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EA를 이용한 이식형 골전도 진동체의 주파수 특성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 연구
A Parameter Study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ontrol of Implantable Bone Conduction Transducer Using FEA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3 no.8, 2020년, pp.1040 - 1048  

신동호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명남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implantable bone conduction transducer of the prototype proposed by Shin et al., the effect of the element parameters of the transducer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using electromagnetic and mechanical vibration analysis. Electromagnetic analy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hin 등이 제안한 프로토타입의 이식형 골전도 진동체를 개선하기 위해 전자기 및 기계 진동 해석을 이용하여 진동체의 요소 파라미터가 주파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자기 해석을 통해 영구자석의 지름, 금속판과 코일의 공극을 최적화하여 최대 로렌츠 힘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이식형 골전도 진동체의 한계인 주파수 특성 및 진동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FEA)을 이용하여 진동체의 요소 파라미터가 주파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파라미터 분석을 위해서 Shin 등의 프로토타입 진동체 구조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와우는 어떻게 청각 보조기 역할을 수행하는가? 최근까지 난청 유형과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메커니즘을 가진 청각 보조기기가 개발되었다[1-3]. 그중에서도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외이도(ear canal)와 중이(middle-ear)를 거쳐 청신경(auditory nerve)으로 전달하는 공기 전도형 보청기(air-conduction hearing aid), 음향을 단순히 증폭시키는 공기 전도형 보청기와 달리 소형 진동체(transducer)를 이용하여 기계적 진동(mechanical vibration)을 전달하는 이식형 인공중이(middle-ear implant), 그리고 달팽이관에 삽입된 전극을 이용하여 청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직접 제공하는 인공와우(cochlear implant)가 대표적인 청각 보조기기이다[4-6]. 공기 전도형 보청기는 많은 난청자가 사용하는 청각 보조기기이지만 외이도 폐쇄감(ear canal occlusion)과 음향 피드백(acoustic feedback) 등의 문제가 있고 경도 난청(mild hearing loss)에만 적용 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7].
공기 전도형 보청기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중에서도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외이도(ear canal)와 중이(middle-ear)를 거쳐 청신경(auditory nerve)으로 전달하는 공기 전도형 보청기(air-conduction hearing aid), 음향을 단순히 증폭시키는 공기 전도형 보청기와 달리 소형 진동체(transducer)를 이용하여 기계적 진동(mechanical vibration)을 전달하는 이식형 인공중이(middle-ear implant), 그리고 달팽이관에 삽입된 전극을 이용하여 청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직접 제공하는 인공와우(cochlear implant)가 대표적인 청각 보조기기이다[4-6]. 공기 전도형 보청기는 많은 난청자가 사용하는 청각 보조기기이지만 외이도 폐쇄감(ear canal occlusion)과 음향 피드백(acoustic feedback) 등의 문제가 있고 경도 난청(mild hearing loss)에만 적용 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7]. 이식형 인공중이는 음향 피드백 없이 자연음에 가까운 소리를 전달할 수 있지만, 복잡하고 침습적인 수술이 필요하여 많은 난청자에게 선택되지 못하고 있다[8].
이식형 골전도 보청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식형 골전도 보청기는 인공중이처럼 진동체에서 발생된 기계적 진동을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음향 피드백 없이 자연음에 가까운 소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최소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로 이식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양돌기(mastoid) 피하에 이식되는 골전도 진동체의 출력은 뼈와 같은 매개체(medium)를 통한 전파 중에 상당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14]. 따라서 높은 진동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전도성 난청 보상에 적합한 주파수 특성을 갖기 위해 골전도 보청기용 진동체의 개선에 관한 연구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L. Goode, M.L. Rosenbaum, and A.J. Maniglia,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Implantable Hearing Aid,” The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28, No. 1, pp. 1-16, 1995. 

  2. D.S. Haynes, J.A. Young, G.B. Wanna, and M.E. Glasscock, “Middle Ear of Implantable Hearing Devices: An Overview,” Trends in Amplification, Vol. 13, No. 3, pp. 206-214, 2009. 

