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A Longitudinal Causal Rrelationship Study on the Elderly's Assets, Depression and Llife Satisfaction: : The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513 - 522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효과를 분석하고, 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자산과 우울의 영향력을 종단적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9차년도(2014년), 제11차년도(2016년), 제13차년도(2018년) 가구원용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분석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자산, 우울 및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자산(B=.694, B=.725, p<.001), 우울(B=.258, B=.331, p<.001) 및 삶의 만족(B=.264, B=.265, p<.0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회귀계수를 통해 분석대상 기간에 걸쳐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가 상호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이전 시점의 노인의 자산은 이후 시점의 우울(B=.010, B=.011, p<.001), 이전 시점의 노인의 자산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B=.128, B=.124, p<.0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산관리서비스와 지속적인 자산활용 교육 등의 우울 예방서비스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uto-regression effect between the elderly's assets an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pproach the influence of assets and depression on the elderly's life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data for the 9th year (2014), 11t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더해 노인의 균등화 소득의 차이에 따른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집단별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도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자산의 복지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노인의 우울의 감소와 삶의 만족 증진에 필요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연결고리를 포괄적인 수준으로 확장하여 분석하고, 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자산과 우울의 인과관계를 종단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에 더해 노인의 균등화 소득의 차이에 따른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집단별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도 검증하고자 한다.
  • 노인의 자산, 우울,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모형 12)을 대상으로 균등화소득(일반노인, 저소득노인)에 따른 자기회귀계수와 교차지연계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형태동일성 가정이 충족되는지 살펴보았다. 형태동일성은 최종모형인 모형12(Table 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이 분석대상 기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예측하고,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노인의 자산과 우울과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과관계가 일반노인과 저소득노인(경상소득의 중위 60% 이하)사이에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이 분석대상 기간의 경과에 따라 어떤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예측하고,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노인의 자산과 우울과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과관계가 일반노인과 저소득노인(경상소득의 중위 60% 이하)사이에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연결고리를 포괄적인 수준으로 확장하여 분석하고, 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자산과 우울의 인과관계를 종단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에 더해 노인의 균등화 소득의 차이에 따른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집단별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도 검증하고자 한다. 나아가 자산의 복지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노인의 우울의 감소와 삶의 만족 증진에 필요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herraden이 주장하는 자산의 복지효과론의 주된 내용은 무엇인가? 특히, Sherraden(1991)은 자산이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효과를 가진다고 주장한다[15].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산은 미래를 준비하고 설계할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하며, 기술습득에 집중할 수 있게 도움을 주어 사회적 효과를 키울 수 있게 한다[17]. 또한, 자산은 소득의 상실 및 파산 등의 어려움을 감수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주고[18, 19], 자아존중감이나 자아효능감 등을 포함한 심리적 영향을 제공한다[19, 20]. 이러한 자산의 복지효과론에 근거하여 노후 자산 보유수준에 따라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은 변화할 수 있다[21, 22].
자산이란 무엇인가? 자산은 유·무형의 재산으로 권리 또는 청구권이며, 이러한 권리는 문화적 기대와 공식적인 제도에 의해 보장되고 시행된다[6, 15-16]. 이러한 자산은 소득을 소비하고 남은 자금의 비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자산은 소득과 다르다는 점이 특징이다.
노인의 빈곤은 삶의 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3%로 나타나 대부분의 노인의 소득은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자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노인의 부족한 자산과 낮은 경제활동 참여로 인한 경제적 빈곤과 불안상태는 우울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2017). Social Indicators in 2017. 

  2. K.H. Jung et. al. (2017). 2017 Elderl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3. H. W. Kang & K. M. Park. (2012). Comparison of Correlates of Depression in Late-Lif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1), 129-143. UCI : G704-000573.2012.32.1.017 

  4. J. E. Ko & S. H. Lee. (2012). A Multilevel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1), 322-351. UCI(KEPA)I410-ECN-0102-2012-330-003225965 

  5. A. N. Kim & S. A. Choi. (2016). The Effects of Deprivation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Social Welfare Policy, 46(4), 5-39. DOI : 10.15855/swp.2016.43.1.81 

  6. J. Y. Kim & C. K. Han. (2015). Asset Effect on Older Adult's Depression: Is the Effect Mediated by Social Relation Network?. Social Welfare Policy, 42(1), 55-79. DOI : 10.15855/swp.2015.42.1.55 

  7. I. J. Lee. (2011). Moderating Effects of Life Problems,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4), 34-62. DOI : 10.15709/hswr.2011.31.4.34 

