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ntal hygiene student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0 no.4, 2020년, pp.409 - 419  

문상은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  홍선화 (전남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이보람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resource on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It also intend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future dental hygienists by analyzing the clinical roles of currently practicing dental hygienists through the perspectiv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 병‧의원에서 12주간 임상실습을 마친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들의 역할과 실제 수행 업무에 대한 생생한 관찰과 경험을 통해, 예비치과위생사의 치과위생사 직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체성 확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1명의 참여자로부터 도출된 임상실습 경험은 ‘깨달음의 길’, ‘고난과 도생의 길’, ‘묵인된 업무 수행’, ‘복지의 사각지대’의 4가지 본질적 주제와 11개의 하위 주제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학생으로서의 관점과 언어를 통해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들의 역할과 실제 수행 업무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 치과위생사의 올바른 역할 수행과 예비치과위생사의 정체성 확립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이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실제 수행 업무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예비치과위생사가 임상실습을 통해 경험한 본질을 규명함과 동시에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가 처한 환경을 공감하고 이해하면서 교육과 현실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비판적 사고로 임상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위생사는 어떤 업무를 담당하는가? 치과위생사는 예방치과 처치 및 교육, 치과진료 협조 등의 업무를 지원하여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의 일익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으로, 우리나라의 치위생 교육은 1965년에 시작되어 현재 전국 82개 대학(교)에서 매년 약 5,000여 명의 학사 및 보건학사가 배출되고 있다[1].
치과위생사의 2018년 부터의 신규면허 취득자 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최근 3년간 신규면허 취득자는 2018년 4,710명, 2019년 4,510명, 2020년 4,890명이며[2], 실제로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는 2020년 5월 기준 전국에 총 44,005명으로 보고되고 있다[3]. 지속적으로 인력이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환경과 부적절한 업무량, 위계적인 상하 관계 및 복지는 전문성 결여를 초래하여 치과위생사로 하여금 잦은 이직과 퇴직 의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4].
스텝들 상호 간 이해 및 존중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들은 연차 및 선후배에 따른 수직적 관계는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스텝 간 관계 형성이 업무의 내용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선배나 연차가 높은 스텝으로부터 받는 과도한 꾸짖음, 오픈된 공간에서의 태움, 구박받고 예상치 못한 일들이 펼쳐지는 임상현장은 두려운 곳이다[23]. 갈등 상황 속에서 치과위생사들은 마음이 통하는 동료의 지지와 조력, 능동적인 대처로 위기를 극복하고 있으나, 반면 상황에 대한 회피, 심할 경우 퇴사를 선택하는 등 문제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24]. 따라서 임상현장에서는 스텝들 상호 간 이해 및 존중 관련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Homepage[Internet]. [cited 2020 Feb 10]. Available from: http://www.kdha.or.kr/introduce/dentalhygienist.aspx#introduce. 

  2.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National examination pass rate by year[Internet]. [cited 2020 July 04]. Available from: http://www.kuksiwon.or.kr/Publicity/ExamStatistic.aspx?SiteGnb5&SiteLnb2. 

  3.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employed persons by occupation[Internet]. [cited 2020 July 0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A. 

  4. Lee HJ, Shin SJ, Bae SM, Shin BM. Issues and challenges of dental hygienist workforce policy in Korea. J Korea Cont Assoc 2019;19(2):409-23.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409 

  5. Choi HJ, Jung JH, Joo GM. Influencing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 J Korean Soc Dent Hyg 2018;18(6):1057-66.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91 

  6. Park SA, Lee JY. A literature review on measurement tools for dental hygienist turnover intention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9;19(1):1-17.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01 

  7. Lee HN, Kim EM. Anxiety and fatigue related to dental practic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2):131-7.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2.131 

  8. Park MY.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 of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2006;4(6):243-9. 

  9. Son JL, Lee EB, Jang JH. Relationship between incivility through clinical experience and major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5):701-8.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5.701 

  10. Han YK, Kim HH.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15;15(4):457-64. https://doi.org/10.17135/jdhs.2015.15.4.457 

  11. Shim HS, Lee HN. The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and the stress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the clinical training lnstitutions. J Korean Society of Health and Welfare 2019;21(2):103-18. https://doi.org/10.23948/kshw.2019.06.21.2.103 

  12. Min HH. Influencing factors of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dental hygiene student. J Korean Soc Dent Hyg 2019;19(4):525-33.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46 

  13. Oh NR, Kim HK. Impact of spirituality on clinica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 Cont Assoc 2019;19(10):463-71. https://doi.org/10.5392/JKCA.2019.19.10.463 

  14. Youn HJ, Jung JO, Lee KH. Dental hygienist imag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J Korean Soc Dent Hyg 2012;12(4):781-92. 

  15. Kyung HI, Kim YW, Eom JH, Lee JH, Cho EJ, Park GE, et al. In-depth interview of senior dental hygienists regarding various career paths for future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2015;15(2):153-8. https://doi.org/10.17135/jdhs.2015.15.2.153 

  16. Giorgi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Korea Center for Qualitative Methodology Workshop Material 2004. 

  17.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 Phenomenol Psychol 1997;28(2):235-60. https://doi.org/10.1163/156916297X00103 

  18. Seggern MV, Young NJ. The focus group method in libraries: issues relating to process and data analysis. Reference Services Review 2003;31(3):272-84.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86872 

  19. Kim HJ, Kim CN. Review of literatures on focus group method in qualitative stud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1;5(1):1-21. 

  20. Yang JH. The experienc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 Qual Res 2005;6(2):51-64. 

  21. Song HS, Lim SH.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JMAHS 2019;9(5):533-43.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5.049 

  22. Shin SJ, Yang EB, Hwang EH, Kim KH, Kim YJ, Jung DY.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7;19(2):76-82. https://doi.org/10.17496/kmer.2017.19.2.76 

  23. Lee HS, Kim SJ, Park SY. Newly nurses' experience in their first year of practice. J Qual Res 2017;18(2):131- 44. https://doi.org/10.22284/qr.2017.18.2.131 

  24. Kang HS, Moon KS, Kang BW, Kim NH, So MH, Song KS, et al. Survey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national clinical dental hygienists. Seoul: Korea Dental Hygiene Association; 2018: 1-110. 

  25. Moon SE, Hong SH, Kim NY. A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scope in dental healthcare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9;19(6):907-18.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77 

  26. Moon SE, Hong SH. The correlation of dental hygienist's educational experience in infection control with the activity ratio of infection control in health belief model. J Dent Hyg Sci 2015;15(4):430-6. https://doi.org/10.17135/jdhs.2015.15.4.430 

  2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Internet]. [cited 2020 July 05].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search/search.es?mida20101000000 

  28. Bae SM, Kim HK. A status of determinant of the intention to turnover for dental hygienists. J Kor Acad Industr Coop Soc 2012;13(12):5986-9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5986 

  29. Han SY. Effects of job stress, fatigue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 of Chungnam National,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