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무원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559 - 571  

김현재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  김성종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회사무처 등 의정지원조직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인-환경 적합성(유사적합성, 보완적합성), 직무수행(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설정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유사 적합성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완적합성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의 직무수행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과 직무와의 일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한편 전공, 경력 등을 통한 부서배치 전략만으로는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담보할 수 없으며 별도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의정지원조직의 교육훈련 과정에 자기효능감과 관련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Job performance was classified into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Impacts of each factors on the job perf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선행연구들은 환경 요인의 다차원적 요소를 적용하여 개인-환경 적합성을 이해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개인-환경 적합성의 다차원 요소 중 직무적합성 개념에 중점을 두어 논의를 이끌어가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가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회사무처 등의 의정지원조직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조직 특성은 직무수행의 결과와 더불어 직무수행으로 연결되는 매개변인에 대한 탐색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전략적 관리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회 의정지원조직(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법조사처) 공무원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조직의 효율적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국회의 역할 신장과 더불어 의정지원조직의 중요성도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의정지원조직의 직무수행과 조직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국회사무처 등의 의정지원조직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과업의 복잡성 증가로 인해 직무수행의 개념이 변화되었다.
  • 본 연구는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과 그들에게 주어진 직무에 초점을 두어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수행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검토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개인-환경 적합성이 높을수록 주어진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인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높은 자기효능감은 직무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개인-환경 적합성과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고,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자기효능감의 제고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개인-환경 적합성을 유사적합성과 보완적합성으로 구분하여 직무수행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에 대해 검증을 시도한 것은 이론적 차원에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선행연구들은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성격 특성, 심리 특성 및 조직과의 적합성과 관련된 변수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을 전통적 과업수행에서 맥락수행과 적응수행을 구분하여 개인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의 다양한 측면과의 관련성을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개인의 직무적합성을 유사적합성과 보완적합성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다양한 직무수행으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한다.
  • 특히, 개인의 직무적합성을 유사적합성과 보완적합성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다양한 직무수행으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에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여 직무적합성, 개인 심리적 특성이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확실성을 특성으로 하는 조직환경에서 의정지원 조직 공무원의 교육훈련 및 배치 등 효율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 또한,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반응은 원거리보다는 근거리 개체로부터 더 영향을 받는데[22], 조직 구성원이 매일 수행해야 하는 직무는 개인(상사, 동료)이나 조직보다는 근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정지원조직 공무원과 그들이 당면하는 환경요인 중 직무와의 적합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 이러한 인식은 오늘날과 같이 과업이 점차 복잡해지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환경에서는 직무수행이 조직이 처한 상황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발전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을 전통적 과업수행에서 맥락수행과 적응수행을 구분하여 개인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의 다양한 측면과의 관련성을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개인의 직무적합성을 유사적합성과 보완적합성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다양한 직무수행으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에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여 직무적합성, 개인 심리적 특성이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은 직무수행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자기효능감은 직무수행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자기효능감은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적 매개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성 높은 직무의 적응에 부담글 가지고 있다는 결론의 근거는? 그러나 의정지원조직의 각 업무 분야는 다른 공무원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직무일 뿐 아니라 분야별로 업무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다양해서 조직구성원들의 직무 적응에 어려움을 겪거나 직무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2018년 2월 발표된 ‘입법부 공직생활 인식조사’에 의하면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전문성 저해 요인으로 ‘순환보직에 따른 잦은 인사이동’이 1순위로 나타났다[3]. 이는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이 전문성 높은 직무의 적응에 부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사 결과라고 하겠다.
정보화 시대에 조직이 직면하는 가장 큰 특징은? 정보화 시대에 조직이 환경에서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불확실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사회에서는 조직에서 직무수행의 핵심적 요소가 직무명세서에서 요구하는 과업을 수행하는 능력이었다.
직무수행이 중요한 변수인 이유는? 직무수행은(job performance) 주어진 과업의 수행을 통해 조직의 목표 달성과 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정 행위의 결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직무수행은 유효성, 생산성 등의 개념과는 구분되지만[1],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목표 달성에 대한 기여와 관련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개인의 능력을 반영하는 변인이 되므로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에서 중요한 변수가 된다. 개인의 직무수행은 승진, 급여, 성과급 설계 등의 판단기준이 되고, 인적 자원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어 부서배치와 교육훈련의 목표 설정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P. Campbell, "Modeling the performance prediction problem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M. D. Dunnette & L. M. Hough(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pp.687-732),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0. 

