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in Patients with Herpes zoste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301 - 310  

김윤이 (한일장신대학교 간호학과) ,  최미숙 (예수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과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한 삶의 증진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상포진 환자 141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집하였고 SPSS/WIN 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포진 환자의 현재 통증정도는 5.23±2.11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3.35±1.04점, 자기효능감은 66.36±10.79점, 가족지지는 42.093±8.68점, 사회적 지지는 59.80±20.42점,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74.12±5.73점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 동거가족여부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9.0%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긍정적일수록, 동거가족이 있을 때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대상자에 맞는 긍정적인 건강상태 지각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중재방안 마련과 본 연구에서 확인된 영향요인들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rpes zoster. The data were collected in 141 patients with herpes zoster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31...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현재 통증수준과 대상자의 특성 변인을 독립변수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과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대상포진환자의 건강요구에 부응하는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대상포진 환자의 통증정도는 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과 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가족의 지지 등 대상자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관련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대상포진 환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대상자의 건강요구에 부응하는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또한 대상포진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통증을 비롯한 사회 심리적인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포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가족의 지지 등 대상자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관련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대상포진 환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대상자의 건강요구에 부응하는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상포진은 무엇인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인 대상포진은 피막으로 둘러싼 이중 나선 DNA바이러스로 ɑ-헤르페스바이러스에 속한다. 이것은 수두에 감염된 후 전체 신경계를 따라 감각신경절에 잠복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세포면역력이 높은 상태일 때는 잠복상태를 유지하지만, 세포면역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이 재활성화 된다[1].
대상포진 발생과정 초기의 특징은? 국소적인 피부감각 이상이 동반되어 옷깃만 스쳐도, 바람만 닿아도 통증이 유발되는 대상포진은 피부병변이 나타나기 수일 전부터 몸의 한쪽 편 피부가 가렵고, 저리며 쏘는 듯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이후 띠 모양의 발진이나 물집과 딱지가 생긴다. 이러한 피부병변은 2주에서 4주가 되면 흉터가 거뭇거뭇하게 색소침착을 남기고 신경손상과 신경전달체계의 교란에 의해 통증은 점점 심해지게 된다.
국민건강보험 자료에 기록된 대상포진 전체 환자의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4%(연평균 3%)증가되어 요양기관을 방문했다. 전체 환자 중 남성은 39%(28만명), 여성은 61%(44만명)로 남성에 비해 여성이 1.6배 많았으며, 남녀 모두 5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전체 환자의 63.4%를 점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J. Cohen. (2013). Clinical practice: herpes zoster. N Engl Journal of Med;369: 255-263. DOI : 10.1056/NEJMcp1302674 

  2. J. W. Gnann & R. J.. Whitley. (2002). Clinical practice. herpes zoster. N Engl Journal of med ;347: 340-346. DOI : 10.1056/NEJMcp013211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9. 8.1 

  4. H. H. Park & I. J. Song. (2018).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 (6), 299-310. DOI : 10.15207/JKCS.2018.9.6.299 

  5. WH0QOL Group (1993).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t instrument(WH0QOL). Switzerland:WH0QOL group. 

  6. B. J. DeLateur. (1997). Quality of life : a patient-centered outcome. Arch Phys Med Rehail;78:237-239. DOI : 10.1016/S0003-9993(97)90026-5 

  7. C. E. Ferrans & M.. J. .Powers. (1992).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5(1), 29-38. DOI : 10.1002/nur.4770150106 

  8. S. H. Lee & H. I. Kim. (2018). Comparision of health behaviors, diabetes mellitus(DM)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between DM groups with and without diabetic education experience. Korean Society for R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3(2), 85-96. DOI : 10.5393/JAMCH.2018.43.2.085 

  9. Y. J. Son & E. J. Seo. (2019). An integrative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1(2), 22-36. DOI : 10.7586/jkbns.2019.21.1.22 

  10. J. H. Kim, Y. S. Jang, Y. D. Choi & E. G. Oh.(2019). The effect of post-prostatectomy urinary incontinenc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rostat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31(3), 293-302. DOI : 10.7475/kjan.2019.31.3.293 

