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Indicator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3, 2020년, pp.209 - 236  

전정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이용자 경험 지표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 경험요인을 검증하고 지표로 개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사전조사 158명, 본 조사 48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총 7개 경험요인, 37개 세부 경험요인, 105개 시스템 지각요인이 최종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이용자 경험 지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자 경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검증된 평가지표로서 활용하여 각 경험요인에 대한 단순 비교가 아닌 상관관계가 반영된 실효성 있는 평가를 진행해 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a set of user experience indicators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s. The user experience perspectives had emerged as a new analysis standar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media and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The study included a survey...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의 기 수행된 연구들도 요인이나 지표를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정밀한 타당성 조사연구로 이어진 사례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험을 통해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의 경험요인을 도출한 사전연구(전정현, 이지연 2020)의 결과를 실효성 있게 검증하여 도서관, 기록관 등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시스템 분석과 이용자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문헌 및 실험연구를 통해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의 경험요인을 도출한 선행연구 (전정현, 이지연 2020)의 후속연구로, 선행연구 에서 도출된 이용자 경험요인은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험분석을 통해 도출된 실제적 데이터에 근거한 포괄적 요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요인들 간의 관계 여부와 각 요인들이 정보시스템 이용자의 경험을 대표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경험요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지식 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 모형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문헌 및 실험연구를 통해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의 경험요인을 도출한 선행연구 (전정현, 이지연 2020)의 후속연구로, 선행연구 에서 도출된 이용자 경험요인은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험분석을 통해 도출된 실제적 데이터에 근거한 포괄적 요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요인들 간의 관계 여부와 각 요인들이 정보시스템 이용자의 경험을 대표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경험요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지식 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 모형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인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은 도서관, 기록관, 학술정보시스템, 역사사료정보시스템 등 연구 활동의 기반이 되는 지식자원을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으로, 시스템 이용목적이 기타 상업적 정보시스템들에 비해 분명하고, 해당목적을 위해 시스템 이용이 필수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반영되지 않았던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의 이용 경 험 측면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의 총체적 경험구 조를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에 대한 기대수준에 따른 경험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고자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대수준 관련 문항 3개 항목에 대한 응답 평균인 3.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지식정보자원제공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확장된 이용성 판단기준으로 중요시 되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경험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검증하여, 이를 기반으로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용자 경험 지표 개발은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이용자 경험 지표 개발은 기존의 방대한 관련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지식정보시스템에 특화된 경험요인을 도출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기 수행된 연구들도 요인이나 지표를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정밀한 타당성 조사연구로 이어진 사례는 찾기 힘들다.
도서관은 기관의 정보자원을 이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무엇을 운영하는가? 도서관을 비롯한 정보자원 제공기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집과 관리를 통해 축적한 기관의 정보자원을 이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주요 정보자원 소장기관들은 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 기반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의 정보추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용자 경험이란? 이용자 경험은 제품이나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예상하거나, 이용한 결과로 나타난 사람의 인지와 반응을 의미하는 개념으로(ISO 9241-210), 문헌정보학 분야보다는 융합적 성격의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분야에서 주로 모바일 기반의 정보미디어와 서비스를 대상으로 실제적 측면의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김소현, 하현남 2014; 김진우 2012; 이동원 외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g, H. E. 2012. "The impact of user interface and emotional experience on brand ident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8(1): 1-12. 

  2. Kim, S. H. and Kim, N. Y. 2011. "Knowledge Hierarchy for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2): 711-722. http://doi.org/10.5392/JKCA.2011.11.12.711 

  3. Kim, S. H and Ha, H. N. 2014. "Study on UX Satisfaction Index According to Types of Mobile Commerce Services."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9(2): 53-59. 

  4. Kim, J. W. 2012. Human-Computer Interaction: Principles and methods for UX innovation. Paju: Ahn Graphics. 

  5. Kim, H. K. et al. 2009. "The definition of user experience through a literature survey."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05-309. 

  6. Kim, H. J. el al. 2012. "Developing an User Experience Evaluation System." Proceeding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356-1362. 

  7. Maeng, S. W. and Lee, E. J. 2008.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Model in Product Design- focused on the Information Appliance." Proceeding of HCI KOREA, 874-879. 

  8. Moon, J. H. 2008. "Conceptual Study on User Experience in HCI: Definition of UX and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CX (Co-Experience)."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3(1): 9-17. 

