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전도성 점착제 응용을 위한 고분자 기반 탄소나노소재 복합체 제조 및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based carbon nanomaterial composites for thermal conductive adhesive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53 no.4, 2020년, pp.160 - 168  

이병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  조성일 (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  윤은혜 ((주)태양 3C) ,  이애리 ((주)태양 3C) ,  이우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  허성규 (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  황재성 ((주)태양 3C) ,  정구환 (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olymer-based carbon nanomaterial composite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for the application of a thermal conductive adhesive. Low-dimensional carbon nanomaterials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arbon nanotube (CNT) and graphene were selected as a filler in the composite. Therma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전도성 점착제 응용을 위하여 아크릴 고분자 기지에 탄소나노소재 충전재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탄소나노소재의 종류 및 형상 그리고 분산방법이 분산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분산도가 높은 복합체를 제작하였으며, 이들의 열 및 전기 전도도,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소재와 아크릴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열전도성 점착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계 점착제와 비교하여 내열성, 투명도, 내후성 및 내용매성이 우수하기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Adhesive layer의 단점은?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열원과 방열시트 사이에 공극(Pore)이 존재하지 않는 우수한 밀착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 열원과 방열시트 사이에 점착층(Adhesive layer)을 삽입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점착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등의 고분자 소재로서 0.02∼0.5 W/m⋅K의 비교적 낮은 열전도도를 가져 방열층의 열 이동에 제한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에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충전소재 (Filler)를 첨가하여 향상된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점착 복합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탄소나노튜브는 어떤 구조의 나노구조체인가? 반면 대표적 탄소나노소재인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의 경우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높은 종횡비 (Aspect ratio)를 보이고 있어서 이를 충전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도전성 점착제 개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8-10]. 탄소나노튜브는 sp2공유결합을 갖는 기저면(Basal plane)이 동그랗게 말린 나노구조체로서 열전도도가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고분자 수지에서 연속적인 연결망(Network)을 형성하여, 길게 확장된 나노튜브 망의 접합지점에서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전자 이동(Hopping)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전기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강도, 강성, 열전도도, 안정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의 향상이 예상된다[13,14].
방출 열은 전자 소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로 인해 다양한 기능성 전자 소자의 고집적화가 요구되면서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방출 열은 소자의 수명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소자의 오작동 및 기판 열화(Degradation) 등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어 방출 열을 제어하는 재료 및 기술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2]. 더욱이,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속되어 가고 있는 전자기기 내에는 Heat sink 등의 방열판을 장착할 공간적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열전도성과 점착성이 우수한 얇은 시트(Sheet)를 사용하여 열원 (Hot spot)으로부터의 열 확산을 유도하여 온도를 낮추려는 접근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 J. McNamara, Y. Joshi, Z. M. Zhang, Thermal resistance of thermal conductive adhesive anchored carbon nanotubes interface material, Int. J. Therm. Sci., 96 (2015) 221-226. 

  2. K. C. Yung, H. Liem, H. S. Choy, W. K. Lun, Thermal performance of high brightness LED array package on PCB, Int. Commun. Heat Mass Transfer, 37 (2010) 1266-1272. 

  3. G. Sui, S. Jana, W. H. Zhong, M. A. Fuqua, C. A. Ulven, Dielectric properties and conductivity of carbon nanofiber/semi-crystalline polymer composites, Acta Mater., 56 (2008) 2381-2388. 

  4. J. S. Roh, J. S. Ahn, B. J. Kim, H. Y. Jeon, S. K. Seo, S. H. Kim, S. W. Lee, Thermal emissivity changes as a function of degree of flakes alignment on the graphite surfaces, J. Kor. Inst. Surf. Eng., 42 (2009) 95-101. 

  5. H. Yu, G. Xu, X. Shen, X. Yan, C. Shao, C. Hu, Effects of size, shape and floatage of Cu particles on the low infrared emissivity coatings, Progr. Org. Coating., 66 (2009) 161-166. 

  6. W. Zhou, S. Qi, H. Li. S. Shao, Study on insulating thermal conductive BN/HDPE composites, Thermochim. Acta, 452 (2007) 36-42. 

