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위험 감수성의 매개 및 자산상태의 조절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Mediation of Risk Sensitivity and Moderating Effects of Asset Statu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233 - 245  

최주철 (경희대학교 미래혁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위험 감수성의 매개 및 자산상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중·고령자의 긍정심리 자본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지역 중·고령 직장인 250여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량, 신뢰성,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 후 AMO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가설 검증과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 자본이 위험 감수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창업 의지, 복원력과 창업 의지 간의 경로는 0.042와 0.026으로 매개효과가 지지가 되며 창업 의지에 영향은 모형 간의 χ2 차이가 7.096으로 자산상태의 조절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중·고령자의 창업에 필요한 긍정심리 자본과 창업자산 상태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융복합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로는 대상 지역을 확대하고 다른 창업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who are interested in starting their own business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sensi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sset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중·고령자 창업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중·고령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위험 감수성의 매개작용과 창업자의 자산상태에 따른 조절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중·고령자의 자산상태를 고려한 실효성있는 창업정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 인구의 증가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대다수가 낮은 저임금의 노동시장에 내몰리고 있는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중·고령 창업을 하나의 대안으로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가설 설정

  • 05 수준에서 모두 채택되었다. 그러나 희망과 낙관주의가 위험 감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와 가설 3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긍정심리자본이 위험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21, 24]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거나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 가설 5. 위험 감수성은 창업 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희망은 위험 감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지비용 부담 문제를 만드는 원인은? 이러한 변화는 적응력이 부족한 중·고령자에게 일자리 경쟁 에서 밀려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사회 에서는 경제성장 둔화와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 시기와 맞물려 노동시장에서 빠르게 퇴출당하고 있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연금 부족과 고령자에 대한 부양비 증가는 복지비용 부담 문제를 만들고 사회보장의 혜택이 미흡한 중·고령자의 생계유지를 위한 일자리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중·고령 자들을 노동시장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사회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는 대책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제시되고 있다[1-3].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변화가 중·고령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최근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고도의 지식기반기술로 더욱 지 능화된 4차 산업혁명은 많은 분야에서 사회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일자리 감소와 새로운 직업창 출 기회가 동시에 공존하는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적응력이 부족한 중·고령자에게 일자리 경쟁 에서 밀려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사회 에서는 경제성장 둔화와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 시기와 맞물려 노동시장에서 빠르게 퇴출당하고 있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연금 부족과 고령자에 대한 부양비 증가는 복지비용 부담 문제를 만들고 사회보장의 혜택이 미흡한 중·고령자의 생계유지를 위한 일자리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중·고령 창업가의 실패가 젊은층보다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이유는? 젊은 층과는 달리 다른 고용에 대한 대안이 없는 현실에서 중·고령자의 창업은 생계와 노후생활을 보장해주는 주요한 역할을 하므로 중·고령 창업가의 경우 실패 시 젊은층보다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즉 중·고령 자들은 사업을 중단할 경우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고 은퇴자산의 고갈로 노후생활이 불안정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Taylor, M. P. (1999). Survival of the Fittest? An Analysis of Self-employment Duration in Britain. The Economic Journal, 109(454), 40-155. 

  2. J. Zissimopoulos & L. A. Karoly. (2007). Work and Well-Being Among the Self-Employed at Older Ages. Washington, DC: AARP. 

  3. Q. Gu. (2009). Self-Employment among Older Workers: Assistance Programs, Liquidity Constraints and Employment Patterns.. Santa Monica, CA: Pardee Rand Graduate School. 

  4. J. H. Lee & J. S. Yang. (2012). Recent Development on Small-Sized Businesses in the Industrial Sector with Low Productivity,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5. J. Y. Jang. (2000).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labor market and employment support policies,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6. F. Luthans, K. W. Luthans & B. C. Luthans. (2004),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Business Horizons, 47(1), 45-50. 

  7. E. R. Rogoff. (2008). The Issues and Opportunities of Entrepreneurship After Age50, Occasional Papers Number 5(June). AARP. 

  8. I. C. Yoon. (2017). Effect on startup mentor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artup inten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student.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265-273. 

  9. K. T. Kim. (2019). Domestic Research Trend of College Students' Start-up and Entrepreneurship.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199-211. 

  10. J. K. Lee & Y. W. Seo. (2019). The Effect of Young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Absorptive Capacity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185-195. 

  11. D. S. Lee, B. S. Cho, K. T. Kim, S. K. Kim, I. S. Lee & Y, D. Choi. (2009). A New Approach to Management Studies:Application of Positive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7(2), 307-339. 

  12. F. Luthans. (2002).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6(1), 57-72. 

  13. F. Luthans & C. M. Youssef. (2004). Human, social, and n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investing in people for competitive advantage. Organizational Dynamics, 33(2), 143-160. 

  14. H. R. Lee, Y. J. Baek & E. S. Kim.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Individual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and Cogni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2), 145-168. 

  15. C. R. Snyder, C. Harris, J. R. Anderson, S. A. Holleran, L. M. Irving, S. Sigmon, L. Yoshinobu, J. Gibb, C. Langelle & P. Harney.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 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a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0(4), 570-585. 

  16. C. M. Youssef & F. Luthans. (2007).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17. A. Ong, C. Bergeman, T. Bisconti & K. Wallace. (2006). Psychological resilience, positive emotions, and successful adaptation to stress in later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4), 730-749. 

