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리학 고법과 신법의 논리구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gic Structure of Myeongri Old Law and New Law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5 no.3, 2020년, pp.61 - 71  

나혁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정경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고법 명리학의 명리 이론들을 연구 정리하여 고법의 사주 모형을 재현하고 고법의 사주해석법과 신법의 사주해석법의 논리구조를 정리한 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그 간명법을 논리적 체계를 재확인해 보는 것이다. 명리이론이 처음 세상에 등장한 것은 귀곡자와 낙록자를 시원으로 삼아 그들이 활동했던 전국시대라고 보는 이도 있고, 조금 더 시간이 흘러 동진의 곽박에 의해 '옥조경'이 쓰여진 것이 시원이라고 보는 이도 있다. 그 이후 원천강과 이허중 등에 의해 체계화되어 가던 명리이론은 송대 서자평에 이르러 크게 변혁을 겪게 되는데 이 시점을 기준으로 앞 세대의 명리이론을 고법, 그 이후 서자평으로부터 시작되는 명리이론을 신법이라고 후대인들은 칭한다. 명리학 고법과 신법의 논리구조 변화는 둘 사이의 큰 차이점과 단절 현상을 남겨놓고 있지만 명리학 고법과 신법 모두 음양오행과 천간지지라는 자연의 상징체계, 천지인 삼원에 투영된 천인 감응 사상, 연월일시의 궁위가 가진 세대와 시간의 개념, 천기의 생왕사절 유행 등의 자연법에 기인한 철학과 논리구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을 비교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ffirm the logical framework of the saju analysis method by recreating the saju model of old-law to study and organize the theories of frame in old-law Myeongri, and then by organizing and comparing the logic structure of the saju analysis method of new-law and ol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허중명서』의 가치는 고법 명리학의 초기 사주의모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인데 이 책에 기술된 고법 사주 모형을 살펴보도록 한다.
  • 고법을 삼명학(三命學) 혹은 녹명학(祿命學)이라고도 부르고 신법을 자평학(子平學)이라고도 부른다. 고법 사주와 신법 사주, 고법 명리와 신법 명리, 고법 삼명학과 신법 자평학 등 신구(新舊)를 구분하고자 다양하게 부르고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고법 명리학과 신법 명리학이라는 명칭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 그의 『낙록자삼명소식부주』는 타 명리서에 비해 무형학적 명리사상을 펼치고 있던 낙록자부의 고법 사상 아래 함께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자신의 이론이기존 사상의 큰 프레임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 둘의 차이점은 첫째, 일간(日干) 주체간명법이 완성되면서 삼원(三元)이론을 분명하게 바꾸어 놓고 있다는 점이다.
  • 이에 연구자는 고법 명리학의 명리 이론들을 연구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고법의 사주 모형을 재현하고 그 논리구조를 신법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 간명법을 논리적 체계를 재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고법의 사주해석법과 신법의 사주해석법의 논리구조를정리한 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월(月)은 사용자(使用者)가 되며, 시(時)는 보조자(補助者)가 된다. [註] 연(年)은 일(日)의 근본이고, 일(日)은명주이다. 예를 들면 군주에게는 신하가 있고, 아비에게는 자식이 있고, 남편에게는 아내가 있고, 나라에는 왕이 있는 것과 같다.
  • 세 번째로 록마(祿馬)의 향배(向背)를 살피는 것이다.고법(古法)에서 사주의 부귀를 살피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로 사용하였던 것이 바로 록마(祿馬)인데 록(祿)은 연주(年柱)가 상징하는 가문의 영광과 부귀를 이어갈 인물로 연간(年干)의 뿌리를 살폈던 것이고, 마(馬)는 집안의살림을 부유하게 만들기 위하여 얼마나 활동력이 강하고 부지런히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인물인가를 살폈다는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리(命理)란? 명리(命理)의 명(命)은 하늘의 명령이고 리(理)는 하늘의 이치이다. 하늘의 명령, 천명(天命)을 맹자에서 살펴보면 2가지 뜻으로 사용되는데 하나는 하늘이 내게 준책임이나 의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내 의지와 노력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객관상황’ 을 의미하는 경우이다.
고법과 신법의 간명법 비교 관련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하지만 고법과 신법의 간명법을 정확히 비교하고 예측 정확도가 어떤 것이 더 높은지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2010년대 들어오면서 명리학계의 통계학적 연구가 심화되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리학 고법 이론을 바탕으로 어떤 방식으로 사주를 간명하였는지를 정확히 소개하는 저술서가없고, 구전 학습으로 전해져 오던 고법 간명법들도 신법자평학과 혼재되어 사용되다 보니 그 중심 간명법 체계는 잊혀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신법(新法) 명리학의 체계는 어떠한가? 신법(新法) 명리학은 일간을 중심으로 한 음양오행의생극관계를 십성(十星)이라는 술어적 개념으로 체계화하였고, 태어난 월령(月令)을 중심으로 격국을 정하는비교적 간단한 간명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고법(古法) 명리학은 납음오행을 인원(人元)으로 삼고그 취상 및 상태를 가지고 희기를 논하고, 연주를 본(本)으로 삼고 일주를 주(主)로 삼으며 태월(胎月)까지 포함하여 5개의 육십갑자 기둥을 포괄하여 간명하고, 십이운성과 신살로 사주체의 변화를 간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영택(2006), "中國古典命理書에 대한 哲學的 이해", 철학논총 43집, 새한철학회. 

