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농촌 디지털 전환을 위한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연구
Big Data Activation Plan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9 no.8, 2020년, pp.235 - 242  

이원석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손경자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전대호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신용태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 농업·농촌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농업인이나 농정담당자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느끼는 문제점이나 이슈들을 조사·분석하여, 공동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확충, 지속 가능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그리고 수요자 기반의 빅데이터 활용 기반 활성화 등 우리 농업·농촌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결되어야 할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of our agricultural and rural communities in the wak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pare for the upcoming artificial intelligence er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and system that can collect, analyze and utilize necessary quality dat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의 농업·농촌을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분석·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농업·농촌의 빅데이터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언제 처음 사용되었나요?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4차 산업혁명은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사회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1, 2]. 우리의 농업·농촌 분야에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되면서 생산에서 유통이나 소비까지의 전 분야가 변화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은 물론이고 사회 전반에 걸쳐 4차 산업혁명의 적용 여부가 미래를 결정할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ICT 기술의 도입이나 적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2].
농업 분야에서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ICT 기술 도입이 힘든 이유는? 하지만 우리 농업·농촌의 현실을 살펴보면 Fig. 1과 같이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그리고 도·농간의 소득격차가 심화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다[3].
디지털 전환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키워드로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있다. 디지털 전환은 기업이 디지털 역량을 활용, 고객과 시장 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추진할 수 있는 변화 관리 그 이상을 의미한다[21].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가 알아서 사람의 의사결정을 대신해 주는 것, 그로 인해 고객이 편안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이것이 디지털 전환의 핵심이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 R. Kim, M. G. Lee, J. H. Heo, and S. H. Song, "Agricultural Rural Area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pplication Status and Expansion Pl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Data, D462, pp. 1-338, 2018. 

  2. H. D. Seok, S. H. Byun, D. Y. Jung, and D. H. Kim, "Forestry Sector Appli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olicy Research Report, P239, pp. 1-98, 2017. 

  3. S. Y. Gouk, H. S. Seo, B. M. Soon, C. H. Kim, M. H. Kim, and S. H. Lee, "2020 Agricultural and Farm Economy Trends and Prospe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Outlook 2020, pp. 4-38, 2020. 

  4. W. J. Sung, “Public Sector Big Data Policy Activation Study,”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Vol. 25, No. 2, pp. 125-149, 2016. 

  5. K. P. Kim, J. C. Ku, H. J. Ahn, and J. H. Han, "Big Data Applications in Agricultural Secto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Report, R802, pp. 1-235, 2016. 

  6. J. M. Lee, “Analysis and Suggestion of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Rural Data for Future Agricultural Rura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59, No. 4, pp. 50-57, 2017. 

  7. H. J. Kang,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agricultural management strategy using big data is neede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59, No. 4, pp. 35-49, 2017. 

  8. H. S. Byeon, “The Status and Suggestions for Big Data Adaptation i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Agency,”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Vol. 15, No. 4, pp. 13-35, 2017. 

  9. S. H. Song, S. Y. Lee, Y. Shin, and J. Y. Le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s Open Government Data Policy: Ecosystem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Information Chemistry Society, Vol. 20, No. 4, pp. 1-34, 2017. 

  10. B, Choi, J. J. Yun, and T. H. Um, “A study on Policies to Revitalize the Public Big Data in Seoul,”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3, pp. 73-89, 2019. 

  11. M. A. Oh, "Strategies and Tasks for Big Data in Health and Welfare," Health and Welfare Forum, No. 274, pp. 29-40, 2019. 

  12. H. D, Seok, S. H. Byun, D. Y. Jung, and D. H. Kim, "Forestry sector appli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olicy Research Report, pp. 1-98, 2017. 

  13. Y. B. Cho,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big data for efficiency in agricultural production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59, No. 1, pp. 36-44, 2017. 

  14. C. H. Choi and M. J. Hong, "Big data utilizati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Korea Institute of Insurance, Research Report, 2018-29, pp. 1-128, 2018. 

  15. Steve Sonka, “Big Data and the Ag Sector : More than lots of Numbers,”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nagement Review, Vol. 17, No. 1, pp. 1-20, 2014. 