  3. L. Lassaletta, I. Sanchez-Cuadrado, J.M. Espinosa, A. Batuecas, C. Cenjor, M.J. Lavilla, et al., “Active Middle Ear Implants,” Acta Otorrinolaringologica, Vol. 70, No. 2, pp. 112-118, 2019. 

  4. H.H. Kim and D.M. Barrs, “Hearing Aids: A Review of What’s New,” Journal of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Vol. 134, No. 6, pp. 1043-1050, 2006. 

  5. J.M. Lee, J. Jung, I.S. Moon, S.H. Kim, and J.Y. Choi, “Benefits of Active Middle Ear Implants in Mixed Hearing Loss: Stapes versus Round Window,” The Laryngoscope, Vol. 127, No. 6, pp. 1435-1441, 2017. 

  6. E. Glennon, M.A. Svirsky, and R.C. Froemke, "Auditory Cortical Plasticity in Cochlear Implant Users,"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Vol. 60, pp. 108-114. 2020. 

  7. A. Mudry and L. Dodele, “History of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Air Conduction Hearing Aids,” The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Vol. 114, No. 6, pp. 418-423, 2000. 

  8. I. Mosnier, O. Sterkers, D. Bouccara, S. Labassi, J.P. Bebear, P. Bordure, et al., “Benefit of the Vibrant Soundbridge Device in Patients Implanted for 5 to 8 Years,” Ear and Hearing, Vol. 29, No. 2, pp. 281-284, 2008. 

  9. J.B. Firszt, L.K. Holden, R.M. Reeder, L. Cowdrey, and S. King, “Cochlear Implantation in Adults with Asymmetric Hearing Loss,” Ear and Hearing, Vol. 33, No. 4, pp. 521-533, 2012. 

  10. B. Hakansson, S. Reinfeldt, M. Eeg-Olofsson, P. Ostli, H. Taghavi, J. Adler, et al., “A Novel Bone Conduction Implant (BCI): Engineering Aspects and Pre-clinic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Vol. 49, No. 3, pp. 203-215, 2010. 

  11. R. Weiss, A. Loth, M. Leinung, S. Balster, D. Hirth, T. Stover, et al., “A New Adhesive Bone Conduction Hearing System as a Treatment Option for Transient Hearing Loss after Middle Ear Surgery,”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Vol. 277, No. 3, pp. 751-759, 2020. 

  12. A. Canale, V. Boggio, A. Albera, M. Ravera, F. Caranzano, M. Lacilla, et al., “A New Bone Conduction Hearing Aid to Predict Hearing Outcome with an Active Implanted Device,”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Vol. 276, No. 8, pp. 2165-2170, 2019. 

  13. A. Magele, P. Schoerg, B. Stanek, B. Gradl, and G.M. Sprinzl, “Active Transcutaneous Bone Conduction Hearing Impla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Vol. 14, No. 9, pp. 1-19, 2019. 

  14. S. Reinfeldt, B. Hakansson, H. Taghavi, and M. Eeg-Olofsson, "New Developments in Boneconduction Hearing Implants: A Review," Medical Devices, Vol. 8, pp. 79-93, 2015. 

  15. D.H. Shin, K.W. Seong, E.S. Jung, J.H. Cho, and K.Y. Lee, “Design of a Dual-coil Type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Implantable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s,” Technology and Health Care, Vol. 27, No. S1, pp. 445-454, 2019. 

  16. K. Vogt, H. Frenzel, S.A. Ausili, D. Hollfelder, B. Wollenberg, A.F.M. Snik, et al., "Improved Directional Hearing of Children with Congenital Unilateral Conductive Hearing Loss Implanted with an Active Bone-conduction Implant or an Active Middle Ear Implant," Hearing Research, Vol. 370, pp. 238-247, 2018. 

  17. B. Balachandran and E.B. Magrab, Vibrations 3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2018. 

  18. J.S. Park, S.D. Na, K.W. Sung, and M.N. Kim, "Vibration Power Improvement Method of Curved Beam Based Actuator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2, No. 2, pp. 271-280,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