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세종시 건설 계획에 관한 여론 변화
A Changes of Opinion according to the Sejong City Construction Plan Using Media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19 - 33  

조성수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호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세종시 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세종시 건설 계획과 관련된 한겨레와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언론사의 신문기사이다. 세종시 건설 계획은 신행정수도,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수정안 등 3개 시기로 구분되었다. 분석 방법은 파이썬과 Gephi 0.9.2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 감성분석, 사회연결망분석이다. 세종시 건설에 따라 각 신문사의 쟁점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한겨레의 키워드는 세종시 건설 시기에 따라 찬성-찬성-반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동아일보는 반대-반대-찬성의 입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일보는 반대-찬성-반대 경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감성분석 결과, 각 언론사는 논조의 특성이 변화되고 있었다. 한겨레는 긍정-긍정-부정 논조 특성을 보이고 있었고, 동아일보는 부정 - 부정 - 긍정으로 변화되었다. 한국일보는 부정-긍정-부정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사회연결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언론사는 세종시 건설 시기에 진보와 보수, 중도 등 정치적, 이념적 특성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한겨레는 지역균형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동아일보는 보수의 의견을 대변하고 있었다. 한국일보는 세종시 건설 시기에 여·야가 대립하는 이슈에 대해 부각 시키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on the changes of opinion in terms of Sejong City construction using big data. The research data ar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argument of construction in Sejong City. The newspaper article data was reported by Hankyoreh, Dong-A Ilbo and Hankook Ilbo. The arguments...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종시 건설 계획은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연구 자료는 세종시 건설 계획과 관련된 한겨레와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언론사의 신문기사이다. 세종시 건설 계획은 신행정수도,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수정안 등 3개 시기로 구분되었다. 분석 방법은 파이썬과 Gephi 0.
연구에서 세종시 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연구자료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세종시 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세종시 건설 계획과 관련된 한겨레와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언론사의 신문기사이다. 세종시 건설 계획은 신행정수도,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수정안 등 3개 시기로 구분되었다.
연구에서 세종시 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세종시 건설 계획은 신행정수도,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수정안 등 3개 시기로 구분되었다. 분석 방법은 파이썬과 Gephi 0.9.2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 감성분석, 사회연결망분석이다. 세종시 건설에 따라 각 신문사의 쟁점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이상호, 공간을 말하다, 북바이북, 2020. 

  2. 권오혁, "세종시 건설에 대한 검토와 대안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5권, 제4호, pp.464-480. 2012. 

  3. 조용구, 세종시건설의 찬반 쟁점과 특성 분석,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 유영돈, 마정미, "사회적 갈등이슈에 대한 전국 7개 일간지 보도 비교: 세종시 갈등 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5권, 제2호, pp.285-316, 2015a. 

  5. 이현숙, "세종시 뉴스 보도에 나타나는 프레임 분석," 정치정보연구, 제16권, 제1호, pp.229-264, 2013. 

  6. 감미아,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지능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pp.53-77, 2012. 

  7. 김춘식, "대안 없는 부정적 보도, 취재원은 수도권 편중 '행정수도 이전' 보도," 신문과 방송, 제8권,, pp.78-81, 2004. 

  8. 유승현, 황상재, "포털미디어의 뉴스 프레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0호, pp.197-232, 2006. 

  9. 박승민, 전국과 지방 TV 뉴스간 갈등 이슈 보도 비교: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프레임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유영돈, 마정미, "세종시 갈등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 7개 전국 일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3호, pp.29-59, 2015b. 

  11. 박한우, Loet Leydesdorff,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 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pp.1377-1387, 2004. 

  12. 양명철, 한혜경, "한국미디어의 이주민보도 프레임 분석," 동북아 문화연구, 제41권, pp.71-89, 2014. 

  13. 김대욱, 최명일, "의미연결망분석을 이용한 2005-2014년 자살보도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2호, pp.178-208, 2016. 

  14. 박승정, 전진오, 김선우, 김성태, "국내 주요일간지의 대통령 이슈소유권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정치정보연구, 제20권, 제3호, pp.25-55, 2017. 

  15. 최진호, 이해수, 진은형, "4차산업혁명에 관한 뉴스빅데이터 활용 토픽 분석: 언론사 유형 및 주요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6권, 제2호, pp.173-219, 2019. 

  16. 김일환, "인문학을 위한 신문 빅 데이터와 텍스트 마이닝," 어문론집, 제78권, pp.41-62, 2019. 

  17. D. M. Blei, A. Y. Ng, M. L. Jordan, and J. Lafferty,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3, No.4/5, pp.993-1022, 2003. 

  18. 박한우, 이연옥,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한국자료분석학회, Vol.11, No.2, pp.731-744, 2009. 

  19. Nasukawa and Yi,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Vol.3, pp.427-434, 2003. 

  20. 송경화, 강범모, "신문 기사의 언어 사용 양상," 인지과학, 제17권, 제4호, pp.255-269, 2006. 

  21.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2호, pp.5-32, 2005 

  22. B. S. Brooks, J. Z. Sissors, and F. K. Baskette, The art of editing, Allyn & Bacon, 2001. 

  23. SCHUTZE, Hinrich, MANNING Christopher D. and RAGHAVAN Prabhakar,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4. G. Salton and C. Buckley, "Term-weighting approaches in automatic text retrieval,"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24, No.5, pp.513-523, 1988. 

  25. M. E. Newman, "Modular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103, No.23, pp.8577-8582, 2006. 

  26. 박치성, 정지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 제19권, 제2호, pp.73-108, 2013. 

  27. www.bigkinds.or.kr 

  28. www.donga.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