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기반 상급종합병원 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획득에 관한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cquisition at a Community-based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30 no.2, 2020년, pp.120 - 126  

이연주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함정연 (강북삼성병원 약제부) ,  이자균 (강북삼성병원 약제부) ,  이정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rising number of carbapenemase-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cases has become a concern worldwidely. This study investigated patient characteristics with CRE and analyz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ts acquisition.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electronic medical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단일 3차 중형 병원에서 발생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의 특성을 조사하고, CRE 발생 관련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CRE 발생 고위험군을 특징화하여 능동 감시 배양의 세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단일 기관에 입원한 환자 중 CRE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대조군을 매칭하고 비교하여 CRE 획득에 대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중환자실 입원력, 인공 호흡기 사용력, penicillins사용력, cephalosporins사용력, metronidazole사용력, carbapenems의 장단기사용력, glycopeptides의 장단기사용력은 CRE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시도해보지 않았던 항생제의 위험요인을 투여기간별로 평가해보았다. 이는 기존의 항생제 사용력과 선행사용기간에 대한 평가를 해봄으로써 CRE발생에 대한 능동감시의 세부기준을 마련해보고자 함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시도해보지 않았던 항생제의 위험요인을 투여기간별로 평가해보았다. 이는 기존의 항생제 사용력과 선행사용기간에 대한 평가를 해봄으로써 CRE발생에 대한 능동감시의 세부기준을 마련해보고자 함이었다. 평가대상이었던 항생제 5가지 모두 비교적 단기간 사용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7일 이내 사용력이 CRE획득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인한 문제는?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인한 다제 내성균 발현의 증가는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의 증가는 카바페넴이 내성균 중 광범위 베타락탐분해효소(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 그람 음성균 치료의 주요 약제이며, 그 밖의 적절한 치료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매우 위협적이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의 최초 감염보고는? 1)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중 카바페넴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을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CPE)라고 하며, 이는 내성 유전자를 빠르게 전파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carbapenemase의 획득은 국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2) 최초의 감염 보고는 1993년 notmetalloenzyme carbapenemase (NMC)에 의한 것이었으며, 국내에서도 1990년대 초반 일본으로부터 metallo-beta-lactamase(MBL)와 IGF2 mRNA-binding protein 1 (IMP-1) 효소가 전파됨으로써 CPE가 확산되기 시작하였다.3) 이에 국가적 차원의 항생제 내성 감시 및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11년 표본 감시를 시작으로 2017년 6월 제 3군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하고 전수 감시 체계로 전환되었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의 증가가 부정적인 점은? 항생제 사용의 증가로 인한 다제 내성균 발현의 증가는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의 증가는 카바페넴이 내성균 중 광범위 베타락탐분해효소(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 그람 음성균 치료의 주요 약제이며, 그 밖의 적절한 치료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매우 위협적이다.1)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중 카바페넴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을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CPE)라고 하며, 이는 내성 유전자를 빠르게 전파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carbapenemase의 획득은 국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aniga K, Flamm R, Tong SY, Lee M, Friedland I, Redman R. Worldwide experience with the use of doripenem against extendedspectrum-beta-lactamase-producing and ciprofloxacin-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nalysis of six phase 3 clinical studie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0;54(5):2119-24. 

  2. Queenan AM, Bush K. Carbapenemases: the versatile betalactamases. Clin Microbiol Rev. 2007;20(3):440-58. 

  3. Naas T. and Nordmann P. Analysis of a carbapenem-hydrolyzing class A beta-lactamase from Enterobacter cloacae and of its LysRtype regulatory 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1994;91(16): 7693-97.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Guidelines for healthcare assosicated infectious disease (VRSA, CRE). Government publications registration number 11-1352159-00832-10. 

  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cinetobacter baumannii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 health care facilities. Geneva: WHO Document Production services, 2017. 

  6. Kim YK, Song SA, Lee JN et al. Clinical factors predicting persistent carriage of 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producing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mong patients with known carriage. J Hosp Infect. 2018;99(4):405-12. 

  7. Chabah M, Chemsi M, Zerouali K et 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due to carbapenemase-producingEnterobacteriaceae: Bacteriological profile and risk factors. Med Mal Infect. 2016;46(3):157-62. 

  8. Salomal MC, Guimaraes T, Duailibi DF et al.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 patient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prevalence, risk factors, and acquisition rate. J Hosp Infect. 2017;97(3):241-6. 

  9. Lee HJ, Choi JK, Cho SY et al.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in a single community-based hospital in Korea. Infect Chemother. 2016;48(3):166-73. 

  10. Papst L, Beovic B, Pulcini C et al. Antibiotic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carbapenem-resistant gram-negative bacilli: an international ESCMID cross-sectional survey among infectious diseases specialists practicing in large hospitals. Clin Microbiol Infect. 2018;24(10):1070-6. 

  11. Peri AM, Doi Y, Potoski BA, Harris PNA, Paterson DL, Righi E. Antimicrobial treatment challenges in the era of carbapenem resistance.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19;94(4):413-25. 

  12. Bassetti M, Peghin M, Pecori D. The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urr Opin Infect Dis. 2016;29(6):583-94. 

  13. King M, Heil E, Kuriakose S et al. Multicenter study of outcomes with ceftazidime-avibactam in patients with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fection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7;61(7). 

  14. Papadimitriou-Olivgeris M, Bartzavali C, Spyropoulou A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for colistin- or tigecyclineresistant carbapenemase-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bloodstream infec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during a 7-year period.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18;92(3):235-40. 

  15. Durante-Mangoni E, Andini R, Zampino R. Management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fections. Clin Microbiol Infect. 2019;25(8):943-50. 

  16. Yamamoto N, Asada R, Kawahara R, et al.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carriage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Japan. J Hosp Infect. 2017;97(3):212-17. 

  17. McConville TH, Sullivan SB, Gomez-Simmonds A, Whittier S, Uhlemann AC.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olonization (CRE) and subsequent risk of infection and 90-day mortality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 observational study. PLoS One. 2017; 12(10):e0186195. 

  18. Ling ML, Tee YM, Tan SG, et al. Risk factors for acquisition of 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in an acute tertiary care hospital in Singapore. Antimicrob Resist Infect Control. 2015;4:26. 

  19. Lavagnoli LS, Bassetti BR, Kaiser TDL, Kutz KM, Cerutti C Junior. Factors associated with acquisition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1. Rev Lat Am Enfermagem. 2017;25: e2935. 

  20. Kang JS, Yi J, Ko MK, Lee SO, Lee JE, Kim K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cquisition in an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in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J Korean Med Sci. 2019;34(18):e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