  7. W. Zhou, S. Qi, Q. An, H. Zhao, N. Liu, Thermal conductivity of boron nitride reinforced polyethylene composites, Mater. Res. Bull., 42 (2007) 1863-1873. 

  8. H. Miyagawa, M. J. Rich, L. T. Drzal,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reinforced by carbon nanotubes and vapor grown carbon fibers, Thermochim. Acta, 442 (2006) 67-73. 

  9. S. Bellayer, J. W. Gilman, S. S. Rahatekar, S. Bourbigot, X. Flambard, L. M. Hanssen, H. Guo, S. Kumar, Characterization of SWCNT and PAN/SWCNT films, Carbon, 45 (2007) 2417-2423. 

  10. S. H. Hong, M. H. Kim, C. K. Hong, D. S. Jung, S. E. Shim, Encapsul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poly(4-vinylpyridine) and its dispersion stability in various solvent media, Synth. Met., 158 (2008) 900-907. 

  11. S. Berber, Y. K. Kwon, D. Tomanek, Unusually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s, Phys. Rev. Lett. 84 (2000) 4613-4616. 

  12. S. J. Park, M. S. Cho, S. T. Lim, H. J. Choi, M. S. Jhon, Synthesis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with poly(methyl methacrylate) prepared by in-situ bulk polymerization, Macromol. Rapid Commun., 24 (2003) 1070-1073. 

  13. K. T. Lau, D. Hui, Effectiveness of using carbon nanotubes as nano-reinforcements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Carbon, 40 (2002) 1605-1606. 

  14. Y. S. Song, J. R. Youn, Influence of dispersion sates of carbon nanotubes on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Carbon, 43 (2005) 1378-1385. 

  15. Q. Chen, L. Dai, M. Gao, S. Huang, A. Mau, Plasma activation of carbon nanotubes for chemical modification, J. Phys. Chem. B, 105 (2001) 618-622. 

  16. W. Trabelsi, L. Dhouibi, E. Triki, M. G. S. Ferreira, M. F. Mountemor, An electrochemical and analytical assessment on the early corrosion behaviour of galvanised steel pretreated with aminosilanes, Surf. Coat. Technol., 192 (2005) 284-290. 

  17. M. L. Sham, J. K. Kim, Surface functionalities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after UV/Ozone and TETA treatments, Carbon, 44 (2006) 768-777. 

  18. P. C. Ma, J. K. Kim, B. Z. Tang,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using a silane coupling agent, Carbon, 44 (2006) 3232-3238. 

  19. J. S. Jang, J. W. Bae, S. H. Yoon, A study on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f carbon nanotubes for liquid crystalline epoxide-carbon nanotube composites, J. Mater. Chem. 13 (2003) 676-681. 

  20. H. Miyagawa, M. J. Rich, L. T. Drzal,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reinforced by carbon nanotubes and vapor grown carbon fibers, Thermochim. Acta, 442 (2006) 67-73. 

  21. J. C. Grunlan, W. W. Gerberich, L. F. Francis, Lowering the percolation threshold in carbon black-filled polymer composites, Mat. Res. Soc. Symp. Proc., 576 (1999) 383-387. 

  22. M. A. Pimenta, G. Dresselhaus, M. S. Dresselhaus, L. G. Cancado, A. Jorio, R. Saito, Studying disorder in graphite-based systems by Raman spectroscopy, Phys. Chem. Chem. Phys., 9 (2007) 1276-1291. 

  23. S. B. Lee, B. H. Jeong, J. W. Yi, W. O. Lee, M. K. Um, Quantitative dispersion evaluation of carbon nanotubes reinforced polymer nanocomposites, Polymer(Korea), 35 (2011) 60-65. 

  24. J. E. Riggs, Z. Guo, D. L. Carroll, Y. P. Sun, Strong Luminescence of Solubilized Carbon Nanotubes, J. Am. Chem. Soc., 122 (2000) 5879-5880. 

  25. Y. Zhou, L. Lei, B. Yang, J. Li, J. Ren,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lactic acid (PLA)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Polymer Testing, 68 (2018) 3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