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정보의 모호성 차이가 유관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남구민과 서초구민의 비교
The effect of ambiguity of information on Covid-19 patients' contact trace on intention to visit the commercial district: Comparison of residents in Gangnam-gu and Seocho-gu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179 - 184  

민동원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에 대한 지자체의 정보공개의 모호성 차이가 해당 지역상권에 대한 소비심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정보공개 방식이 모호한 강남구와 상세한 서초구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구가 발표하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의 모호성 판단이 확진자 동선 인근의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거주지 인근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에 대한 정보가 모호(vs. 상세)하다고 느낄수록 불안감이 높았으며, 이는 유관 상권에 대한 방문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차이는 각 구에 따라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연령과 성별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소비심리의 장기적 변화, 내재된 불안감의 영향,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 차이 등을 담은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local government's information release range on Covid-19 patients' contact trace on consumer sentiment in the region. One hundred twenty-eight residents of Gangnam-gu and Seocho-gu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ambiguity of i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특별히 불안 관련한 병증이 있지 않더라도 코로나19 발생 이후 특성 불안(trait anxiety) 즉, ‘불안을 일으키는 특별한 사건이나 상황 또는 대상이 없음에도 막연하지만 지속적으로 느끼는 불안’이 사람들에게 내재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 본 연구는 강남구와 서초구 거주자가 지각하는 각 구청 제공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정보의 모호성이 동선 인근의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코로나19는 그 전파성으로 인해 전세계 유례없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사람들의 일상을 크게 바꾸어 놓았 으며, 빠른 확산속도 및 백신의 부재 등으로 인해 불안감 또한 높였다.
  • 더구나 생활권이 상당수 공유되는 인접 자치구의 정보공개와 극명히 비교가 되면, 강남구의 정보가 갖는 상대적 모호성이 더욱 크게 지각될 수 있고, 이 경우 더욱 불안과 부정적 추론이 커질 가능성 또한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정적 반응은 각 구청에서 공지한 확진자 동선 인근의 상권에 대한 더 강한 심리적 회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예상을 다음의 가설로 정리하고, 이를 강남구민과 서초구민을 대상으로 조사해 검증하였다.
  • 이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지자체의 코로나19확진자 동선정보 공개의 범위와 동선유관 상권에 대한 소비 심리 간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20년 3월 14일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증상 발생 이틀 전부터 격리일까지의 동선 중 접촉자가 다녀간 장소 및 이동수단을 공개해야 한다고 발표하였다.
  • 추가적으로, 실제 강남구민과 서초구민이 각 지자체가 제공하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정보에 대해 지각하는 모호성, 이 정보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관련 상권에 대한 방문 의도가 다른지와 이에 불안감이 매개했는지에 대한 분석도 진행되었다. t-test 결과, 강남구민(M = 5.
  • 그런데 각 지자체별로 제공하는 코로나19 정보 범위가 매우 상이해 이에 대한 일관성 문제가 수차례 지적되어왔다. 특히 본 연구는 서울시의 25개 자치구 중에, 서베이가 종료된 2020년 4월 13일까지 가장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구인 강남구(59명)와 4위인 서초구(36명)를 중심으로, 이들이 공개한 확진자 동선정보의 내용과 전달방식이 해당 자치구 내의 상권 이용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동안 강남구와 서초구는 구 내의 코로나19 확진자동선 정보와 관련해 공개 양상에 큰 차이를 보여왔다.

가설 설정

  • 4.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에 대한 정보의 모호성이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인근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에 대한 정보에 대한 불안감이 매개할 것이다.
  • 가설 2.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에 대한 정보의 모호성은 불안감을 높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20년 6월 25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걸린 국내 확진자 수는 몇명인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서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전파되었으며, 국내 확진자 수는 2020년 6월 25일 0시 기준으로 12,563명(2020년 1월 3일 이후 누계)에 달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적인 사회활동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비대면적인 인터넷 쇼핑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산업에서 소비가 급감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은 어디서 발생하였는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서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전파되었으며, 국내 확진자 수는 2020년 6월 25일 0시 기준으로 12,563명(2020년 1월 3일 이후 누계)에 달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적인 사회활동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비대면적인 인터넷 쇼핑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산업에서 소비가 급감하였다.
상대적으로 정보공개 방식이 모호한 강남구와 상세한 서초구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구가 발표하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의 모호성 판단이 확진자 동선 인근의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및 분석 한 결과는? 특히 상대적으로 정보공개 방식이 모호한 강남구와 상세한 서초구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구가 발표하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의 모호성 판단이 확진자 동선 인근의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거주지 인근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에 대한 정보가 모호(vs. 상세)하다고 느낄수록 불안감이 높았으며, 이는 유관 상권에 대한 방문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차이는 각 구에 따라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연령과 성별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소비심리의 장기적 변화, 내재된 불안감의 영향,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 차이 등을 담은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k of Korea(Apr. 2020). Consumer Survey Index. 

  2. S. E. Taylor (1991). Asymmetrical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The mobilization-minimization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1), 67-85. DOI:10. 1037/0033-2909.110.1.67 

  3. H. Ohira, W. Winton, & M. Oyama (1998). Effects of stimulus valence on recognition memory and endogenous eyeblinks: Further evidence for positive-negative asymmetr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9), 986-993. DOI:10.1177/0146167298 249006 

  4. C. Finkenauer & B. Rime (1998). Socially shared emotional experiences vs. emotional experiences kept secret: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7(3), 295-318. DOI:10.1521/jscp.1998.17.3.295 

  5. C. Beard, A. T. Sawyer, & S. G. Hofmann (2012), Efficacy of Attention Bias Modification Using Threat and Appetitive Stimuli: A Meta-Analytic Review, Behavioral Therapy, 43(4), 724-740. DOI: 10.1016/j.beth.2012.01.002 

  6. S. Eldar, T. Ricon, & Y. Bar-Haim (2008). Plasticity in attention: Implications for stress response in childre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6(4), 450-461. DOI: 10.1016 /j.brat.2008.01.012 

  7. M. Neta, J. Cantelon, Z. Haga, C. R. Mahoney, H. A. Taylor & F. C. Davis (2017). The impact of uncertain threat on affective bias: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ambiguity, Emotion. 17(8), 1137-1143, DOI:10.1037/ emo0000408 

  8. B. Lowe, I. Wahl, M. Rose, C. Spitzer, H. Glaesmer, K. Wingenfeld, A. Schneider & E. Brahler. (2010). A 4-item measure of depression and anxiety: Valid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4 (PHQ-4)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2(1-2), 86-95. DOI: 10.1016/j.j ad. 2009.06.019 

  9. D. Min & K. Park (2017). The Role of Justice Belief in Coping with Threats to Socioeconomic Status through Status Consumption, Korean Journal of Marketing, 32(6), 1-27. DOI: 10. 15830/kmr.2017.32.1.1 

  10. D. Min. (2016).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position on Omni-Channel Shopping in the Age of Digital Convergene: Focusing on Extraversion- Introversion and Variety-Seeking Tendency,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1), 91-97. DOI: 10.14400/JDC.2016.14.1.91 

  11. D. Min. & J. Kim. (2013). Is Power Powerful? Power, Confidence, and Goal Pursuit. Internati- 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30(3), 265-275. DOI: 10.1016/j.ijresmar.2012.12.001 

  12. Segye.com(06. Mar. 2020).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306509820 

  13. IMF(2020. 04). World Economic Outlook. 

  14. Washington Examiner (2020. 03. 11). https://www.washingtonexaminer.com/opinion/what-america-can-learn-from-south-koreas-coronavirus-response 

  15. D. Min (2020), The Effects of Age and Type of Imperative Statemen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Recall,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8(1), 53-58. DOI: 10.14400/JDC.2020.18.1.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