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의 토지이용 현상과 문제점 파악 및 발전방향 - 충남, 전북, 전남 지역 지자체 및 한국농어촌공사 지사 대상 설문조사 -
The Status, Problem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and Use in Reclaimed Land - Survey for Local Governments and the KRC Branch in Chungnam, Jeonbuk, and Jeonnam Province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3, 2020년, pp.67 - 77  

손재권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정찬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대학원) ,  이동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대학원) ,  고승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송재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이기성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박종화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blems of reclamation sites and the prospects of farming in reclamation areas seen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KRC branches in Chungnam, Jeonbuk, and Jeonnam provinces. A mail survey method was used. The survey items were set for 15 items regard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척지 활용에서 무엇이 문제이며 어떠한 점을 개선해야만 정부와 지자체 및 한국농어촌공사가 지향하는 목표가 조금씩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질문하였다.
  • 최근에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드론, 로봇 기술 및 IoT (Internet of Thinks)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은 모든 산업분야에 빠르게 도입되어 전파되고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간척지의 변화를 위해서 본 연구는 어떤 기술을 도입해야 하고, 빠른 기술발전에 어떻게 대응하고 적용해서 농어업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충남, 전북, 전남지역 중 간척지가 위치한 10개 시군 지자체(5개) 및 한국농어촌공사 지사 및 사업단(6개)의 간척지 및 농업 담당 실무자가 보는 현상의 문제점 파악과 간척지 농업의 전망을 알고자 하였다. 결과 도출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농업인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의 간척지 토지이용 계획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충남, 전북, 전남지역 중 간척지가 위치한 10개 시군 지자체(5개) 및 한국농어촌공사 지사 및 사업단(6개)의 간척지 및 농업 담당 실무자가 보는 현상의 문제점 파악과 간척지 농업의 전망을 알고자 하였다. 결과 도출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농업인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의 간척지 토지이용 계획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 특히 밭작물은 염해에 약한 경우가 많으므로 지하수위의 조건에 따라서 암거배수를 활용한 배수개선 시스템 개발 및 점적관개를 위한 스마트 자동 물관리 시스템 기술 등의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었을 경우 간척지에 6차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어떠한 용도로 활용되면 좋을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얻어진 조사 결과는 Table 3과 같다.
  • 2010년 고시된 기본구상 중 시화, 화옹 지구의 생태환경 용지는 현재 활용이 되고 있으나, 복합곡물 단지는 대부분 수도 작이 재배되고 있고 시화, 화옹, 영산강, 새만금 지구 등도 다른 작물의 재배 실적이 저조하다. 이러한 원인은 어디에 있고 어떠한 형태로 준비해 갈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미래 전망과 선행 기술에 대해 질문하였다.
  •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각 지자체 및 한국농어촌공사 현장 실무자들이 생각하는 정책 방향의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하였다. Figure 6(a)은 충남지역의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의견을 정리한 그림이다.
  • 「간척지의 농업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간척지의 농업적 이용을 다양화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의 적합성과 현재의 문제점 및 개선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의견청취 관련 연구가 거의 없어서 본 연구는 법률과 관계있는 유관기관의 지역 특성과 정책에 관한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업현장의 지역 활성화 정책 실무를 담당하는 공무원과 유지관리 업무 담당 한국농어촌공사가 간척지의 관개배수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문제점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bbasi, G. H., Akhtar, J., Ahmad, R., Jamil, M., Anwar-ul-Haq, M., Ali, S., Ijaz, M., 2015, Potassium application mitigates salt stress differentially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tolerant and sensitive maize hybrids, Plant Growth Regulation, 76(1), 111-125. 

  2. De Vos, J. A., Raats, P. A. C., Feddes, R. A., 2002, Chloride transport in a recently reclaimed Dutch polder, Journal of Hydrology, 257, 59-77. 

  3. Kim, S. J., 2009, Explanation of agricultural conditions and soil in Korea's reclaimed l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5-8 (in Korean). 

  4.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 2017a, Design guidelines for farmland development planning for reclamation land, 7-221 (in Korean). 

  5.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 2017b, Study on multi-purpos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claimed land(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Type Reclaimed Land Business Farming and Fisheries Model(I), 13-21 (in Korean). 

  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 2019, Comprehensive manual of reclamation Vol. 1. 3-15 (in Korean). 

  7. Lauchli, A. and Grattan, S. R., 2007,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under salinity stress, In Advances in Molecular Breeding toward Drought and Salt Tolerant Crops, Dordrecht, The Netherlands, 1-32. 

  8. Lee, S. H., Yoo, S. H., Seol, S. I., An, Y., Jung, Y. S., Lee, S. M., 2000, Assesment of salt damage for upland-crops in Dae-Ho reclaimed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9(4), 358-363 (in Korean). 

  9. Lee, S. H., Hong, B. D., An, Y., Ro, H. M., 2003,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 crop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6(2), 66-71 (in Korean). 

  10. Munns, R., 2002, Comparative physiology of salt and water stress, Plant Cell&Environment, 25(2), 239-250. 

  11. Munns, R. and Tester, M., 2008, Mechanisms of salinity tolerance, Annual Review of Plant Biology, 59, 651-681.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4, Reclaimed land agricultural research manu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5-12 (in Korean).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5, Development of optimum desalinization technology for upland crop cultivating in reclaimed l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17-20 (in Korean). 

  14.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RDC), 1996, Tideland reclamation in Korea, 25-36 (in Korean). 

  15. Seo, D. U., Kim, H. T., Chang, P. W., Lee, S. H., 2009, Development of prediction method of desalination on as aturated soil in Saemanguem reclaimed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2), 29-34 (in Korean). 

  16. Shabala, S. and Cuin, T. A., 2008, Potassium transport and plant salt tolerance, Physiologia Plantarum, 133(4), 651-669. 

  17. Shahbaz, M., Ashraf, M., AI-Qurainy, F., Harris, P. J. C., 2012, Salt tolerance in selected vegetable crops, Critical Reviews in Plant Sciences, 31(4), 303-320. 

  18. Singh, G., 2009, Salinity­related desertific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Indian experience, Land Degradation&Development, 20(4), 367-385. 

  19. Son, Y. M., 2007, Multiple utilization of tidal reclaimed farmland for advanced agricultur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Rural Research Institute, 34-53 (in Korean). 

  20. Tedeschi, A. and Dell'Aquila, R., 2005, Effects of irrigation with saline water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n soi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77, 308-322. 

  21. Turan, M. A., Elkarim, A. H. A., Taban, N., Taban, S., 2010, Effect of salt stress on growth and ion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in shoot and root of maize plant, Af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5(7), 584-588. 

  22. Wallender, W. W. and Tanji, K. K., 2011, Agricultural salin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Reston, V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