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종시 유치원의 식생활지도 실태에 대한 영양사와 학부모의 인식
Perception of Kindergartens Dietitians and Parents for Actual Dietary Guidance in Kindergartens of Sejong C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4, 2020년, pp.406 - 418  

박남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이제혁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guidelines from the dietitians and parents' perceptions in kindergarten.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39 dietitians and 320 parents in kindergarten of Sejong city from April 18 to May 14, 2019. Approximately, 48.6% of dietitians responded that the amount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지역 유치원의 점심시간과 급식량 실태, 영양사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 인식, 영양사의 식생활교육 수행도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성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영양사의 식생활교육시 가장 큰 애로점으로 조사된 편식에 대한 영양사의 편식지도 수행도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지역 유치원의 점심시간과 급식량 실태, 영양사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이에 대한 학부모 인식, 영양사의 식생활교육 수행도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성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영양사의 식생활교육시 가장 큰 애로점으로 조사된 편식에 대한 영양사의 편식지도 수행도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양사와 학부모의 유치원에서의 식생활지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줄여 유치 원과 가정에서 보다 일관성 있는 식생활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영양사의 식생활교육시 가장 큰 애로점으로 조사된 편식에 대한 영양사의 편식지도 수행도와 이에 대한 학부모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양사와 학부모의 유치원에서의 식생활지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줄여 유치 원과 가정에서 보다 일관성 있는 식생활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원기 유아의 올바른 식습관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요인 중의 하나는? 유치원기 유아의 올바른 식습관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요인 중의 하나는 편식이다(Sohn JW 2016). 편식은 어떤 종류의 식품을 거부하고, 특정한 종류의 식품만을 좋아하는데한 가지 음식을 싫어하는 경우가 아니고 특정한 식품군(채소 군, 생선 군 등)을 전혀 먹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Kim 등 2013).
유아의 식생활 지도의 특징은? 하지만, 유아의 식생활 지도는 가정과 유치원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유아의 식생활 지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유아의 식습관은 유치원의 식생활 지도뿐만 아니라, 부모의 식습관과 가정에서의 식생활 지도에 영향을 받는다(Cha 등 2019).
유아에 대한 식생활 지도의 혼란이 없도록 유치원에서의 식생활 지도와 학부모와의 긴밀한 상호협조는 일관성 있는 식생활 지도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유아의 식습관은 유치원의 식생활 지도뿐만 아니라, 부모의 식습관과 가정에서의 식생활 지도에 영향을 받는다(Cha 등 2019). 가정에서의 유아의 식생활 지도는 부모의 식습관, 식생활과 부모의 판단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유아의 올바른 식생활 형성과는 다를 수 있다. 또한, 유치원에서는 가정과 연계하여 학부모가 인지하고 있는 유아의 식생활 문제인식을 공유함으로써 가정과 일관성 있는 식생활지도가 될 수 있도록 유아에게 올바른 음식에 대한 인식과 식사예절, 행동기준을 제시하여야 한다(Kim & Kim 2014). 따라서 유아에 대한 식생활 지도의 혼란이 없도록 유치원에서의 식생활 지도와 학부모와의 긴밀한 상호협조는 일관성 있는 식생활 지도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An 등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SH, Kim MH, Jang KH, Lee JH. 2018. Parent's awareness of dietary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at kindergartens in Sejo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28:197-212 

  2. Cha W, Park SH, Jung SJ, Chang KJ. 2019. Effects of dietary habits and feeding practices of their parents on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children in Incheon. Food Service Ind J 15:31-43 

  3. Chae YM. 1998. A study on mothers's recognition of the guidance in lunch time in preschool.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Korea 

  4. Han SY, Park SH. 2017. Children who don't eat, Children who eat well. pp.6-150. Cheong-eolam Life 

  5. Jung JH. 2016.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education and children's eating habits. J Table Food Coord 11:75-93 

  6. Jung YM. 2019. Dietary habit and unbalanced diet status of young children by age. J Korean Soc Food Cult 34:587-594 

  7. Kang KM. 2007.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lifestyle related to obesity and dietary intakes in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Dong-eui Univ. Busan. Korea 

  8. Kim HM. 2009. A comparis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recognition of the early childhood eating habits guidance.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 Univ. Wonju. Korea 

  9. Kim IY. 2014. A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 regarding guiding school meal time. Master's Thesis, Chonnam Nat. Univ. Gwangju. Korea 

  10. Kim JA. 2010.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Master's Thesis, Chonnam Nat. Univ. Gwangju. Korea 

  11. Kim JM, Song HJ, Ahn YJ. 2018.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ietary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Dongducheon based on the nutrition quotient (NQ). Korean J Commun Nutr 23:216-225 

  12. Kim JM. 2003.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 of small children. J Res Curric Instr 7:121-139 

  13. Kim JS. 2003. A study on the meal services for Kindergarten children, their behaviors during meal time and teacher's guidance in their meal lif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14. Kim JY. 2012. An analysis of meal guidance and meal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 Korea Academia-Ind Coop Soc 13:4487-4495 

  15. Kim MH. 2014. Relations of mothers' and infants' eating habits with infants' obesity. Master's Thesis, Gunsan Univ. Gunsan. Korea 

  16. Kim NH, Kim MH. 2014.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Korean J Food Nutr 27:66-74 

  17. Kim SH, Kim OS, Choi HY, Park SS, Kwon SY. 2013. Children's Nutrition. p.228. Power Book 

  18. Lee GH. 2009. An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 Res Rev 13:69-96 

  19. Lee JE.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icky eating behavior, physical growth and mother's child feeding practice. Korean J Child Stud 34:1-17 

  20. Lee MS, Lee K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26-35 

  21. Lee SA. 2016. A study 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and practice on infants eating habits guidance. Master's Thesis, Gyeongnam Nat.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orea 

  22. Lee SR. 2008.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struction on children's use of food service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23. Ministry of Education. 2014.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Meal and Snacks. pp.6-32 

  24. Ministry of Education. 2019. Press Release. Results Announcement for OECD Education Indicators 2019. Available from https://moe.go.kr [cited 30 October 2019] 

  25. Park ME. 2010. Actual status of nutritionist's food service guidance and parent's perception in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Silla Univ. Busan. Korea 

  26. Pyo SH, Kang HJ. 2014.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eating behavior, physical ability and locomotion of children aged 5 years in Siheung-city. Korean J Food Nutr 27:760-770 

  27. Pyun JS, Lee KH. 2010.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of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16:62-76 

  28.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2019. Educational statistics 2019. Available from http://www.sje.go.kr/sub/info.do?page091001_8&m051001&ssje [cited 20 July 2020] 

  29. Seong NJ. 2012. Relations of the unbalanced eating of early childhood with social interaction and self-control. Master's Thesis, Dongguk Univ. Seoul. Korea 

  30. Sim HM, Han YS, Lee KA. 2019. Analysis of the types of eating behavior affecting the nutrition of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dietary behavior test (DBT) and the nutrition quotient (NQ). J Nutr Health 52:604-617 

  31. Sohn JW. 2016. A qualitative study on the unbalanced diet of preschool children which mothers recognize.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 Seoul. Korea 

  32. Yu HC. 2011. Basic research to improve early childhood dietary life: Children's diet condition at home & mother's dietary recognition. J Early Childhood Educ Educare Welf 15:191-2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