  2. L. N. Cleveland, K. R. Murphy, and Williams, "Multiple uses of performance appraisal: prevalence and correlat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4, No.1, pp.130-135, 1989. 

  3. 김종두, "입법부 공무원 공직생활 인식조사,"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 기획세미나 발표자료, 2018. 

  4. Motowidlo, Borman and Schmit, "A theory of individual diffrences in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Vol.10, No.2, pp.71-83, 1997. 

  5. 김성종, "심리적 자본이 공기업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권, pp.293-303, 2019. 

  6. S. J. Motowidlo and J. R. Van Scotter, "Evidence that task performanc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contextual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igy, Vol.79, No.4, pp.475-480, 1994. 

  7. W. C. Borman and S. J. Motowidlo,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In N. Schmitt & W. C. Borman(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pp.71-98), San Francisco: Jossey-Bass, pp.71-98, 1993. 

  8. 김도영, 유태용, "기업장면에서의 맥락수행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제8권, pp.61-91, 2002. 

  9. B. Hesketh and A. Neal, "Technology and performance," In D. R. Ilgen & E. D. Pulakos(Eds.), The changing nature of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staffing, motivation, and development(pp. 21-25), San Francisco: Jossey-Bass, 1999. 

  10. E. D. Pulakos, S. Arad, M. A. Donovan, and K. E. Plamondon,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Development of a taxonomy of adap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No.4, pp.612-624, 2000. 

  11. J. A. Chatman, "Improving Interactional Organizational Research: A Model of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3, pp.333-349, 1989. 

  12. J. R. Edwards and A. J. Shipp,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Outcomes: An Integrative Theoretical Framewor," In C. Ostroff & T. A. Judge(Eds.),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fit(pp.209-258),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7. 

  13. P. M. Muchinsky and C. J. Monahan, "What is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Supplementary versus complementary models of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1, No.3, pp.268-277, 1987. 

  14. A. L. Kristof, "Person-Organization Fit: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Vol.49, No.1, pp.1-49, 1996. 

  15. D. M. Cable and D. S. DeRu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ubjective fit percep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5, pp.875-884, 2002. 

  16. 성지영, 박원우, 윤석화, "개인-환경(조직, 상사, 동료) 적합성이 조직시민행동 및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공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인사.조직연구, 제16권, 제2호, pp.1-62, 2008. 

  17. 강영순,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수행간의 차별적 영향관계와 일가치감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9권, 제4호, pp.75-98, 2012. 

  18. A. L. Krisrof-Brown, K. L. Jansen, and A. E. Colbert, "A Policy-capturing study of the simultaneous effect of fit with jobs, groups, and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5, pp.985-993, 2002. 

  19. K. J. Lauver and A. L. Kristof-Brown,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9, No.3, pp.454-470, 2001. 

  20. A. L. Kristof-Brown, R. D. Zimmerman, and E. C. Johnson, "Consequences of Individuals' Fit at Work: A Meta­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8, No.2, p.281, 2005. 

  21. 최명옥, 유태용,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부합이 조직몰입, 직무만족,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합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39-162, 2005. 

  22. J. E. Mathieu and K. Hamel, "A Causal Model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4, No.3, pp.299-317, 1989. 

  23.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24. R. E. Wood and A. Bandura, "Impact of conceptions of ability on self-regulatory mechanisms and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 pp.407-415, 1987. 

  25.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Freeman, 1997. 

  26. A. Bandura, "Self-efficacy", In V. S. Ramachaudran(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Vol.4, pp.71-81), New York: Academic Press, 1994. 

  27. G. Chen, S. M. Gully, and D. Eden,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4, No.1, pp.62-83, 2001. 

  28. A. Bandura and E. A. Locke, "Negative self-efficacy and goal effects revisit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1, pp.87-99, 2003. 

  29. 손영진, 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을 중심으로 -,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0. 박지혜, 개인-직무 적합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1. 김민지, 대기업 HRD 담당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개인-직무 적합성, 자기효능감, 경력개발지원 및 직무도전성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2. 손인봉,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21권, 제3호, pp.207-235, 2019. 

  33. 남주성, 경찰공무원의 개인-환경 적합성 및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4. L. J. Williams and E. S.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35.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1988. 

  36. 유태용, "성격의 6요인(HEXACO) 모델에 의한 성격특성과 조직구성원 직무수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83-31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