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u3Al5-xGaxO12:Ce3+,Cr3+ 형광체의 결정구조 분석 및 잔광성 발광 특성
Crystal Structure Refinement and Persistent Luminescence Properties of Lu3Al5-xGaxO12:Ce3+,Cr3+ Phosphor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30 no.8, 2020년, pp.413 - 420  

김지원 (경기대학교 신소재 공학과) ,  김영진 (경기대학교 신소재 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u3Al5-xGaxO12:Ce3+,Cr3+ powders are prepared using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To determine the crystal structure, Rietveld refinement is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Ga3+ ions preferentially occupied tetrahedral rather than octahedral sites. The lattice constant linearly increases, ob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0) 정량적 혼합물은 24시간 볼밀 하였고, 1,700°C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LuAG:Ce3+ 분말의 경우 수소 분위기에서 합성을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대기 분위기에서 분말 합성을 하였다. 이는 수소 분위기 하에서의 Ga2O3 기화를 막기 위함이며, 우리의 앞선 연구 결과에서는 대기 분위기에서도 전하 보상에 의하여 Ce4+→Ce3+ 환원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LuAGxG:Ce3+,Cr3+ (x = 0, 1, 2, 3) 분말의 결정 구조해석과 PersL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Al3+ 자리에 치환된 더 큰 이온 반경을 갖는 Ga3+는 치환량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결정구조와 발광 특성에 다양하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 여기서 얻어진 각 원자의 와이코프 위치(Wyckoff position)와 그 자리를 차지하는 분율(site occupancy factor)을 이용하여 Al과 Ga 원자들의 사면체와 팔면체 자리를 차지하는 분율을 계산하였다. 각 양이온과 산소 이온 간의 거리는 구조 분석에서 얻어진 최인접 거리로 구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입자 모양은 전계 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JEOL JSM-6500F, 2.
  • 리트벨트 구조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LuAGxG:Ce3+,Cr3+에서 총 Al과 Ga 원자들 중에서 사면체 자리를 차지하는 분율(FT, %)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4와 같다. Al과 Ga 원자에 해당하는 분율은 각각 FT,Al과 FT,Ga이다.
  • 0 kV]으로 관찰하였다. 발광 특성은 Xe 램프(500 W)가 부착된 광루미네선스 시스템[photoluminescence (PL) system, PSI Darsa-5000]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PersL는 시편 분말을 365 nm 근자외선 램프로 1시간 동안 여기 시킨 후, 여기 광원을 제거하고 분광복사기(spectroradiometer, Konica Minolta, CS-2000, 측정 파장: 380 ~ 780 nm)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uAGxG:Ce3+,Cr3+ 분말을 고상법으로 합성하고, 리트벨트 구조분석(Rietveld refinement)과 PersL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분석 결과에 의하면 Al 자리에 치환된 Ga 이온은 팔면체 자리 보다는 사면체 자리에 우선적으로 치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큰 이온 반경을 갖는 Ga3+는 격자 상수의 증가를 가져왔다.
  • 5406 Å]로 분석하였고, 리트벨트 구조분석법은 X′pert HighScore Plus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각 원자의 와이코프 위치(Wyckoff position)와 그 자리를 차지하는 분율(site occupancy factor)을 이용하여 Al과 Ga 원자들의 사면체와 팔면체 자리를 차지하는 분율을 계산하였다. 각 양이온과 산소 이온 간의 거리는 구조 분석에서 얻어진 최인접 거리로 구하였다.
  • 각 양이온과 산소 이온 간의 거리는 구조 분석에서 얻어진 최인접 거리로 구하였다. 합성된 분말의 입자 모양은 전계 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JEOL JSM-6500F, 2.0 kV]으로 관찰하였다. 발광 특성은 Xe 램프(500 W)가 부착된 광루미네선스 시스템[photoluminescence (PL) system, PSI Darsa-5000]으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LuAGxG:Ce3+,Cr3+ (x = 0, 1, 2, 3) 분말을 Lu2O3(Neo Performance Materials, 99.99 %), Al2O3(Kojundo Chemical Laboratory, 99.99 %), Ga2O3(Kojundo Chemical Laboratory, 99.99 %), Cr2O3(Sigma-Aldrich, 99.9 %), CeO2(Grand Ceramic & Materials, 99.99 %)를 사용하여 고상법으로 합성하였다.

이론/모형

  • 합성된 분말의 결정구조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는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ometer (XRD), Malvern Panalytical, Empyrean, λ = 1.5406 Å]로 분석하였고, 리트벨트 구조분석법은 X′pert HighScore Plus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 Saito, N. Adachi and H. Kondo, Opt. Express, 15, 1621 (2007). 

  2. J. Xu, S. Tanabe, A. D. Sontakke and J. Ueda, Appl. Phys. Lett., 107, 081903 (2015). 

  3. X. Lin, R. Zhang, X. Tian, Y. Li, B. Du, J. Nie, Z. Li, L. Chen, J. Ren, J. Qiu and Y. Hu, Adv. Opt. Mater., 6, 1701161 (2018). 

