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화학물질 유해성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의 신뢰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National Database for Chemical Hazard Information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4, 2020년, pp.410 - 422  

이소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이민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강미진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 ,  권순광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  나진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박백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ccording to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new and existing chemicals must be registered by 2030. In addition, industries need to submit hazard data as an attachment during the registration process. Therefore, we constructed a nationwide chemical database to sup...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해 2,000~4,000여개의 화학물질에 대한 47개 항목의 유해성정보를 포함한 관련정보를 수집 및 정리하여 현재까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결과,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작성 전문가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다양한 참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국의 원문으로 작성된 정보를 많은 작성자들이 표준화된 양식으로 작성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최대한 표준화된 정보를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용되는 작업이지만, 신뢰성이 낮은 정보는 오히려 사용자에게 혼란만 가중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확성과 전문성을 고려한 신뢰성 높은 유해성시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대규모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화학물질 유해성정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구축 표준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대규모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이는 ‘2020년 기존화학물질 유해성정보 확인사업’에 적용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국내 제조·수입하는 중소기업의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이행 지원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 두 번째, 개발된 방법론의 실증연구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발생 가능한 오류의 유형화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 오류 유형 및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여, 화학물질 유해성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전문가가 작성하더라도 특정 분야의 지식기반 판단을 통한 정보 확인 및 작성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단계별 검증을 통하여 신뢰도 높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1단계는 사업관리팀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스크리닝 및 완전성 검토이다.
  • 대상 정보는 화학물질 등록 시 유해성 시험자료 확인 및 활용을 위한 필요정보이지만, 기업이 직접 조사·분석하는 것은 전문성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정부가 신뢰성 있는 화학물질 유해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등록 이행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유해성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세스 표준화는 필요한 과정이다.
  • 본 연구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국내 제조·수입하는 중소기업의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이행 지원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정확하고, 전문성이 고려된 유해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의 신뢰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대규모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화학물질 유해성정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구축 표준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개발된 방법론의 실증연구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발생 가능한 오류의 유형화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 작성을 관련분야 박사급 인력으로 제한하여 유해성정보의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화학공학, 보건학, 환경공학등 전문분야가 구축해야할 정보 중 특정분야에 한정되고, 물리·화학적 특성 및 인체·환경 유해성정보 전반을 아는 전문가는 국내 제한적이다.
  • 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성 결과물의 검증에서 원문 확인, 신뢰도, 입력 값, 표기방식 등 다양한 오류가 확인되었다. 확인된 오류는 오류 유형과 발생원인 도출을 통해 기존의 표준방법론을 보완하는데 활용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신뢰성 있는 화학물질 유해성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완된 방법론은 환경부(주관부처), 국립환경과학원(화학물질등록평가법 등록 기관), 한국환경공단/한국 화학물질관리협회(사업 관리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수행기관) 및 외부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해 최종 확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 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목적은? 1) 즉, 그 동안 국가가 지고 있던 화학물질 위해성에 대한 책임을 기업에 나누어주고 책임 있는 시장진입을 유도한 제도이다. 우리나라도 가습기살균제 사고(2011년) 등에서 야기된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학 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학물질등록평가법)」을 시행하였다.2)
기존화학물질 유해성정보는 2020년 1월부터 어디를 통해 단계적으로 공개하고 있는가? 이에 따라 환경부는 중소기업의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이행 지원을 목적으로 2017년부터 기존 화학물질의 유해성정보 조사·확인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구축한 기존화학물질 유해성정보는 2020년 1월부터 화학안전산업계지원단 홈페이지를 통해 단계적으로 공개하고 있으며,6) 화학물질 유해성정보 구축에는 신뢰도 제고를 위한 단계적 검증방안을 도입하였다.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 제도는 무엇을 유도한 제도인가? 유럽연합(EU)은 2007년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 제도를 시행하여, 화학물질을 시장에 출시하고자 하는 기업은 용도별 등록을 통해 해당 화학물질이 위해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도록 하고 있다.1) 즉, 그 동안 국가가 지고 있던 화학물질 위해성에 대한 책임을 기업에 나누어주고 책임 있는 시장진입을 유도한 제도이다. 우리나라도 가습기살균제 사고(2011년) 등에서 야기된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학 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학물질등록평가법)」을 시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EU), Regulation of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 EC No. 1907/2006 

  2. Ministry of Environment,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Act No. 17326.; 2020 

  3. Ministry of Environment,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Presidential Decree No. 30849.; 2020 

  4. Ministry of Environment,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Ordinance Of the Environment No. 840.; 2020 

  5.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Basic Statistic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2019, from: URL: https://www.mss.go.kr/site/smba/foffice/ex/statDB/MainSubStat.do 

  6. Ministry of Environment, Industry Support Center 2020, from: URL: https://www.chemnavi.or.kr/ 

  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from https://ntp.niehs.nih.gov/ 

  8.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 NITEl, from: URL: https://www.nite.go.jp/en/ 

  9.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ustralian Industrial Chemicals Introduction Scheme (NICNAS), from: URL: https://www.industrialchemicals.gov.au/ 

  10.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from: URL: https://echa.europa.eu/ 

  11. Rim KT, Kim HO, Kim YK, Cho HW, Ma YS, Lee KS, Lim CH, Kim HY, Kim HY, Yang JS. Development and use of data for chemical risk assessment. EHT 2007; 22(1): 91-101. 

  12. Park YS, Hwang MS, Roh HR, Cheun GS, Kim SB. Development of chemical database and information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KIHM 2015; 1(1): 58-64. 

  13. Kim YJ, SUE SY, The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management of suwon institute database, Suwon Research Institute.; 2015. p. 1-104 

  14.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Establishment Hazard information Database for existing chemical substance.;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