  9. Moon, H. Y. et al. 2010. "A literature survey of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Proceeding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14-117. 

  10. Seo, E. K. 2011. "A Review on User Interface Research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7-31. http://doi.org/10.3743/KOSIM.2011.28.4.007 

  11. Son, Y. M and Lim, J. H. 2014. "A Study on the Mobile Application UX Assessment Table Development for Infant Educ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3(3): 63-72. http://doi.org/10.21195/jidr.2014.13.3.006 

  12. Oh, I. K. and Jung, S. G. 2014.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rends on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Journal of Digital Design, 14(2): 247-256. http://doi.org/10.17280/jdd.2014.14.2.024024 

  13. Lee, J. H. 2008. "How to Measure the User Experience?." Proceeding of HCI KOREA, 851-856. 

  14. Lee, D. W. et al. 2011. "A Study on Technology Valuation Method considering UX." Proceeding of HCI KOREA, 1146-1149. 

  15. Lee, C. W. 2010. "The Status of Cultural Interface by Emergence of New Media's Cont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33: 26-34. 

  16. Jeong, S. J. and Lee. J. Y. 2011.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for the Usability of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355-376. http://doi.org/10.3743/KOSIM.2011.28.3.355 

  17. Chun, J. H. and Lee. J. Y. 2020.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Factor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7(2): 353-379. 

  18. Alben, L. 1996. "Quality of experience: Defining the criteria for effective interaction design." Interactions, 3(3): 11-15. 

  19. Arhippainen, L. and Tahti, M. 2003. "Empirical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 in two adaptive mobile application prototypes." Mobile and Ubiquitous Multimedia, 27-34. 

  20. Forlizzi, J. and Ford, S. 2000. "The building blocks of experience: An early framework for interaction designers."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419-423. 

  21. Forlizzi, J. and Battarbee, K. 2004. "Understanding experience in interactive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5th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Processes, Practices, Methods, and Techniques, 261-268. ACM. 

  22. Garrett, J. J. 2010.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User-Centered Design for the Web and Beyond. London: Pearson Education. 

  23. Kujala, S. et al. 2011. "UX Curve: A method for evaluating long-term user experience." Interacting with Computers, 23(5): 473-483. https://doi.org/10.1016/j.intcom.2011.06.005 

  24. Kuniavsky, M. 2007. User experience and HCI.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Handbook: Fundamentals, Evolving Technologies, and Emerging Applications. 2nd Ed. New York, US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5. Law et al. 2009. "Understanding, scoping and defining user experience: A survey approach."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719-728. ACM. 

  26. Leong, T. W. 2006. "Designing for experiences: randomness as a resource." In Proceedings of the 6th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346-347. ACM. 

  27. McNamara N. and Kirakowski, J. 2006. "Functionality,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Three areas of concern." Interactions, 13(6): 26-28. 

  28. Nielsen. J. 1994. Usability Engineering, Cambridge. MA: Academic Press. 

  29. Norman, D. A. 2013. The Design of Everyday Things: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NY, USA: Basic Books. 

  30. Norman, D. A. 1998. The Invisible Computer. Cambridge, USA: MIT Press. 

  31. Obrist, M., Roto, V. and Vaananen-Vainio-Mattila, K. 2009. "User experience evaluation: Do you know which method to use?." In CHI '09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763-2766. ACM. https://doi.org/10.1145/1520340.1520401 

  32. Park, J. H. et al. 2011. "Development of web based UX diagnosis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ized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in the IoT era." The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er Human Interactions(ACHI), (march): 299-304, Nice, France. 

  33. Roto, V. 2006. Web Browsing on Mobile Phones -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 Ph.D. diss., Department of Technology, Helsinki University, Finland. 

  34. Schaik. P. V. and Ling, J. 2008. "Modelling user experience with web sites: Usability, hedonic value, beauty and goodness." Interacting with Computers, 20(3): 419-432. 

  35. Tullis, T. and Albert, B. 2008.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Collecting, Analyzing, and Presenting Usability Metrics. San Fransisc, CA: Morgan Kaufmann. 

  36. Vermeeren, A. P., Law, E. L. C., Roto, V., Obrist, M., Hoonhout, J. and Vaananen-Vainio-Mattila, K. 2010.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 needs." In Proceedings of the 6th Nordic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Extending Boundaries, 20(3): 521-530. ACM. https://doi.org/10.1145/1868914.1868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