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과 비중독군의 스마트폰 중독 관련 요인
Th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between Highly Addicted and Non-addict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y Types of Risk Group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3 no.2, 2020년, pp.67 - 78  

김상희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이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전소연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간호학과) ,  우경미 (동원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ypes of risk grou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of 223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22nd of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χ2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im 등[10]이 개발한 청소년 심리적 불안감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본 연구에서 심리적 불안 측정도구는 Kim 등[10]이 개발한 청소년 심리적 불안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흥미, 걱정, 불안, 슬픔, 외로움, 자살충동, 주변의 상황, 분노, 폭력적 행동, 위험한 행동에 대한 내용으로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의 범위는 최소 10점부터 최대 5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리적 불안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청소년기의 스트레스가 잘 해결되지 않을때 일어나는 문제 행동은? 청소년이 경험하는 또래관계나 학업에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이 정신신체 질환과 관련된 증상들을 호소하고 갈등적 친구관계나 학업 스트레스가 스마트폰의 과다 이용과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13,14]. 청소년기의 스트레스가 잘 해결되지 않으면 좌절, 반항, 우울, 흡연, 음주, 약물남용, 폭력, 강박증, 자기통제력 상실 및 충동성 등의 문제행동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또래친구와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또래관계 괴롭힘과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높으며, 사회적 성숙성을 나타내는 대인관계가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진다[14,15]. 그러나 학업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한 수정모형에선 학업 스트레스는 친구지지와 부모지지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오히려 학업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중독수준에 따라 어떻게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이 필요하다[18,19].
스마트폰 중독의 성향을 가중시키는 요소는? 금단과 재발, 내성 및 일상생활 장애를 동반하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은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4], 인터넷 중독이나 인터넷 게임중독은 스마트폰 중독을 높힌다[5]. 청소년의 공격성과 충동성 등의 문제행동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6,7], 우울과 불안의 정서적 문제와 학교부적응, 갈등적 친구관계, 교사나 부모와 의사소통 장애 등 사회적 불건강은 스마트폰 중독의 성향을 가중시킨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ung SH. Smartphone addiction serious of Adolescent [internet]. Seoul: Yonhap News; 2016 [cited 2020 February 19]. Available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60514032900017 

  2. Yang JW. Adolescent 16% internet . smartphone addiction... every year increase [internet]. Seoul: Yonhap News; 2019 [cited 2020 February 19]. Available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90514080000005. 

  3. Song BK. Korea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is more severe problem than internet addiction [internet]. Seoul: Kuki News; 2020 [cited 2020 April 16]. Available from: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002200318 

  4. Hong KP, Song JY, Jo J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inclination and internet ethics level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 Open Access Journals. 2015;24(2):331-350. https://doi.org/10.17643/KJCE.2015.24.2.19 

  5. Cho HS. A study on the solution for the internet, smartphon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of teenage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9;26(10):291-310. https://doi.org/10.21509/KJYS.2019.10.26.10.291 

  6. Jeon HS, Chun JS. Effect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Journal of Youth Welfare. 2017;19(3):53-80. https://doi.org/10.19034/KAYW.2017.19.3.03 

  7. Lee ME, Kim SG, Park SH, Kim SH, Park J.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family, peers and teachers, depression, and anxiety on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7;21(2):81-87. 

  8. Park JH, Park JH.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college adjustment,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7;28(1):185-194. https://doi.org/10.7465/jkdi.2017.28.1.185 

  9. Lee SC, Choi TY, Woo JM, Kim JH, Seo MJ, Kwak SG, et al. The relationship of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social anxiety on adolescents: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al Biology Therapy Psychiatry. 2014;20(3):212-218. 

  10. Kim YH, Cho AM, Lee SH. Actual conditions of low age and policy subject research of adolescents' deviancy behavior.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3 December. Report No.: 13-R07. 

  11. Elhai JD, Dvorak RD, Levine JC, Hall BJ. Problematic smartphone use: a conceptual overview and systematic review of relation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patholog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7;207(1):251-259. https://doi.org/10.1016/j.jad.2016.08.030 

  12. Koh EY, Kim EH. The impa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5):419-429. https://doi.org/10.14400/JDC.2017.15.5.419 

  13. Ryu SI, Cho IS.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9):6180-6189.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180 

  14. Kim KT, Lee HJ, Moon SI. Exploring the effects of network size, usage behaviors, and assimilation for peer relations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2016;30(4):5-40. 

  15. Shin JS. Teenagers peer relationship stress, academic stress, stress coping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master's thesis]. Kyungju: Dongguk University; 2015. p. 1-74. 

  16. Lee EJ, Kim YK, Lim SJ.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7;23(4):525-533. https://doi.org/10.4094/chnr.2017.23.4.525 

  17. Kang YH, Park SH.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 (4B):2103-2116. 

  18. Kim DH, Park YJ, Jang JW. The study on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related to academic stres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7;37:67-89. 

  19. Zhang YF, Bang MY.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2014;16(3):209-226. 

  20. Kim YH, Jee YJ, Hong HH. Predi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2):107-114.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4.01 

  21. Park JS. The variables in influencing on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Dankook University; 2011. p. 1-48. 

  22. Im KJ, Suh NY, Byun JN. Th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symptom between highly addicted and non-addict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014;27(3):189-195. https://doi.org/10.15434/kssh.2014.27.3.189 

  23. Park JS.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measurement scales and Korean internet addiction index.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2005;38(3):298-306. 

  24. Shin KW, Kim DI, Jung YJ. Development of Korean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R&D Report.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November. Report No.: NIA IV_RER_11051. 

  25. Park MJ, Shin SM.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addiction to internet game, cybersex, and smartphone use among Korean youths.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2014;15(2):753-771. 

  26. Jang HJ, Jeon YJ. The effect of introversion . extrovers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6;25(2):137-152. https://doi.org/10.5934/kjhe.2016.25.2.137 

  27. Montag C, Blaszkiewicz K, Lachmann B, Andone I, Sariyska R, Trendafilov B, et al. Correlating personality and actual phone usage: evidence from psychoinformatics.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2014;35(3):158-165. 

  28. Park MJ, Oh JH, Shin S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4;19(4):1185-1202. 

  29. Jeong GC.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4):655-66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55 

  30. Jung IK, Kim JH.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on smartphone addiction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7;28(2):289-300. https://doi.org/10.7856/kjcls.2017.28.2.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