  16. K. S. Bok and J. S. Yoo, “Activation Policy and Case Study of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 31, No. 11, pp. 2-13, 2014. 

  17. R. W. Park, H. Kim, and M. J. Song, “Analysis and Utilization of Practical Cases of Big Data Applied for Agroindustry,” Korean Herbal Medicine Informatics, Vol. 3, No. 3, pp. 29-42, 2015. 

  18. Megan Stubbs, "Big Data in U.S. Agriculture,"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44331. R., pp. 1-17, 2016. 

  19. S. G. Min and H. K. Suh, "Big Data, The future of Agriculture," RDA Interrobang, No. 199, pp. 1-29, 2017. 

  20. H. Yeo, "Overseas agricultural big data utilization status," World Agriculture, No. 226, pp. 37-52, 2019. 

  21. H. G. Jun, "[Forum] Seize the opportunity for 'digital transformation," Digtal Times, [Internet],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122002102251041001. 

  22. J. K. Lee, "[People / Columns] Digital Transformation," BI Korea, [Internet], http://www.bi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15914. 

  23. H. G. Lee, "[ET Single Phase] Digital transformation, eventually data," Electronic Times, [Internet], https://www.etnews.com/20170418000202. 

  24. K. A. Park and K. G. Lee, "A plan to utilize big data to lead the change and futur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Outlook 2019, pp. 272-304, 2019. 

  2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public of Korea, "2020 Public Data Provision and Utilization Act Implementation Plan," 2020. 

  26. Korea Agency of Educ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Service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gricultural ON Usage Statistics," 2019. 

  2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Republic of Korea, "2019 Final Report on Public Data Utilization Survey," 2020. 

  28. H. R. Kim, "Public and private big data convergence reduces costs and increases timeliness.," KDI Economic Information Center Column, pp. 77-99, 2017. 

  29. Y. H. Choi,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of data management system,"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search Report, pp. 111-116, 2015. 

  30. H. Y. Lee, G. L. Park, and D. H. Kim, “Design of Streaming based Unstructured-Data Collecting Framework in IoT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5, No. 1, pp. 57-58, 2017. 

  31. W. J. Sung, “The Big Data Policy in the Public Sector from the Data Life Cycle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20, No. 2, pp. 25-41, 2017. 

  32. Y. S. Son, "Korean Financial New Deal "Data Exchange" Outstanding", ZDnet Korea, [Internet], https://zdnet.co.kr/view/?no20200512124640. 

  33. W. Y. Heo, "'Data Free Zone' pilot project linking public and private data," Digital Times, [Internet],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32702100251753001. 

  34. S. G. Hwang, W. Choi, S. J. Heo, M. G. Jang, M. Y. Lee, J. Y. Park, H. S. Won, and D. Kim, "Big Data Platform Strategy" Electronic Times, pp. 80-129, 2013. 

  35. M. G. Kim and J. H. Park, "Industrial Ecosystem Status and Major Issues of Big Data Platform," ETRI Insight, pp. 1-48, 2019. 

  36. J. Y. Lee, "The future of Big Data Platforms," LG CNS R&D Journal, pp. 1-16, 2013. 

  37. D. Y. Kim and Y. B. Kim, “Core ICT technol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ig Data, AI, Cloud technology trends,”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ol. 26, No. 1, pp. 7-17, 2019. 

  38. M. Y. Lee and W. Choi, “Trend of BIGDATA processing technology for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ol. 19, No. 2, pp. 20-28, 2013. 

  39. Y. J. Lee, "The government creates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Big Data... l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 Digital Daily, [Internet], http://www.ddaily.co.kr/news/article_print.html?no130687. 

  40. E. J. Kim, M. S. Kim, and H, W. Kim, "Data Standardization for the Enhanced Utilization of Public Government Data"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4, pp. 23-38, 2019. 

  41. Special A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Fisheries and Promoting Development of Farming and Fishing Areas[Enforced Jul. 1, 2019] [Act No. 16121, Dec. 31, 2018, partially amended]. 

  42. M. C. Lee, "Farmland electronic map 'farm map', used for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EDAILY, [Internet],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07766622585024&mediaCodeNo257. 

  43. K. S. Yu,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rt-up competition using public and Bigdata," dtoday, [Internet],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76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