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정맥 보전을 위한 마을기반 자원평가
Evaluating Village-based Resources for Conserving Nakdong-Jeongmae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4, 2020년, pp.47 - 58  

김태수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황신희 (대구경북연구원 스마트공간정보연구실) ,  조기환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육성복원연구과) ,  장갑수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resources distributed around the Nakdong-Jeongmaek which is the eastern ridge line of the Nakdong-river basin with 437km in length. Here we found and/or searched for thousands of resources within each of 210 villages around the ridge, which were divided into six categ...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낙동강의 분수계 중 동쪽의 경계를 이루는 큰 축인 낙동정맥을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원에 대하여 목록화하고 이를 평가하여 각 마을이 가지는 경쟁력 있는 자원을 확인하고 특성을 부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낙동정맥 보호를 위한 가치평가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정맥에 자리잡은 다양한 유형의 가치들을 자원인벤토리 구축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마을단위로 보유한 자원군으로 분류하여 마을의 상징성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마을단위 자원평가체계를 확립하여 낙동정맥 곳곳에 자리잡은 가치를 자원중심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자원의 평가지표는 환경적․생태적 요소(Ministry of Environment, 2007)뿐만 아니라 문화적 요소(Pena et al., 2010)까지 확대하여 선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 자연공원, 보호지역, 생물다양성, 관광자원, 역사문화자원 등 총 6개 유형의 자료를 평가지표로 정하여 조사하였다(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정맥 내 핵심 마을에는 무엇이 있는가? 핵심마을로는 경북 청송군 상의리, 이전리, 청도군 신원리, 밀양시 삼양리, 양산시 용연리가 선정되었으며, 이들 마을은 주왕산, 운문산, 가지산, 천성산 등 우수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자연공원을 비롯한 보호구역, 관광자원, 역사문화자원, 생물자원 등을 골고루 보유하고 있었다.
낙동정맥이란 무엇인가? 낙동정맥은 낙동강 동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한반도의 큰 산줄기인 백두대간의 강원도 태백시 매봉산 지점에서 분기하여 부산광역시 봉화산 몰운대까지 이르는 437㎞의 산줄기이다(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2001). 1900년대 초 일본지질학자 고토 분지로가 지질구조 기반으로 해석한 산맥체계에 의하면, 낙동정맥은 태백산맥의 남쪽 산맥에 해당하며(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4), 분수령산맥의 개념으로 볼 때, 낙동정맥은 동해안 지역과 남부내륙 지역의 자연조건을 구분하고, 식생과 생활환경 또한 나누어지는 경계로서 그 위상을 가지고 있다.
산맥과 정맥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무엇이 진행되었는가? 산맥과 정맥에 관한 연구들이 그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산맥과 산줄기에 대한 연구(Korea Forest Service, 1997;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Green Korea United, 199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4)와 백두대간에 관한 연구(Shin, 2004; Oh et al, 2007; Lee et al, 2007)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최근 들어 훼손지 실태연구(Lee et al, 2007; Jang, 2008)와 식생 및 식물상(Oh & Park, 2002; Kim & Choo, 2003; Choi & Oh, 2003), 생태네트워크 연구(Jang, 2007; Jang et al, 2009)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 마저도 낙동정맥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최근에 진행된 식생 및 식물상에 관한 연구(Lee et al, 2011; Park & Kang, 2016; You et al, 2017)를 제외하면, 낙동정맥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SH and Oh KK. 2003. Vegeta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Jeongryeonchi to Bokseon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4): 421-43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2020. 4. https://egis.me.go.kr 

  3. Jang GS. 2018. The management planning for characterization in Mountain Ranges(I). Research report to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in Korean) 

  4. Jang GS. 2019. The management planning for characterization in Mountain Ranges(II). Research report to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in Korean) 

  5. Jang GS. 2007. Establishment of a forest network in the western Geum River Basin using the nearest featur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ape Architecture. 35(5): 56-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Jang GS.Jeon SW and Kim SS. 2008.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forest damage withi the Geum-buk Mountain range. Jounr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55-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Jang RI and Lee MW. 2009. Technique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4) : 22-3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Jang RI and Jang GS. 2016. Evaluation Methodology using Eco-cultural Resources Distribution.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0(2) : 133-13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Jang RI.Jang GS.Jung OS and Ra JH. 2009. A Method for Zoning the Parcel-based Protecting Area of the Ecological Network in Fores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6): 131-1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Jeon SW.Chun JY.Seong HC.Song WK and Park JH. 2010.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 154-1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im GT and Choo GC. 2003.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Nogodan to Goribong in Baekdudaega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4): 441-44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YP. 2004. Restructuring mountain systems in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mountain range analysi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13.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20.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https://ecvam.kei.re.kr 

  14. Korea Forest Service. 1997. Research on the forest conditions and sufficient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Baekdu-daega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63-271. (in Korean) 

  1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d Green Korea United. 1999. Symposium for conceptual restoration and management direction search of Baekdu-daegan. 113. (in Korean) 

  16. Lee DK.Song WK.Jeon SW.Sung HC and Son DY. 2007.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 Restoration Technology. 10(4): 41-5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Lee SD and Lee SJ. 2011. Analysing Vegetation Structure of Aemirang Hill in the Nakdongjeongmaek,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3): 15-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A Study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in Korean) 

  19.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Guideline for Biotope Map. NIE, Seocheon. (in Korean) 

  20. Noh SH. 2016. Region Activ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Regional Cultural Resources-The Case of Chollanamdo Yi Sun-sin Cultural Resources. The Study of Regional Development. 48(1): 71-9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Oh JH.Kim YK and Kwon JO. 2007. 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 49-5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Oh KK and Park SG. 2002. Vegeta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5(4): 330-34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Park SG and Kang HM. 2016.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3): 386-39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Pena SB.Abreu MM.Teles R and Espirito-Santo MD. 2010. A methodology for creating greenways through multidisciplinary sustainable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1(4): 970-983. 

  25. Shin JH. 2004.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of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197-20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Shin JH. 2010. A Study on the Nautral Park Plan through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A Case Study on Mt.Hwangmaesan(Mt.) County Park-.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tces. 13(5): 28-3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Song WK.Kim EY.Jeon SW.Park SH and Lee J. 2012. Improvement of the Criteria on Naturalness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2): 31-4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You JH.Kim DP and Oh HK. 2017.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Nakdong-Jeongmaek Mountains-Focused on Mt. Baekbyeong, Mt. Chilbo, Mt. Baekam, Mt. Unju, Mt. Goheon and Mt. Gudeo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5): 15-4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