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규모 종합병원 대상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획득위험 예측모형의 외적타당도 평가
External Validation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cquisition Risk Prediction Model in a Medium Sized Hospita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4, 2020년, pp.621 - 630  

서수민 (동의의료원 감염관리실)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xternal validity of a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acquisition risk prediction model (the CREP-model) in a medium-sized hospital.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613 patients (CRE group: 69, no-CRE group: 544) admit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CRE 예측모형[15]의 외적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실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CRE 획득 예측모형[15]에 대해 중규모 종합병원에서도 적용가능한지를 검토하는 외적타당도 평가연구로 다음과 같은 강점이 있다. 첫째, 모형실행도에 앞서 모형수송성 평가를 통해 본 연구 대상자가 예측모형 개발대상자와 관련이 있으나 다른 특성을 가진 대상자임을 확인하여 외적타당도 평가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실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CRE 획득위험 예측모형(이하 CRE 예측모형) [15]과는 시점, 지역, 세팅을 달리하는 B시 중규모 일 종합병원(450병상)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예측모형의 외적타당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CRE 전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의료종사자 교육, 손위생, 항생제 모니터링, 환경청소, 접촉주의, 접촉자 스크리닝 등의 감염관리실무와 함께 적극적으로 보균자를 확인하기 위한 능동감시배양검사(active surveillance testing)를 권장하고 있다[1,2]. 이 검사는 CRE 감염자 접촉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CRE 보균자를 조기에 파악함으로써 CRE 전파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선별검사이다[1,2]. 선행연구에 따르면 CRE 보균자 중 16.
  • 특히, 이 예측모형에 포함된 구성요소인 다제내성균 보유, 세팔로스포린계이나 카바페넴계 항생제 사용기간, 급성생리학적지표 및 만성건강평가(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II [APACHE II]) 점수 분포[15]는 의료기관의 규모나 수준, 이에 따른 환자의 특성 차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예측모형 개발대상자와 다른 특성을 보이는 대상자에게도 이 예측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측모형개발이 이루어진 상급종합병원과는 대상자 특성에 차이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중규모 종합병원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외적타당도 평가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종이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ceae [CRE])은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거나 카바페넴 분해효소(carbapenemase)를 생성하는 세균으로, 의료 환경은 물론 지역사회에서도 비교적 쉽게 전파되는 다제내성균이다[1,2]. 카바페넴은 그람음성균과 일부 그람양성균에 대해 광범위 활성을 보이는 베타락탐계 항생제로, 특히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효소(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를 생성하는 균종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3].
능동감시배양검사란 무엇인가? CRE 전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의료종사자 교육, 손위생, 항생제 모니터링, 환경청소, 접촉주의, 접촉자 스크리닝 등의 감염관리실무와 함께 적극적으로 보균자를 확인하기 위한 능동감시배양검사(active surveillance testing)를 권장하고 있다[1,2]. 이 검사는 CRE 감염자 접촉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CRE 보균자를 조기에 파악함으로써 CRE 전파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선별검사이다[1,2]. 선행연구에 따르면 CRE 보균자 중 16.
카바페넴은 어떤 치료에 이용되는가?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ceae [CRE])은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거나 카바페넴 분해효소(carbapenemase)를 생성하는 세균으로, 의료 환경은 물론 지역사회에서도 비교적 쉽게 전파되는 다제내성균이다[1,2]. 카바페넴은 그람음성균과 일부 그람양성균에 대해 광범위 활성을 보이는 베타락탐계 항생제로, 특히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효소(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를 생성하는 균종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3]. 그러나, 카바페넴의 오남용으로 1990년대부터 CRE가 출현한 후 급격한 증가를 보임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공중 보건학적 위협이 되고 있으며, 환자의 입원기간이나 비용,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 VRSA/CRE. Cheongju: KCDC; 2018 Jun. p. 38-51. Report No.: 11-1352159-00832-10.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Facility guidance for control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ternet]. Atlanta (GA): CDC; c2015 [cited 2020 Mar 7].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hai/pdfs/cre/CRE-guidance-508.pdf. 

  3.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ECDC).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second update - 26 September 2019. Stockholm: ECDC; 2019. p. 1-10. 

  4. Marston HD, Dixon DM, Knisely JM, Palmore TN, Fauci AS. Antimicrobial Resistanc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6;316(11):1193-1204. https://doi.org/10.1001/jama.2016.11764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in the United States, 2019. Atlanta (GA): CDC; 2019. p. 73.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Infectious diseases surveillance yearbook, 2019. Cheongju: KCDC; 2019 Aug. p. 38. Report No.: 11-1352159-000048-10.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Infectious disease portal [Internet]. Cheongju: KCDC; c2020 [cited 2020 Mar 7].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npt/biz/npp/ist/simple/simplePdStatsMain.do. 

  8. Tischendorf J, de Avila RA, Safdar N. Risk of infection following colonization with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ceae: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6;44(5):539-543. https://doi.org/10.1016/j.ajic.2015.12.005 

  9. Ho KW, Ng WT, Ip M, You JH. Active surveillance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 intensive care units: Is it cost-effective in a nonendemic regio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6;44(4):394-399. https://doi.org/10.1016/j.ajic.2015.10.026 

  10. Diekema DJ, Pfaller MA. Rapid detection of antibiotic-resistant organism carriage for infection prevention.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13;56(11):1614-1620. https://doi.org/10.1093/cid/cit038 

  11. Kim YA, Lee K. Active surveill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with rapid detection methods for infection control.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2015;18(4):103-110. https://doi.org/10.5145/ACM.2015.18.4.103 

  12. Goodman KE, Simner PJ, Klein EY, Kazmi AQ, Gadala A, Rock C, et al. How frequently are hospitalized patients colonized with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already on contact precautions for other indication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8;39(12):1491-1493. https://doi.org/10.1017/ice.2018.236 

  13. Shimasaki T, Segreti J, Tomich A, Kim J, Hayden MK, Lin MY et al. Active screening and interfacility communication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 a tertiary-care hospital.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8;39(9):1058-1062. https://doi.org/10.1017/ice.2018.150 

  14. Goodman KE, Simner PJ, Klein EY, Kazmi AQ, Gadala A, Toerper MF, et al. Predicting probability of perirectal colonization with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and other carbapenem-resistant organisms (CROs) at hospital unit admission.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9;40(5):541-550. https://doi.org/10.1017/ice.2019.42 

  15. Song JY, Jeong IS. Development of a risk prediction model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olonization among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8;46(11):1240-1244. https://doi.org/10.1016/j.ajic.2018.05.001 

  16. Bleeker SE, Moll HA, Steyerberg EW, Donders AR, Derksen-Lubsen G, Grobbee DE, et al. External validation is necessary in prediction research: A clinical example.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3;56(9):826-832. https://doi.org/10.1016/s0895-4356(03)00207-5 

  17. Debray TP, Vergouwe Y, Koffijberg H, Nieboer D, Steyerberg EW, Moons KG. A new framework to enhance the interpretation of external validation studies of clinical prediction model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15;68(3):279-289. https://doi.org/10.1016/j.jclinepi.2014.06.018 

  18. Steyerberg EW, Vergouwe Y. Towards better clinical prediction models: Seven steps for development and an ABCD for validation. European Heart Journal. 2014;35(29):1925-1931. https://doi.org/10.1093/eurheartj/ehu207 

  19.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27th ed. Wayne (PA): CLSI; 2017. p. 32-39. 

  20. Hosmer DW, Jr, Lemeshow S. Applied logistic regression. 2nd ed.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2000. p. 160-164. 

  21. Hanley JA, McNeil BJ. The meaning and use of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adiology. 1982;143(1):29-36. https://doi.org/10.1148/radiology.143.1.7063747 

  22. Vickers AJ, Elkin EB. Decision curve analysis: A novel method for evaluating prediction models. Medical Decision Making. 2006;26(6):565-574. https://doi.org/10.1177/0272989X06295361 

  23. Vickers AJ, Van Calster B, Steyerberg EW. Net benefit approaches to the evaluation of prediction models, molecular markers, and diagnostic tests. British Medical Journal. 2016;352:i6. https://doi.org/10.1136/bmj.i6 

  24. Van Calster B, Vickers AJ. Calibration of risk prediction models: Impact on decision-analytic performance. Medical Decision Making. 2015;35(2):162-169. https://doi.org/10.1177/0272989X14547233 

  25. Steyerberg EW, Vickers AJ, Cook NR, Gerds T, Gonen M, Obuchowski N, et al.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prediction models: A framework for traditional and novel measures. Epidemiology. 2010;21(1):128-138. https://doi.org/10.1097/EDE.0b013e3181c30fb2 

  26. Peek N, Arts DG, Bosman RJ, van der Voort PH, de Keizer NF. External validation of prognostic model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required substantial sample size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7;60(5):491-501.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6.08.011 

  27. Austin PC, Steyerberg EW. Interpreting the concordance statistic of a logistic regression model: Relation to the variance and odds ratio of a continuous explanatory variable.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2012;12:82. https://doi.org/10.1186/1471-2288-12-82 

  28. Parikh R, Mathai A, Parikh S, Chandra Sekhar G, Thomas R. Understanding and using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redictive values. Indi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08;56(1):45-50. https://doi.org/10.4103/0301-4738.37595 

  29. Janssen KJ, Vergouwe Y, Kalkman CJ, Grobbee DE, Moons KG. A simple method to adjust clinical prediction models to local circumstances.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2009;56(3):194-201. https://doi.org/10.1007/s12630-009-9041-x 

  30. Moons KG, Kengne AP, Grobbee DE, Royston P, Vergouwe Y, Altman DG, et al. Risk prediction models: II. External validation, model updating, and impact assessment. Heart. 2012;98(9):691-698. https://doi.org/10.1136/heartjnl-2011-3012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