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이동식차량측량시스템(MMS) 점군 위치정확도 성능평가 시설 구축
Establishment of Point Cloud Location Accuracy Evaluation Facility for Car-mounted Mobile Mapping System for Mapping of High Definition Road Map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8 no.4, 2020년, pp.383 - 390  

오윤석 (Department of Future Technology and Convergence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권영삼 (Smart Construction Promotion Center,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박일석 (Stryx Inc.) ,  홍승환 (Stryx Inc.) ,  이하준 (Geographic 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이태경 (Geographic 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장수영 (Geographic 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동식차량측량시스템(이하 MMS)는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다. MMS는 다양한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조사별로 제작방법과 처리 소프트웨어가 다르기 때문에 부품의 사양만으로 성능을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성능평가를 통해 각 장비가 정밀도로지도 제작에 적합한지 판단을 해야 하며, 주기적인 성능평가를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SOC실증연구센터에 구축한 MMS 성능평가시설에 대해 설명하고, 문헌조사와 실험을 통해 평가시설이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mounted MMS (Mobile Mapping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tool for mapping of high definition road maps(HD Map). The MMS is composed of various sensor combinatio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processing software are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performance cannot be predicted only by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정밀도로지도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수준을 정의하고 MMS 성능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한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본 시설에서 실험한 결과를 통해 본 시설에서 시행할 수 있는 성능평가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정밀도로지도는 한국판 뉴딜의 10대 핵심과제에 포함되어 국도 및 4차선 이상의 지방도를 대상으로 구축하게 될 전망이다(MEF, 2020).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에 핵심 인프라로서 최신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구축만큼 갱신도 중요하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공공과 민간의 협업을 하는 추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MS가 부품의 사양만으로 성능을 예측할 수 없는 이유는? 이동식차량측량시스템(이하 MMS)는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다. MMS는 다양한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조사별로 제작방법과 처리 소프트웨어가 다르기 때문에 부품의 사양만으로 성능을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성능평가를 통해 각 장비가 정밀도로지도 제작에 적합한지 판단을 해야 하며, 주기적인 성능평가를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이동식 차량측량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나? (Park and Lee, 2014) MMS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22년 까지 24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 선점을 위한 선제적 기술도입을 목적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추세이다.(Park, 2017) MMS의 구성은 GNSS, LiDAR, IMU, DMI,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 조합으로 구성되며, 측위 및 내비게이션 부문, 레이저 거리측정부문, 차량 좌표 및 이동방향 측정 부문 등으로 나눌 수 있다(Puente et al., 2013)
국내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목표는? , 2020). 이미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기준 Level 2에 해당하는 주행 경로조정과 지능형 크루즈 컨트롤이 결합한 차는 이제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2027년까지 1조 974억 원 규모의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Level 4 수준의 자율주행자동차 및 관련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는‘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R&D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etnews, 2020). 초기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 차량 내부 센서(카메라, 레이더, LiDAR 등)만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현재는 V2X 기술을 이용한 도로시설물과의 사물통신, 정밀도로지도 이용 등 보조수단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2015년부터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하고 있다(W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n, T.O., Lichti, D.D., and Glennie, C.L. (2013), Multi-feature based boresight self-calibration of a terrestrial mobile mapping system.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82, pp. 112-124. 

  2. ETnews (2020), Passe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development innovation project'... Invested 1.97 trillion won over 7 years, https://www.etnews.com/20200428000211 (last date accessed: 22 July 2020). (in Korean) 

  3.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FGDC). (1998), Geospatial Positioning Accuracy Standards; Part 3: National Standard for Spatial Data Accuracy, FGDC, Virginia U.S., 24p. 

  4. Geospatial Information Authority of Japan (GSI) (2019), Manual for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Surveying Using An Invehicle Photo Laser Surveying System (Draft) (in Japanese), GSI, Tsukuba, Japan, 43p. 

  5. Greenwalt, C. R. and Schultz, M. E. (1968), Principles and Error Theory and Cartographic Applications, ACIC Technical Report No. 96: St. Louis, Mo., Aeronautical Chart and Information Center, U.S. Airforce, 89p. 

  6.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EF) (2020), Announce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Plan, http://www.moef.go.kr/mp/nd/newDeal.do (last date accessed: 19 July 2020). (in Korean)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High Definition Road Map' Accelerates Commercialization of Self-driving Cars,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78099 (last date accessed: 19 July 2020). (in Korean) 

  8.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2019), Mapping Manual for High Definition Road Maps, NGII, Suwon, Rep. of Korea, 159p. (in Korean) 

  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2020), Quality Inspection Manual for High Definition Road Maps, NGII, Suwon, Rep. of Korea, 113p. (in Korean) 

  10. Habib, A., Bang, K.I., Kersting, A.P., and Chow, J. (2010), Alternative methodologies for LiDAR system calibration. Remote Sensing, 2(3), pp. 874-907. 

  11. Hong, S., Park, I., Lee, J., Lim, K., Choi, Y., and Sohn, H.G. (2017). Utilization of a terrestrial laser scanner for the calibration of mobile mapping systems. Sensors (Switzerland), 17(3). 24p. https://doi.org/10.3390/s17030474. 

  12. Hyundai MnSOFT (2017), Core Technology of Self-driving Car, High Definition Road map, http://blog.hyundai-mnsoft.com/841 (Accessed March 25, 2020). (in Korean) 

  13. Park, H.G. (2017), Domestic trend analysis of mobile mapping system through geospatial information market and patent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5(6), pp. 495-5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J.K. and Lee, E.S. (2014), Applicability estimation of mobile mapping system for efficient construction of road geo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6(2), pp. 185-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uente, I., Gonzalez-Jorge, H., Martinez-Sanchez, J., and Arias, P. (2013), