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의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Resilience in Middle-aged adults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253 - 261  

이정숙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의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매개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45-64세 중년 148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회복력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회복력의 차이는 연령, 종교, 건강에서 유의미했다.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회복력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회복력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 삶의 이미는 물론 자아존중감이 증진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이것은 그들이 중년기를 건강하게 보내고 삶의 질이 증진되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resilience in middle-aged ad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9 by giving a questionnaire to 148 middle-aged adults between the ages of 45-64 years. The 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삶의 의미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주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의 삶의 의미가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들이 중년기를 건강하게 보내고 삶의 질이 증진되도록 하는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삶의 의미는 회복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도 회복력이 높아지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예측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삶의 의미와 회복력 사이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중년 대상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17,23], 회복력과 자아존중감[22]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회복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연구[13]는 드물었다.
  • 본 연구는 중년의 삶의 의미가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의 삶의 의미가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의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중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삶의 의미와 회복력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였으므로 삶의 의미와 회복력은 물론 자아존중감 향상에 초점을 두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중년의 삶의 의미와 회복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72점이었다.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은 1이하로 정규성을 가정하였다. Table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력이란 무엇인가? 회복력은 역경에 적절히 대처하여 성공적으로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다[5]. 회복력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변화하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6], 미래에 대해 낙관적이어서[7] 회복력이 낮은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다고 느낀다[8,9].
중년의 회복력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 삶의 의미는 물론 자아존중감이 증진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회복력의 차이는 연령, 종교, 건강에서 유의미했다.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회복력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삶의 의미와 회복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회복력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 삶의 이미는 물론 자아존중감이 증진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중년의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기술의 발달로 기대수명이 연장되고 중년기 이후의 삶이 길어지면서 중년의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중년기는 사회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대로[2], 현재의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노후의 삶을 준비하는 시기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O. S. Lee & S. H. Park. (2016).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Who use the Life Gy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327-334. DOI : 10.5762/KAIS.2016.17.8.327 

  2. N. H. Jo & C. H. Seong. (2016). Effects of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89-97. DOI : 10.15207/JKCS.2016.7.6.089 

  3. H. K. Chang & J. N. Sohn. (2017). Factors related to Meaning of life in Middle adul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7), 609-621. DOI : 10.14257/ajmahs.2017.07.90 

  4. J. M. Park.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iddle-Age Meaning in Life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5. K. M. Connor & J. R. T. Davidson. (2003). Development of an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DOI : 10.1002/da.10113 

  6. J. W. Kim. (2011). Resilience. Goyang: Wisdomhouse. 

  7. J. M. Bradley & M. Hojjat. (2017). A model of Resilience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57(5), 588-601. DOI : 10.1080/00224545.2016.1254592 

  8. S. E. Kim. (2019).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Personality and Resilience on Happiness Index.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8), 357-365. DOI : 10.14400/JDC.2019.17.8.357 

  9. J. S. Lee. (2019). The Convergent effect of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Well-being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7), 235-244. DOI : 10.14400/JDC.2019.17.7.235 

  10. M. Earvolino-Ramirez. (2007).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42(2), 73-82. 

  11. W. K. Lee, H. S. Park & J. Y. Lee. (2019).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Aging anxiety on the Mid-life Crisis: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35(2), 99-122. 

  12. S. Y. Park & S. M. Kwon. (2012). A Theoretical review with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Meaning in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3), 741-768. 

  13. M. S. Youn & D. W. Kim.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Low-income middle-aged person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9(2), 349-366. 

  14. D. R. Won, K. H. Kim & S. J. Kwon. (2005).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2), 211-225. 

  15. L. A. King, J. A. Hicks, J. L. Krull & A. K. Del Gaiso. (2006).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1), 179-196. DOI : 10.1037/0022-3514.90.1.179 

  16. M. M. Hedayati & M. M. Khazaei. (2014).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Meaning in life and Adult hop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4, 598-601. DOI : 10.1016/j.sbspro.2013.12.753 

  17. S. H. Jang & H. N. Yeu. (2018).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aning in Life in Middle-aged Adul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2), 432-440. DOI : 10.5762/KAIS.2018.19.12.432 

  18. K. D. Neff. (2011).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1-12. DOI : 10.1111/j.1751-9004.2010.00330.x 

  19. C. M. Yoo. (2018). A Decade of Changes in Two Dimensional Self Esteem: A Life Course Perspectiv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3), 007-044. DOI : 10.15709/hswr.2018.38.3.7 

  20. T. H. Ha. (2016).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Me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125-135. DOI : 10.14400/JDC.2016.14.5.125 

  21. H. R. Lee & Y. S. Lee.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3(2), 467-486. 

  22. E. S. Yi, C. W. An & G. S. Cho. (2017). The Medit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Korean new elderly class's Recovery resilience and Productive ag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255-263. DOI : 10.15207/JKCS.2017.8.5.255 

  23. Y. M. Jung. (2011). Factors Influencing Meaning in Life among the Middle-aged. Korean J Adult Nurs, 23(3), 209-220. 

  24. M. F. Steger, P. Frazier, S. Oishi & M. Kaler.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25.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rinceton University, NJ, USA. 

  26. S. Y. Lee, J. S. Lee & Y. Y. Kim. (2017).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401-409. DOI : 10.14400/JDC.2017.15.5.401 

  27. N. Krause. (2009). Meaning in life and Mortality.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4(4), 517-527. DOI : 10.1093/geronb/gbp047 

  28. S. Y. Kim & J. I. Lee. (2007). A Study on Aging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1), 103-109. 

  29. J. L. Yang & H. S. Song. (2018). The Effects of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the Family functioning of Middle-age Me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 777-788. DOI : 10.21742/AJMAHS.2018.04.47 

  30. H. S. Lee & Y. Ko. (2017). The Effects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1), 58-70. DOI : 10.5932/JKPHN.2017.31.1.58 

  31. Y. W. Kim, H. K. Choi & E. J. Oh. (2018). Convergence study of Menopausal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373-383. DOI : 10.14400/JDC.2018.16.5.373 

  32. Y. J. Oh, S, N. Yoon & E. J. Oh. (2016). The Effect of Resilience and Retirement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a Meaningful Lif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4(4), 157-174. DOI : 10.7466/JKHMA.2016. 

  33. J. H. Shin, H. S. So, & E. A. Kim. (2017).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on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Ostom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29(6), 657-666. DOI : 10.7475/kjan.2017.29.6.657 

  34. E. S. Min. (2017). Relationship Between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4), 199-207. DOI : 10.21184/jkeia.2017.06.11.4.199 

  35. L. L. Phillips, A. L. Paukert, M. A. Stanley & M. E. Kunik. (2009). Incorporating Religion and Spirituality to Improve care for Anxiety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Geriatrics, 64(8), 15-19. 

  36. N. H. Kim & S. Y. Park.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aring burden of Middle-aged Caregivers caring for Chronic disea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 300-310. DOI : 10.5762/KAIS.2019.20.2.300 

  37. J. K. Kim & K. H. Yoo. (2019). Effects of Self-esteem on Nursing Students' Resilienc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6(3), 261-269. DOI : 10.5953/JMJH.2019.26.3.261 

  38. J. K. Jeon, (2017).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in Life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ith Relationship Lo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39-349. DOI : 110.14400/JDC.2017.15.11.3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