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 19 유행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선별 X-선 검사실의 안전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afety of a Screening X-ray Laboratory Using Containers in accordance with the COVID 19 Outbreak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4 no.4, 2020년, pp.425 - 431  

김재석 (아주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VID-19로 인해 수출용 컨테이너에 방사선 발생 장치를 설치한 경우 방사선실의 공간선량을 측정하고 검사실 내의 차폐벽의 효용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측정 지점은 X-선관에서 검사자가 있는 뒤쪽으로 이동식 차폐벽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를 12곳을 측정하였으며, 이와 대조군으로 이동식 차폐벽을 사용한 후 차폐벽 뒤에서 3곳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Survey Meter를 켜고 배후 방사선(Background)을 측정하였고, 배후 방사선(Background)에서 측정 Peak치 값을 빼서 산출하였다. 이동식 차폐벽 없이 X-선관 뒤, 50cm, 100cm, 200cm로 설정하여 12 곳을 측정하였고, 이동식 방사선 차폐벽을 사용하여 X-선관 뒤에서 3곳을 측정하여 이동식 방사선 차폐벽의 사용 전후의 선량값을 비교하였다. 이동식 차폐벽의 사용 여부에 따라 측정된 선량의 평균값을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하여 결과값 p < 0.05(양측)로 검증하였다. 측정값은 X-선관 뒤 좌측 50cm : 1.446μSv, X-선관 뒤 : 0.545μSv, X-선관 뒤 우측 50cm : 1.466μSv, 방사선 방어용 벽 뒤에서 측정값은 0.190μSv, 0.204μSv, 0.191μSv였다. 실측한 결과 검사실 내에서의 차폐벽으로 인한 검사자의 의료 피폭은 82.3%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선별 방사선 검사실에서의 직업 피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방사선 발생원으로부터 충분한 이격과 차폐벽의 사용을 권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a radiation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 an export container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pace dose in the radiation room and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shielding wall in the laboratory. Air dose measurement method was set behind the X-ray tube, 50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 신속한 감염경로의 차단이라는 국가적인 숙제 앞에 의료진 및 관계기관의 의료로 인한 방사선 피폭은 관심도가 낮은 편이며, 적어도 방사선을 다루고 있는 의료진들은 방사선 발생 장치의 허용선량에 대하여 관심을 두고 최대한 환자의 안전과 외부로의 방사선 누설 및 검사자의 안전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설치를 해야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첫 번째 과제로 COVID-19로 인해 수출용 컨테이너에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코로나 선별진료소의 경우 선별 방사선검사실 내의 방사선량의 선량분포를 측정하여 이동식 방사선 방어벽의 설치 여부에 대한 효용성 및 공간선량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선별진료소 내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VID-19는 어떻게 감염되는가?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는 2019년 12월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COVID-19은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인체의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감염된다. 감염되면 약 2~14일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 (37.
코로나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는 2019년 12월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COVID-19은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인체의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감염된다.
COVID-19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COVID-19은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인체의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감염된다. 감염되면 약 2~14일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 (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도 드물게 나오고 있다.[1] 2020년 2월 15일 아주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은 COVID-19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응급실 내원객과 외래환자 및 보호자의 병원 내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별진료소를 설치하였으며, 호흡기내과, 영상의학과, 감염내과, 임상병리과가 설치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Leslie Dietz, Patrick F. Horve,a David "2019 Novel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Built Environment Considerations To Reduce Transmission",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Vol. 5, No. 2, pp. e00375, 2020. http://dx.doi.org/10.1128/mSystems.00245-20 

  2. Wenjing Yang & Arlene Sirajuddin & Xiaochun Zhang & Guanshu Liu5 & Zhongzhao Teng & Shihua Zhao1 & Minjie Lu1 "The role of imaging in 2019 novel coronavirus pneumonia (COVID-19)", European Society of Radiology, 2020. https://doi.org/10.1007/s00330-020-06827-4 

  3. Andrea Giovagnoni, "Facing the COVID?19 emergency: we can and we do", La Radiologia Medica, Vol. 125, No. 4, pp. 337-338, 2020. http://dx.doi.org/10.1007/s11547-020-01178-y 

  4. K. H. Ma, S. J. Kang, "Radiation defense facility inspection guidelines NO. 322012.11",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11-1470550-000331-14, pp 2-4, 2012. 

  5. A strong shield K-prevention model to prevent Corona 19, http://www.motie.go.kr 

  6. Decree-law $n.^{\circ}$ 180/2002. Portugal: Diario da Republica I Serie-A N. $^{\circ}$ 182 (8 de agosto de 2002) 

  7. Antonio Abrantes, Carina Rebelo, Patrick Sousa, Sonia Rodrigues, "Scatter Radiation Exposure During Mobile X-Ray Examinations" Healthcare Executive Alliance Special Supplement, Vol. 17, No. 1, pp. 68-72, 2017. https://healthmanagement.org/c/healthmanagement/issuearticle/scatter-radiation-exposure-during-mobile-x-ray-examination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