  4. H. Li, S. Yin, Y. Wang and T. Sato, RSC Adv., 2, 3234 (2012). 

  5. H. Sun, L. Pan, X. Piao and Z. Sun, J. Colloid Interface Sci., 416, 81 (2014). 

  6. T. Matsuzawa, Y. Aoki, N. Takeuchi and Y. Murayama, J. Electrochem. Soc., 143, 2670 (1996). 

  7. M. Zheng, X. Chen, B. Lei, Y. Xiao, R. Liu, H. Zhang, H. Dong, Y. Liu and X. Liu, ECS Solid State Lett., 2, R19 (2013). 

  8. H. He, R. Fu, X. Song, R. Li, Z. Pan, X. Zhao, Z. Deng and Y. Cao, J. Electrochem. Soc., 157, J69 (2010). 

  9. Y. Li, Y. Y. Li, K. Sharafudeen, G. P. Dong, S. F. Zhou, Z. J. Ma, M. Y. Peng and J. R. Qiu, J. Mater. Chem. C, 2, 2019 (2014). 

  10. N. Yu, F. Liu, X. Li and Z. Pan, Appl. Phys. Lett., 95, 231110 (2009). 

  11. A. A. Setlur and A. M. Srivastava, Opt. Mater., 29, 1647 (2007). 

  12. P. Schlotter, R. Schmidt and J. Schneider, Appl. Phys. A: Mater. Sci. Process., 64, 417 (1997). 

  13. S. Nakamura and G. Fasol, The Blue Laser Diode: GaN Based Light Emitters and Lasers, p. 216, Springer, Berlin (1997). 

  14. W. W. Holloway and M. Kestigian, J. Opt. Soc. Am., 59, 60 (1969). 

  15. J. Xu, J. Ueda and S. Tanabe, J. Mater. Chem. C, 4, 4380 (2016). 

  16. J. Ueda, K. Kuroishi and S. Tanabe, Appl. Phys. Lett., 104, 101904 (2014). 

  17. J. Ueda, P. Dorenbos, A. J. J. Bos, K. Kuroishia and S. Tanabea, J. Mater. Chem. C, 3, 5642 (2015). 

  18. J. Xu, J. Ueda, K. Kuroishi and S. Tanabe, Scr. Mater., 102, 47 (2015). 

  19. V. Boiko, J. Zeler, M. Markowska, Z. Dai, A. Gerus, P. Bolek, E. Zych and D. Hreniak, J. Rare Earth, 37, 1200 (2019). 

  20. J. Ueda, S. Miyano and S. Tanabe, ACS Appl. Mater. Interfaces, 10, 20652 (2018). 

  21. L. Yuan, Y. Jin, D. Zhu, Z. Mou, G. Xie and Y. Hu, ACS Sustainable Chem. Eng., 8, 6543 (2020). 

  22. V. Laguta, Y. Zorenko, V. Gorbenko, A. Iskaliyeva, Y. Zagorodniy, O. Sidletskiy, P. Bilski, A. Twardak and M. Nikl, J. Phys. Chem. C, 120, 24400 (2016). 

  23. Z. Song, Z. Xia and Q. Liu, J. Phys. Chem. C, 122, 3567 (2018). 

  24. K. Kamada, T. Endo and K. Tsutumi, Cryst. Growth Des., 11, 4484 (2011). 

  25. I. I. Vrubel, R. G. Polozkov, I. A. Shelykh, V. M. Khanin, P. A. Rodnyi and C. R. Ronda, Cryst. Growth Des., 17, 1863 (2017). 

  26. W. Ahn and Y. J. Kim, Ceram. Int., 43, S412 (2017). 

  27. J. Xu, J. Wang, Y. Gong, X. Ruan, Z. Liu, B. Hu, B. Liu, H. Li, X. Wang and B. Du, J. Eur. Ceram. Soc., 38, 343 (2018). 

  28. M. Rathaiah, M. Kucera, P. Prusa, A. Beitlerova and M. Nikl, Opt. Mater., 91, 321 (2019). 

  29. J. Kim and Y. J. Kim, J. Korean Ceram. Soc., 57, 85 (2020). 

  30. J. Kim, C. K. Lee and Y. J. Kim, Opt. Mater., 104, 109944 (2020). 

  31. Y.-N. Xu and W. Y. Ching, Phys. Rev. B, 59, 10530 (1999). 

  32. M. Marezio, J. P. Remeika and P. D. Dernier, Acta Crystallogr. B, 24, 1670 (1968). 

  33. A. Nakatsuka, A. Yoshiasa and T. Yamanaka, Acta Crystallogr. B, 55, 266 (1999). 

  34. R. G. Burns, Geochim. Cosmochim. Acta, 39, 857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