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321 - 330  

이진표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다양한 청소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16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이차자료이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 1학년 자료(n=1,979)를 분석하였다.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술 분석,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계수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은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26, p<.05). 주관적 건강수준(β=.18, p<.05)과 자아탄력성(β=.45, p<.05)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데 있다. 이로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youth policies by analyzing and validating the mediated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the impact of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The population consisted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모형을 설정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의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표본의 대표성을 갖춘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한 한국 청소년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밝힘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제고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경로모형분석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 탄력성을 매개요인으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청소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자료를 이용하였으므로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자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제언 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본 연구는 다양한 측면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주관적 건강수준과 인생의 전반적인 만족정도를 의미하는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피고, 문제행동에 대한 통제력과 심리적 안녕의 매개역할을 하는 자아탄력성의 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구체적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위한 학교보건업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와 함께 보건 정책, 연구에 있어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 탄력성을 매개요인으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청소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모형을 설정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의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가설 설정

  • 60점이었다. 경로모형 추정을 위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의 기본 가정은 표본이 정규분포를 이룬다는 가정하에 진행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변수의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이 2와 7미만으로 나타났으므로 정규성 분포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동하는 중간 단계로서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사회적 역할 및 관계, 사회 규범 제도 등을 탐색하는 시기이다[1]. 생애과정 중 청소년기는 신체와 사회·정서적 역량 등 여러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와 발달을 경험하게 된다.
생애과정 중 청소년기는 무엇을 경험하는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동하는 중간 단계로서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사회적 역할 및 관계, 사회 규범 제도 등을 탐색하는 시기이다[1]. 생애과정 중 청소년기는 신체와 사회·정서적 역량 등 여러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와 발달을 경험하게 된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급격한 환경의 변화와 함께 학업을 포함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E. H. Erikson.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W. Norton Company DOI : 10.1002/bs.3830140209 

  2. S. H. Moon & O. S. Kwon. (2007). The Relations of adolescence's Stress, Self-control, and Impulse Buying Tend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1), 31-46. UCI : I410-ECN-0102-2009-330-000170948 

  3. OECD. (2018). PISA(The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8 Results in Focus. https://www.oecd.org/pisa/publications/pisa-2018-results.htm 

  4. Y. S. Youm, K. M. Kim, S. W. Lee & S. M. Kim. (2019). Korean Children and Youth Well-Being Index Surve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eoul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5. M. Sihn, S. H. Jeon & M. S. Yoo. (201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in Yout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9), 131-150. UCI : G701:C-00054165811 

  6. M. S. Yoon & J. M. Choi. (2011).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early adolescence: moderate effect of self-esteem.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13(2), 55-78. UCI : G704-002137.2011.13.2.010 

  7. Y. S. Park, U. Kim, K. S. Chung, S. M. Lee, H. H. Kwon & K. M. Yang. (2000). Causes and consequences of life-satisfaction among primary, junior high, se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1), 94-118. UCI : G701:C-00052098731 

  8. S. Kim & K. Yoon.. (2016). Estimating adolescents'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Tests of the effects of facto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h changes. Studies on Korean Youth, 27(2), 271-296. DOI : 10.14816/sky.2016.27.2.271 

  9. E. S. Huebner. (2004).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1-2), 3-33. DOI : 10.1023/B:SOCI.0000007497.57754.e3 

  10. E. Diener & M. Diener, (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4), 653-663 DOI : 10.1007/978-90-481-2352-0_4 

  11. R. Gilman & S. Huebner. (2003). A review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8(2), 192-205. DOI : 10.1521/scpq.18.2.192.21858 

  12. R. Saha, E. S. Huebner, S. M. Suldo & R. F. Valois. (2010).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Child Indicators Research, 3(2), 149-165. DOI : 10.1007/s12187-009-9050-x 

  13. J. Block & A. M. Kremen.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OI : 10.1037/0022-3514.70.2.349 

  14. M. A. Zimmerman. (2013). Resiliency theory: A strengths-based approach to research and practice for adolescent health. Health Education & Behavior. 40(4), 381-383. DOI : 10.1177/1090198113493782 

  15. S. A. Kim. (2012). The relationship of social relations and happiness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Self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0(4), 15-26. UCI : G704-001838.2012.10.4.012 

  16. Y. H. Kim. (2010). Relation of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to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studies, 17(12), 287-307. UCI : G701:C-00054165765 

  17. G. Arslan. (2016). Psychological maltreatmen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and self-esteem. Child Abuse & Neglect. 52, 200-209. DOI : 10.1016/j.chiabu.2015.09.010 

  18. M. Marmot. (2000). Multileve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social determinants. Social Epidemiology, 349-367. New York; Oxoford University Press. 

  19. W. K. Kim. (2015). Predictors of health behaviors among male and female youth in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 131-154. UCI : G704-000387.2015.22.1.002 

  20. Bombak AE. Self-rated health and public health: a critical perspective. Front Public Health. 2013;1:15-18. 

  21. K. Latham & C. W. Peek. (2012). Self-rated health and morbidity onset among late midlife US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8(1), 107-116. DOI : 10.1093/geronb/gbs104 

  22. K. B. DeSalvo, N. Bloser, K. Reynolds, J. He & P. Muntner. (2006). Mortality prediction with a single general self-rated health quest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3), 267. DOI : 10.1111/j.1525-1497.2005.00291.x 

  23. P. M. Kim & Y. H. Kim. (2013). An effect of self-perception toward health related problem on the self-esteem of youth-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 143-167. UCI : G704-000387.2013.20.10.013 

  24.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7).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user guide, 1-110.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Four levels physical activity.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3610&page2&sortTypedate&dept&category_code&category3&searchFieldtitleAndSummary&searchWord&dateSelect1&fromDate&toDate 

  26. S. K. Yoo & H. Y. Sim. (2002).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89-206. 

  27. S. Y. Kim et al. (2006). Korea Youth Development Indicators Survey I,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8. B. S. Park. (2019). Analyzing change trajectory and gender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0(1), 1121-1132. DOI : 10.22143/HSS21.10.1.78 

  29. J. H. Shim & K. H. Yi. (2018),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4(1), 199-255. DOI : 10.29318/KER.24.1.8 

  30. Y, S. Park & U. C. Kim. (2009).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5(3), 399-429. UCI : G704-000654.2009.15.3.002 

  31. Y. S. Choi & E. Y. Son. (2015).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Youth -The Comparison about the Gender and Grad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2), 233-247. DOI : 10.15703/kjc.16.2.201504.233 

  32. S. Y. Park & H. G. Lee. (2013).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2), 73-84. UCI : G704-002182.2013.21.2.007 

  33. D. Koniak­Griffin. (1994). Aerobic exercis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discomforts during adolescent pregnanc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4), 253-263. DOI : 10.1002/nur.4770170404 

  34. Y. S. Oh & J. Y. Lee. (2014). What is important for th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21(2), 1-31. UCI : G704-001911.2014.21.2.003 

  35. J. S. An & H. J. Kim.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ealth inequality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4(2), 205-231. UCI : G704-001385.2013.24.2.002 

  36. S. W. Kwon, A. H. Lee & I. H. Song. (2012). A study on adolescent happiness: Application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Studies on Korean Youth, 23(2), 39-72. UCI : G704-001385.2012.23.2.001 

  37. S. H. Jo & S. Y. Park. (2015). Life satisfaction factors of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23(4), 801-818. DOI : 10.21479/kaft.2015.23.4.8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