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ix-Box model을 이용한 보건소 조직진단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of Public Health Center using Six-Box Mode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55 - 61  

이영주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김창규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보우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G시의 보건소 직원 168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일부터 2018년 9월 29일까지 조직몰입도와 조직의 산출요소인 임파워먼트를 파악하고, Six-Box Model을 이용하여 조직진단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Six-Box Model을 이용한 보건소 조직진단에서 지원 영역은 3.62점, 변화에 대한 태도 영역은 3.62점으로 타 영역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서는 관계, 보상, 변화에 대한 태도 영역이 남자에 비해 여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직종에 따라서는 간호직의 목표, 관계, 보상, 지원 영역 점수가 타 직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보건소는 보건행정 및 의료서비스를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지속적인 보건소 조직진단을 통해 조직의 역량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health centers in the city of G from September 1, 2018 to September 29, 2018, and empowerment, which is the output of the organization, and to examine organizational diagnosis using the Six-Box Model. In the organizational diagno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시의 보건소 직원을 대상으로 Six-Box model을 이용하여 보건소 조직 진단을 알아보고, 조직의 산출요소인 내부역량과 조직몰입과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보건소 조직은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차보건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공공기관으로, 보건소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서비스 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14].
  • 본 연구는 일개 보건소의 조직몰입도, 임파워먼트, 조직진단를 조사함으로써 보건소 조직의 올바른 역량강화를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일개 보건소 조직진단 및 조직몰입도, 임파워먼트를 분석하고, 보건의료 전문인력인 보건소 조직의 진단을 통해 조직의 올바른 역량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진단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가? 조직진단은 현재 그 조직의 상태를 평가하고 특정문제에 대한 해결과 조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사회과학 및 행동과학의 개념 모형과 방법을 사용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계획적이고 단계적인 조직변화를 시도하기 위한 첫 번째, 조직의 문제가 무엇인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활동을 진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6].
보건소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Spreitzer[12]가 개발한 Texts of Items Measuring Empowerment를 Kim 등[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이 도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보건소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Spreitzer[12]가 개발한 Texts of Items Measuring Empowerment를 Kim 등[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의미성 영역이 3문항, 역량 영역이 3문항, 자기결정성 영역이 3문항, 효과성 영역이 3문항의 4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총 12문항이다. 각 문항에 대하여 1점이 ‘전혀 그렇지 않다’ 에서 7점이 ‘매우 그렇다’ 까지 7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의 임파워먼트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Spreitzer[12]가 개발 당시 Cronbach's ⍺는 .
Six-Box Model이란? Six-Box Model은 Weisbord가 조직진단을 위해 개발했던 6가지 측정영역 즉, 목표(Purpose), 구조(Structure), 인간관계(Relationship), 보상(Reward). 리더쉽(Leadership), 지원(Helpful mechanism)에 변화에 대한 태도(Attitude of change) 영역을 더 추가하여 총 7가지 영역으로 조직을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이다[7]. 조직진단을 위해서 개발된 조직분석의 기본 틀로서 결과의 해석이 쉽고 용이하여 조직의 문제점을 명확하게 나타내 준다는 장점이 있어 조직진단에 자주 사용되어 왔으며, 조직 환경 및 조직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구성원에 대한 변화에 대한 태도 영역이 추가되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O. R. Moon. (1992).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of the health center's function and responsibility. Journal of Public Health, 29(1), 37-64. 

  2. Y. A. Oh.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by Position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Workforce.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1(1), 95-106. 

  3. S. Min & H. S. Kim. (2008). The Influence of Nurses'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t the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4), 448-457. 

  4. M. S. Sim, M. S. Lee, N. R. Oh & K. H. Kang. (2010). A Study on Duty Awareness of Public Health-Cente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 83-91. DOI : 10.15207/JKCS.2010.1.1.083 

  5. A. Hajat, D. Cilenti, L. M. Harrison, P. D. MacDonald, D. Pavletic, G. P. Mays & E. L. Baker. (2009). What predicts local public health agency performance improvement? A pilot study in North Carolina. Journal of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15(2), E22-E33. DOI : 10.1097/01.PHH.0000346022.14426.84 

  6. M. I. Harrison. (2005). Diagnosing organizations: methods, models and processes. California : Sage Publishing. 1-181. 

  7. M. R. Weisbord. (1976). Organizational diagnosis: six places to look for trouble with or with out a theory, Group & Organization studies, 1(4), 430-447. DOI : 10.1177/105960117600100405 

  8. R .C. Preziosi. (1980). Organizational diagnosis questionnaire(ODQ), The 1980 annual handbook for group facilitators, 112-120. 

  9. S. M. Kim & J. S. Kang. (2005). A critical revies on the studies of organizational diagnosis. Korean Association for Organizational Studies, 2(1), 21-47. 

  10. R. T. Mowday, L. W. Porter & R. M. Steers. (1982).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 Academic Press. 

  11. K. J. Kim. (1986). An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decision process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100. 

  12. G. M. Spreitzer. (201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1442-1465. DOI : 10.5465/256865 

  13. H. Y. Ahn & S. B. Kwon. (2018). Effect of Organizational Diagnosi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 Single-grade Korean Medicine Hospital Using Six-Box Mode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1), 35-46. DOI : 10.12811/kshsm.2018.12.1.035 

  14. H. E. Coeling & J. R. Wilcox. (1988).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A key to management decision making.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8(11), 16-23. 

  15. S. M. Seo & J. W. Lee. (1993).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 HyungSeol Publishing. 

  16. S. H. Park, J. S. Ahn & B. Y. Choi. (2018).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f Public Health Staff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45 Public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Winter International Conference, 617-640. 

  17. D. Y. Kone & J. S. Ahn. (2016).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544-555. DOI : 10.5932/JKPHN.2016.30.3.544 

  18. S. J. Lee, C. Y. Kim, Y. I. Kim & Y. S. Shin. (1998). A Study on Causal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Servants in Urban Health Center : Testing a hypothetical Causal Mode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8(1), 52-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