  11. S. Y. Lee & H. K. Kim.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30(2). 171-182. DOI : 10.7475/kjan.2018.30.2.171 

  12. D. K. Jeong. (2018).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function and quadriceps muscle activity depression scale, and health rea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c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1), 261-268. DOI : 10.21742/AJMAHS.2018.11.12 

  13. K. G. Lee. (2018).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9). 975-991. 

  14. Y. J. Park & Y. S.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f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cergence. 16(7). 345-355. DOI : 10.14400/JDC.2018.16.7.345 

  15. H. Y. Song & M. H. Park. (2017). Comparable influencing factors for quality of health-life in osteoarthritis pati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311-323. DOI : 10.15207/JKCS.2017.8.6.311 

  16. A. S. Mizukami, K. Adachi, S. Matthews, K. Holl,T. Matsuki, T. Kaise, & D. Curran. (2018), Impact of herpes 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japanese adults aged 60years or older: results from a p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Clinical drug investigation. (38(1), 1173-2563. DOI : 10.15207/JKCS.2017.8.6.311 

  17. T. F. Tsai, C. A. Yao, H. S. Yu, C. C. Lan, S. C. Chao, J. H. Yang, K. C. Yang, C. Y. Chen, R. R. White, E. Psaradellis. (2015). Herpes zoster-associated severity and duration of pa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care utilization in taiwan: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54(5), 529-536. DOI : 10.1111/ijd.12484 

  18. M. Drolet, M. Brisson, K. E. Schmader, M. J. Levin, R. Johnson, M. N. Oxman, & J. A. Mansi. (2010). The impact of herpes 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prospective stud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2/16, 1731-1736. DOI : 10.1503/cmaj.091711 

  19. K. E. Schmader, G. R. Johnson, P. Saddier, M. Ciarleglio, W. W. Wang, J. H. Zhang, I. S. Chan, S. S. Yeh, M. J. Levin & R. M. Hanbecke. (2010). Effect of a Zoster vaccine on herpes zoster-related interference with fuction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ics Socirty, 58(9), 1634-1641. DOI : 10.1111/j.1532-5415.2010.03021.x 

  20. T. Weinke, A. Edte, S. Schmitt & K. Lukas. (2010). Impact of herpes 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on patients quality of life: a patient-reported outcomes survey. Journal of Public Health, 18(4), 367-374. DOI : 10.1007/s10389-010-0323-0 

  21. J. E. Ware, M. Kosinski & B. Gandek. (2000). SF-36 health survey: manual and interpretation guide Lincoln. (RI: Quality Metric Incorporated) 

  22. M. K. Kang, G. J. Kim & H. Y.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nee or Hip Arthroplast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 (3), 209-218. DOI : 10.7739/jkafn.2017.24.3.209 

  23. M. P. Lawton, M. Moss, M. Fulcomer & M. H. Kleban.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 Journal of gerontology, 37(1), 91-99. DOI : 10.1093/geronj/37.1.91 

  24.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663-671. DOI : 10.2466/pr0.1982.51.2.663 

  25. S. Cobb.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hychosomatic Medicine, 38(5), 300-304. 

  26. H. S. Kang.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7. B. Y. Keum. (2015). Mood stat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8. G. D. Zimet., N. M. Dahlem., S. G. Zimet., G. K. Farley.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9. J. S. Shin, Y. B. Lee. (1999).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lfare. 37. 241-269. 

  30. Y. H. Choi. (2014). Effects of pain control on quality of sleep and life in patients with herpes zos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1. S. W. Lim. (2003). A stud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pa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32. M. S. Yoon. (2007).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Problem drinking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8 , 281-310. 

  33. K. H. Kim., H. K. Chung., M. H. Choi., & H. J. Kwon. (2000). A study 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Nursing, 7(2), 332-344. 

  34. K. O. Chang & J. H. Lim. (2014).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the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sleep patter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4336-4345. DOI : 10.5762/KAIS.2014.15.7.4336 

  35. H. J. Oh,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level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musculoskeletal patients with chronic pai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1), 93-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