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암사에서 발견되는 일본정원요소와 작정기법연구
Japanese Landscape Elements Found and Building Methodology of Sunam Templ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20년, pp.31 - 41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김인혜 ((주)강원랜드) ,  이경복 (대성이엔씨) ,  이혁재 (사단법인 한국정원디자인학회)

초록

전라남도의 선암사는 통일신라말에 창건된 이래 오늘날까지 호남의 대표적인 사찰로서 그 법통을 이어가고 있으나, 거듭되는 변화와 발전과정 속에서 전통사찰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관적 정체성이 상당부분 훼손되었으며, 특히 일본양식이 도입되어 있어 경관의 원형상에 대한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로 선암사의 경우에는 한국전통사찰에서 나타나는 전통성있는 식재경관과는 상이하며, 정원요소들도 일본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선암사의 원형경관이 변형된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변화와 1976년도에 있었던 조경사업으로 인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관적 변화를 파악하고, 일본식 정원요소와 작정기법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선암사의 경관적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주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현장조사, 스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선암사는 일본의 조경양식으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이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요소를 감추려다 오히려 더 일본식 경관이 연출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its foundatio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Sunam Temple in Jeollanam-do has well preserved its reputation as a representative temple in Honam.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history as the temple went through many changes and development, much of its landscape identity were lost or damaged. At...

주제어

표/그림 (2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님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현재 선암사에 잔존하는 정원 양식의 경관적 변화를 파악하고. 경관적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그리고 각 조경요소들이 일본정원에서볼 수 있는 요소들과 비교함으로써 선암사의 조경요소가 한국의 전통사찰의 조경요소와 어떻게 상이한지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선암사의 조경요소의 정체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조경요소들의 작법을 분석하여 선암사에서 이루어진 조경불사가 일본양식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연구기간에 선암사에 대한 답사는 총 7회 실시되었다.
  • 단, 사찰의 경계부 내측에 대한 식물에 한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돌은 선암사에 아직 많이 남아있는 석조(石組)에 대해서조사분석하여 그것의 조성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편, 석단이나 계단 등의 경우에는 근년에 이루어진 조경정비불사로인하여 대부분 개선되었으나 아직까지 남아있는 일본양식의잔재들을 조사하여 그것이 어떠한 모습으로 남아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선암사의 정원양식의 조경요소 및 작정기법에 대하여 문헌조사와 여러차례에 걸친 현지조사. 스님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현재 선암사에 잔존하는 정원 양식의 경관적 변화를 파악하고.
  •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 현재 선암사의 조경요소와 그것의 작정기법을 조사하여 선암사에 잔존하는 정원 양식의 경관적 변화를 파악하고 현재 잔존하고 있는 일본식 정원요소와 작정기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문헌조사와 여러차례에 걸친 현지조사. 스님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현재 선암사에 잔존하는 정원 양식의 경관적 변화를 파악하고. 경관적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조경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1992년에 실시한 선암사의 식재와 지당에 관한조사연구가 선암사 조경에 대해서 이루어진 가장 이른 연구인더】. 이 연구에서는 선암사에 남아있는 지당을 측량하여 규모와형태의 특성을 밝히고, 식재현황을 조사하여 조경수목의 특성을 소상히 밝히고 있다. 그 후에 이루어진 연구로는 1997년에실시한 것으로, 선암사의 수경관을 측량하여 전모를 밝히고 식재현황을 전수조사하여 식재와 물의 사용이 외래적 특징을 보인다고 주장하였다[6].
  • 돌은 선암사에 아직 많이 남아있는 석조(石組)에 대해서조사분석하여 그것의 조성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편, 석단이나 계단 등의 경우에는 근년에 이루어진 조경정비불사로인하여 대부분 개선되었으나 아직까지 남아있는 일본양식의잔재들을 조사하여 그것이 어떠한 모습으로 남아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unhwajechung.Suncheonsi(2002). Sunamsa Deungjeon 仙巖寺 大雄殿 實測調査 復元工事 報告書 

  2. Japanese Government General Korea. (2005). Historic Place Painting in Joseon, 1932(2005), Minjokmunhwa Publishing. 

  3. Lee, Y. S. (1992). Sunam Temple. The Namdo Buddhist Culture Research Society. 

  4. Kim, J. S. (1997). A Study on Site Selec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Sunam Temple at Jogye Mountain. Doctoral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5. Kim, W. J. (2002). History and Architectur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rion. 

  6. Ha, J. H. (1997). A Study on Exceptional Phenomena Found in Plantscapes and Waterscapes at the Sunam Temple on Mt. Choky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 

  7. Ha, J. H. and Hong, K. P. (1998) A Study on the Plantscape of the Sunam-sa Temple on Mt. Choky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6(3); 23-33. 

  8. Beak, D. I. (2011). A Study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cenic Planting Following Spatial Arrangement of Temples in the Greater Chunnam A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sin Univ. 

  9. Kim, S. Y. Translation(2012), Sakuteiki: Visions of the Japanese Garden. Goyang: Yeonamseoga Publishing Co. 

  10. You, J. H., Hong, K. P and Lee, D. H. (2010) Landscape Plants and Planting Characteristics of Three-Treasure Templ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8(1); 119-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