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시성 굴절이상과 안압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y Myopic Refractive Errors and Intraocular Pressur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317 - 321  

김보연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은희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미아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시성 굴절이상안압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대 성인 남녀 총 39명 (남17명, 여 22명) 총 7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압은 비접촉식 안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근시성 굴절이상은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군 3그룹으로 나누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에 의한 안압과 굴절이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근시성 대상안의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경도 근시에 비해 중등도와 고도 근시에서 안압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젊은 나이에 발병할 수 있는 녹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중장년층의 고도 근시에서 안압과 근시성 굴절이상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이해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d the correlation between myopic refractive errors and intraocular pressure.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9 adults(17 of males, 22 of females). We measured the intraocular pressure using a Non-Contact Tonometer(NC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yopic refractive errors was anal...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근시의 정도와 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시성 굴절이상을 갖고 있는 20대 성인 남녀의 안압을 측정하여 근 시성 굴절이상과 안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내장의 위험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근시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눈 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은 시신경 유두의 점차적인 소실과 시야 이상, 영구적인 시신경 손상을 유발하며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녹내장의 위험요인에는 높은 안압과 근시, 나이, 당뇨병, 고혈압, 가족력, 인종 등이 있다[12]. 이중 녹내장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요인으로는 정상보다 높은 안압이 있다.
근시성 굴절이상과 안압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안압은 비접촉식 안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근시성 굴절이상은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군 3그룹으로 나누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에 의한 안압과 굴절이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근시성 대상안의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경도 근시에 비해 중등도와 고도 근시에서 안압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젊은 나이에 발병할 수 있는 녹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중장년층의 고도 근시에서 안압과 근시성 굴절이상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이해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근시는 어떤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가? 눈의 기능 중 하나인 시력은 만 5-7세 사이에 정상시력으로 진행되며[1], 신체의 성장과 함께 진행되는 비정시안(굴절이상안)은 태어날 때 원시에서 정시로 만 5세 이상부터는 근시로 진행되기 시작하고 이후 신체의 성장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시기부터 안구의 성장이 멈추는 25세 전후까지 근시가 급격하게 증가한다[2,3]. 비정시안 중 근시는 크게 유전적 요인[4-7] 또는 환경적 요인[8-10]의 상호작용에 의해발생하고 일반적으로 약 24mm의 정상 안축의 길이와 비교하여 안축장의 길이가 길어져 발생하는 축성 근시와 각막 및 수정체의 굴절력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굴절성 근시가 있다. 급격한 시력변화가 없는 만 20세 이상에서는 외상, 노화로 인한 백내장, 만성질환 등으로 시력저하가 유발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시력이 감소되고 있음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눈 건강에 대한 이해와 관리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H. Kim. (2003). The developing a algorism For the predicting myopia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E. B. Dunphy, M. R. Stoll & S. H. King. (1968). Myopia among american male graduate students. Am J Ophthalmol, 65(4), 518-521. DOI: 10.1016/0002-9394(68)93865-8 

  3. E. Goldschmidt. (1968). On the etiology of myopia an epidemiological study. Acta Ophthalmol, 98(1), 115-134. 

  4. Meguro, A. & Mizuki, N. (2017). Genetic factors on myopia. Journal of Eye, 34(10), 910-1810. 

  5. A. W. Kirby, L. Sutton & H. Weiss. (1982). Elongation of cat eyes foollowing neonatal lid sutures. Invest Ophthalmol Vis Sci, 22(2), 274-277. 

  6. M. Gollender, F. Thorn &. P. Erickson. (1979). Development of axial ocular dimensions following eye lid suture in the cat. Vision Res, 19(2), 221-223. DOI: 10.1016/0042-6989(79)90053-1 

  7. J. Wallman, M. D. Gottlieb & V. Rajaram. Fugate wenzerk LA (1987). Local retinal regions control local eye growth and myopia. Science, 237(4810), 73-77. DOI: 10.1126/science.3603011 

  8. M. H. Criswell & D. A. Goss. (1983). Myopia development in nonhuman a primates a literature review. Am J Optom Physiol Optices, 60(3), 250-268. DOI: 10.1097/00006324-198303000-00013 

  9. P. R. Green. (1980). Mechanical consideration in myopia: relative effects of accommodation, convergence, intraocular pressure, and extraocular muscle. Am J Optom Physiol Optices, 57(12), 902-914. 

  10. A. M. Christensen & J. Wallmann. (1991). Evdence that increased scleral growth underlies visual deprivation myopia in chicks. Invest Ophthalmol Vis Sci, 32(7), 2143-2150. 

  11. W. S. Lee, K. H. Ye & B. J. Shin. (2014). A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according to Age for the Last Five Years : from 2008 to 2012. J Korean Ophthalmic Opt Soc, 19(1), 121-133. DOI: 10.14479/jkoos.2014.19.1.121 

  12. Crawford Downs J., M. D. Roberts & I. A. Sigal. (2011). Glaucomatous cupping of the lamina cribrosa: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active progressive remodeling as a mechanism. Exp Eye Res, 93(2), 133-140. DOI: 10.1016/j.exer.2010.08.004 

  13. E. Chihara & A. Sawada. (1990). Atypical nerve fiber layer defects in high myopes with high-tension glaucoma. Arch Ophthalmol, 108(2), 228-232. DOI: 10.1001/archopht.1990.01070040080035 

  14. J. E. Kang, R. M. Jun, H. J. Lee, S. H. Jung. & K. R. Choi. (2004). Distribution of Refractive Errors and Quantified Optometric Values in Urban Elementary Fourth Graders.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45(7), 1141-1149. 

  15. W. Makenzie. W. (1835). Practical treatise on the diseases of the eye. 2nd ed. London: Longman, 822. 

  16. P. Mitchell, F. Hourihan, J. Sandbach & J. J. Wang.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glaucoma and myopia: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106(10), 2010-2015. DOI: 10.1016/s0161-6420(99)90416-5 

  17. L. Xu, Y. Wang & S. Wang. (2007). High myopia and glaucoma susceptibility the Beijing Eye Study. Ophthalmology, 114(2), 216-220. DOI: 10.1016/j.ophtha.2006.06.050 

  18. M. W. Marcus, M. M. de Vries, F. G. Junoy Montolio & N. M. Jansonius. (2011). Myopia as a risk factor for open-angle glauc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phthalmology, 118(10), 1989-1994.e2. DOI: 10.1016/j.ophtha.2011.03.012 

  19. B. E. Klein, R. Klein & K. I. Linton. (1992). Intraocular pressure in an american community. The Beave Dam Eye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33(7), 2224-2228. 

  20. S. K. Nah MD., Y. H. Ohn MD., C. Y. Kim MD. & S. H. Lee MD. (2018). The Relationships of Intraocular Pressur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and Trans-lamina Cribrosa Pressure Differences wit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59(6), 527-536. DOI: 10.3341/jkos.2018.59.6.5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