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병효(徐丙孝) 연구에 대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Study of Seo Byung-Hyo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3 no.3, 2020년, pp.49 - 61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llect basic data about Seo, Byung-Hyo and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analysis of his medical ideas. Methods : The life of Seo in regards to family and relationships was reconstructed through his genealogy and newspaper articles. His medical ideas we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徐丙孝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장차 그의 의학 사상을 분석하려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예비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위해 족보, 관보, 『經驗古方要抄』, 『內殿日記』 등을 살펴보았다.
  • 2) 그러나 그의 생애와 저작, 의학사상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는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徐丙孝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장차 그의 의학 사상을 분석하려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白南 徐丙孝는 언제 태어났는가? 白南 徐丙孝는 1857년에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1939년에 사망하기까지, 대한제국에서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한 대표적인 典醫이다. 그는 당시 널리 보급된 경험방서인 『經驗古方要抄』의 저자로도 알려져 있다.
徐丙孝의 가계 족보는 어떠한가? 徐丙孝는 1857년 2월 4일3)에 경상북도 안동 水下洞에서 徐相道(1835-1880)의 3남 2녀 중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達城徐氏 21세로 자는 明重, 호는 龜雲, 白南이다(사진 1). 그의 집안은 성균관학유를 지낸 7세손 渡를 시조로 하는 學諭公派에 속하며, 10세손 壽永 이후로 경북 안동에 대대로 세거하였다.
金南一은 『別乾坤』 등 일제강점기 잡지와 신문을 통해 서병효의 행적들을 살펴보고, 『經驗古方要抄』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였는가? 그의 생몰 연도와 주요 관력 등 생애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기존 연구에서도 기술된 바 있다.1) 특히 金南一은 『別乾坤』 등 일제강점기 잡지와 신문을 통해 서병효의 행적들을 살펴보고, 『經驗古方要抄』에 대하여 ”康命吉의 『濟衆新編』에 자신의 경험을 첨가한 형식으로 만들어졌다.“고 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명길. 원본 제중신편. 서울. 행림서원. 1971 

  2. 구현희. 일제강점기 언해한의서 단방비요경험신편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 29(1) 

  3.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인물실록. 파주. 들녘. 2011 

  4. 김종오. 조선시대 다약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5. 박훈평. 일제강점기 영년의생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 29(1) 

  6. 박훈평. 일제강점기 의생총목록 1.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17 

  7.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총목록.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18 

  8. 서병효. 경험고방요초. 경성. 동남약국. 1936 

  9. 송지향, 유계생. 영주영풍향토지 상. 여강출판사. 서울. 1987 

  10. 오재근. 약 하나로 병 하나 고치기. 의사학. 2013. 22(1) 

  11. 유희영, 신민교, 맹웅재. 한국의약인명사전. 의성사. 서울. 1991 

  12. 이정현. 한의학 고서 목록.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19 

  13. 이정화. 제중신편의 인용문헌 연구. 서지학보. 2010. 35 

  14. 이진태 저. 안상우 외 5인 역. 국역 단곡경험방 1.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15. 전종욱. 단방신편 이후 문헌전승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 27(4) 

  16. 지창영. 제중신편과 동의보감의 비교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8. 21(2) 

  17. 한국한의학연구원. 내 손안에 동의보감 원문강독편. 광주. 수퍼노바. 2017 

  18. 한지원. 일제강점기 단방신편의 편제와 내용. 장서각. 2015. 33. 

  19. 황영원. 가려진 의생단체의 모습. 사림. 2017. 59 

  20. 황영원. 일제시기 한의학 교육과 전통 한의학의 변모. 의사학. 2018. 27(1) 

  21. 경주시립족보도서관. 달성서씨 학유공파보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jokbo.gyeongju.go.kr 

  22.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신문아카이브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viewer.nl.go.kr 

  23.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s://www.nl.go.kr 

  24. 국립중앙도서관. 조선총독부관보시스템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https://www.nl.go.kr 

  25.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sjw.history.go.kr 

  2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sillok.history.go.kr 

  2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현대인물자료.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db.history.go.kr 

  2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현대잡지자료.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db.history.go.kr 

  2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원문자료검색 원문검색.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kyudb.snu.ac.kr 

  30. 안동권씨 대종회. 안동권씨 인터넷족보.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andongkwon.or.kr 

  31. 인제대학교. 족보도서관.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genealogy.inje.ac.kr 

  32.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장서각.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jsg.aks.ac.kr 

  33.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cited 2020 July 21]; Available from: http://encykorea.aks.ac.kr 

  34.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DB. [cited 2020 July 22]; Available from: https://mediclassics.kr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