  2. 김계성(2016), "十二運星과 陽順陰逆의 상관성에 대하여 - 사주명리를 중심으로", 동양학 65집, 동양학연구원. 

  3. 김우정(2017), "珞?子三命消息賦注의 命理理論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4집, 원불교사상연구원. 

  4. 문재곤(1989), "음양오행론의 전개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14집, 고려대학교철학회. 

  5. 박은경(2017), "四柱의 기원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중국학 58집, 대한중국학회. 

  6. 서금석(2015), "子平四柱學淵源의 五代說에 대한 再論", 역사와경계 95집, 부산경남사학회. 

  7. 신경수(2003), "唐宋代命理的三才論과 主體觀點硏究", 원광대학교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심규철(2003), "명리학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9. 윤정리(2005), 옥조신응진경주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세현(2000), "儒家天人合一論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22집, 동양철학연구회. 

  11. 이영무(2011), 12신살에 관한 연구: 명리학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하용(2013), 괘기역학과 명리학의 원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조규문(2009), 천강 원수성의 명리사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영숙(2013), 이허중명서의 명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황금옥(2018), "오행정기(五行精氣) 복원의 후래적(後來的) 영향", 한국민속학 67집, 한국민속학회. 

  16. 김기승, 나혁진(2017), 명리학사(命理學史), 서울: 다산글방. 

  17. 만민영 著, 김이남, 이명산 譯(2011), 삼명통회, 서울: 삼하출판사. 

  18. 서자평著, 최국봉譯(2009), 삼명통신, 서울: 온북스. 

  19. 서자평 撰, 문종란 譯(2017), 낙록자삼명소식부주, 서울: 한국학술정보. 

  20. 서대승 著, 오청식 譯(2009), 연해자평, 서울: 대유학당. 

  21. 석담영 撰, 문종란 譯(2016), 낙록자부주, 서울: 한국학술정보. 

  22. 郭璞(晉), 玉照定眞經, 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23. 徐子平(宋), 玉照神應眞經, 古今圖書集成/ 藝術典 / 星命部. 

  24. 徐子平(宋), 珞?子三命消息賦注, 四庫全書/ 子部 / 術數類. 

  25. 徐升(宋), 淵海子平, 台北: 進源書局. 

  26. 釋曇瑩(宋), 珞?子賦注, 四庫全書/ 子部/ 術數類. 

  27. 張楠(明), 命理正宗, 台北: 集文書局. 

  28. 袁樹珊(2000), 命理探原, 台北: 武陵出判. 

  29. 李鐵筆(2001), 八字明通賦評註, 台北: 益群書店. 

  30. 鄒文耀(1982), 子平命學考證, 台北: 瑞成書局.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