  18. O. S. Umukoro & D. E. Okurame. (2017). Exogenous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uition and the mediatory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among potential youth entrepreneurs. Journal of 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7(1), 19. 

  19. S. J. Kwon. (2017). The impact of leaders' communication styles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ivo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8(1), 25-47. 

  20. F. Contreras, I. D. Dreu & J. C. Espinosa. (2017).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 Exploratory Study, Asian Social Science, 3, 80. 

  21. L. S. Jung. (2008). Study on efficient application of elderly human resource throughthe aged for start busines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25, 143-169. 

  22. J. M. Crant. (1996).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s a predictor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4(3), 42-49. 

  23. S. I. Kang, S. H. Oh & P. S. Yang. (2007). Relationship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ship, and performance: A case of Jeju tourism businesse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2(1), 487-504. 

  24. H. Kim. (2012). The Entrepreneurial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1), 263-271. DOI : 10.16972/apjbve.7.1.201203.263 

  25. I. Ajzen. & M. Fishbein.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6. A. Shapero. (1981).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In C. Kent, D. Sexton and K. Vesper, eds, The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72-90. 

  27. H. C. Koh (1996). Testing hypotheses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8. D. F. Kuratko & R. M. Hodgetts. (2007). Entrepreneurship: Theory, Process, Practice. Mason, OH: Thomson. 

  29. S. B. Sitkin & L. R. Weingart. (1995). Determinants of risky decision-making behavior: A test of the mediating role of risk perceptions and propens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6), 1573-1592. 

  30. R. H. Brockhaus Sr. (1980). Risk taking propensity of entrepreneu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3(3), 509-520. 

  31. J. A. Timmons & S. Spinelli. (2007).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Burr Ridge. IL: Irwin. 

  32. D. Holtz-Eakin, D. Joulfaian & H. S. Rosen. (1994). Sticking it out: Entrepreneurial Survival and Liquidity Constraint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2(1), 53-75. 

  33. Q. Gu. (2009). Self-Employment among Older Workers: Assistance Programs, LiquidityConstraints and Employment Patterns. Santa Monica, CA: Pardee Rand Graduate School. 

  34. Z. Lin, G. Picot & J. Compton. (2000). Entry and Exit Dynamics of Self-employment in Canada. Small Business Economics, 15, 105-125. 

  35. Weber, P. & Schaper, M. (2004). Understanding the Gray Entrepreneur. Journal of Enterprising Culture, 12(2), 147-164. 

  36. B. H. Lee (2006). Senior Renaissance The Rise of the Age: New Opportunities and Utilization in Aging Age. Korean Economic Review, 43. 

  37. C. H. Jin. (2017).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start-up intention among young startup entrepreneurs: A cross-cultural comparison. Chinese Management Studies, 4(1), 707-729. DOI : 10.1108/cms-06-2017-0162 

  38. R. A. Baron, R. J. Franklin & K. M. Hmielesk. (2016). Why entrepreneurs often experience low, not high, levels of stress: The joint effects of selec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Management, 42(3), 742-768. 

  39. R. G. McGrath. (1999). Fall forward: Real options reasoning and entrepreneurial fail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1), 13-30. 

  40. J. H. Cho & C. J. Kim. (2014). The Effect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17(2), 109-126. 

  41. B. Bird. (1988). Implementing entrepreneurial ideas: The case for inten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42-453. 

  42. F. Luthans, G. R. Vogelgesang & P. B. Lester. (2006). Develop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resiliency.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5(1), 25-44. 

  43. G. Dushnitsky. (2010). Entrepreneurial Optimism in the Market for Technological Inventions. Organization Science, 21(1), 150-167. 

  44. F. Luthans & C. M. Youssef. (2004). Human, social, and n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Organizational Dynamics, 33, 143-160. 

  45. R. Baron. (2008). The role of affect i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3, 328-340. 

  46. A. Shapero & L. Sokol. (1982).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en Kent, CA; Sexton, DL y Vespert, KH (eds.),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72-90. 

  47. Y. L. Choi & K. S. Ha. (2012). Factors affecting startup intention of retired office-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9), 195-212. 

  48. S. B, Sitkin & L. R. Weingart. (1995). Determinants of risky decision-making behavior: A test of the mediating role of risk perceptions and propens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6), 1573-1592. 

  49. D. G, Blanchflower & A. J. Oswald. (1998). What Makes an Entrepreneurship. Journal of Labor Economics, 16(1), 26-62. 

  50. M. H. Son & J. Y. Lee. (2007). A Study of Inauguration System of a Successful Food Service Enterprise. Korean Academy of Foodservice Industry and Managemant, 3(3), 101-116. 

  51. Y. S. Jo & S. H. Kang. (2015). A Structural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3), 123-153 

  52. D. R. Gnyawali & D. S. Fogel. (1994). Environment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Key dimensions and research implica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4), 43-62. 

  53. J. W. Park & M. J. Choi. (2016).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2), 9-19. DOI : 10.16972/apjbve.11.2.201604.9 

  54. B. O. Kang, J. S. Kim & S. S. Ahn. (2010).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f Franchisor's CEO on Franchisor's Performance.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15(4), 10, 87-117. 

  55. S. S. Park & S. I. Kang. (2007).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ravel agency employee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1(2), 187-204. 

  56. M. W. Browne & R. Cudeck.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A, Long JS, editor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Beverly Hills, CA: Sage, 111-135. 

  57. P. M. Bentler.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