. O'Cinneide(1994),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a review and evaluation-Part 1",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18(8), 3-12. 

  49. Gartner, W. B., K. G. Shaver, E. Gatewood, and J. A. Katz.(1994), "Finding the entrepreneur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5-9. 

  50. Gibb, A.(2002), "In pursuit of a new 'enterprise' and 'entrepreneurship' paradigm for learning: creative destruction, new values, new ways of doing things and new combinations of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4(3), 233-269. 

  51. Gnyawali, D. R. and D. S. Fogel(1994), "Environment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Key dimensions and research implica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 Practice, 18(4), 43-62. 

  52. Haase, H. and A. Lautenschlager(2011), "The 'Teachability Dilemma' of entrepreneurship",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7(2), 145-162. 

  53. Hills, G. E.(1988), "Variations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 empirical study of an evolving field",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2), 109-122. 

  54. Hunt, D. M. and C. Michael(1983), "Mentorship: A career training and development too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3), 475-485 

  55. Katz, J. and W. B. Gartner(1988), "Properties of emerging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29-441. 

  56. Kirzner, I. M.(1997), "Entrepreneurial discovery and the competitive market process: An Austrian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1), 60-85. 

  57. Kolvereid, L. and O. Moen(1997), "Entrepreneurship among business graduates: Does a major in entrepreneurship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1(4), 154-160. 

  58. Kourilsky, M.(1995), "Entrepreneurship education: Opportunity in search of curriculum", Business Education Forum, 50(10), 11-15. 

  59. Kram, K. E.(1983), "Phases of the mentor relatio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608-625. 

  60. Krueger, N. F., M. D. Reilly, and A. Carsrud.(2000), "Competing model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5(5-6), 411-432. 

  61. Levinson, D. J.(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Balentine Book. 

  62. McGrath, R. G.(1999), "Falling forward: Real options reasoning and entrepreneurial fail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1), 13-30. 

  63. McMullan, W. E. and W. A. Long(1990), Developing new ventures, The entrepreneurial option. San Diego: Harcourt Brace Javanovich. 

  64. Mueller, S. L. and A. S. Thomas(2001), "Culture and entrepreneurial potential: A nine country study of locus of control and innovativenes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6, 51-55. 

  65. Oosterbeek, H., M. van Praag, and A. Ijsselstein(2010),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skills and motivation", European Economic Review, 54(3), 442-454. 

  66. Rae, D.(2004), "Entrepreneurial learning: a practical model from the creative industries", Education + Training, 46(8/9), 492-500. 

  67. Roadstead, R.(1985),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10(1), 7-23. 

  68. Rutter. M.(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69. Tijssen, R. J.(2006), "Universities and industrially relevant science: Towards measurement models and indica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Research Policy, 35(10), 1569-1585. 

  70. Vesper, K. H.(1985),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llesley, MA: Babson College Center for Entrepreneurial Studies. 

  71. Viator, R. E.(2001), "The association of formal and informal public accounting mentoring with role stress and related job outcome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26, 79-93. 

  72. Von Graevenitz, G., D. Harhoff, and R. Weber(2010),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76(1), 90-112. 

  73. Wagnild, G. M. and H. M. Young(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8-178. 

  74. Waters, E. and L. A. Sroufe(1983), "Social competence as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al Review, 3, 79-97. 

  75. Werner, E. E. and R. S. Smith(1982),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NY: McGraw-Hill. 

  76. Werner, E. E. and R. S. Smith(1992),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