  8. H. G. Jeon, J. M. Shim & K. C. Lee. (2015).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ults : Emphasis on 2008-2012 KNHANES Dataset.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7), 264-281. DOI : 10.5392/JKCA.2015.15.07.264 

  9. S. J. Jung. (2019). The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4(1), 115-139. DOI : 10.21194/kjgsw.74.1.201903.115 

  10. Y. S. Shin, D. Y. Won & J. H. Noh. (2017). The Effects of Asset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2), 216-250. DOI : 10.15709/hswr.2017.37.2.216 

  11. S. W. Kim & H. S. Cho. (2014). A Study on Financial Satisfaction by the Type of Household Debt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7(1). 157-178. DOI : 10.17053/jcc.2014.17.1.008 

  12. M. S. Jeon & M. O. Tae. (2016). Impact of Socio -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6), 323-333. DOI : 10.5392/JKCA.2016.16.06.323 

  13. C. K. Han & S. I. Hong. (2011). Asset and Life Satisfaction Patterns Among Korean Older Adults: Latent Class Analysi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0(2), 225-240. DOI: 10.1007/s11205-010-9613-8 

  14. Y. S. Shin, D. Y. Won & J. H. Noh. (2017). The Effects of Asset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2), 216-250. DOI : 10.15709/hswr.2017.37.2.216 

  15. M. Sherraden. (1991). Assets and the Poor: A New American Welfare Policy. New York: M. E. Sharpe, Inc. https://openscholarship.wustl.edu/csd_research/12/ 

  16. S.-M. McKernan & M. Sherraden. (2008). Asset building and low-income families.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Press. DOI : 10.1080/10705422.2011.625394 

  17. D. Y. Won, J. H. Noh & Y. S. Shin. (2017). Assets of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s: Mediating Effects of Financial and Emotional Support with their Children Not Living Togeth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7(3), 687-705. 

  18. M. Zhan. (2006). Assets, Parental Expectations and Involvment, and Children's Educational Performance. Children & Youth Services Review, 28(8), 961-975. DOI: 10.1016/j.childyouth.2018.02.018 

  19. S. I. Kang & C. K. Han. (2018). A Study on Effects of Youth Householder's Assets on Life Satisfaction: Test of a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9(4), 195-220. DOI : 10.16999/kasws.2018.49.4.195 

  20. J. Y. Kim & C. K. Han. (2017). The Effect of Disability of Household Head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sset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9(2), 247-269. DOI : 10.20970/kasw.2017.69.2.009 

  21. D. W. Rothwell & C.-K. Han. (2010).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s and Family Stress Among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 59(4), 396-407. DOI : 10.1111/j.1741-3729.2010.00611.x 

  22. S. O. Kang & C. K. Han. (2017). Asset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7(2), 415-430. 

  23. K. H. Kim. (2019). A Longitudinal Study on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People :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60, 111-138. DOI : 10.17997/SWRY.60.1.5. 

  2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2014, 2016, 2018). Korea Welfare Panel Study. https://www.koweps.re.kr:442/about/greeting.do 

  25. F. J. Kohout, L. F. Berkman, D. A. Evans & J. Cornoni-Huntley. (1993).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depression symptoms index. J Aging Health, 5(2), 179-93. DOI : 10.1177/0898264320910916. 

  26. R. B. Kline. (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Y: Guilford Press. DOI : 10.1177/1049731509336986 

  27. J. Y. Yoon. (2017).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of the reciprocal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6), 775-798 DOI : 10.24159/joec.2017.23.6.775 

  28. J. H. Moon & J. S. Baik. (2012).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peer and teacher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early and middle adolescenc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0(3), 39-50. UCI : G704-001838.2012.10.3.012 

  29. J. Y. Moon & M. K. Rhee. (2017). The Effect of Decenter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Depression: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2), 177-191. DOI : 10.15842/kjcp.2017.36.2.004 

  30. K. H. Kim. (2019).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on Among Adolescents: The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9(3), 239-279. DOI : 10.15709/hswr.2019.39.3.239 

  31. L. Hu & P. M. Bentler.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DOI : 10.1080/10705519909540118 

  32. Y. H. Kim & C. K. Han. (2017).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58, 141-170. 

  33. J. Y. Lee & S. H. Ha. (2016).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quality,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t later stage of lif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and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7(1), 415-435. DOI : 10.15703/kjc.17.1.201602.415 

  34. E. Y. Choi & S. R. Um. (2019). The Longitudinal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9(4), 109-144. DOI : 10.15709/hswr.2019.39.4.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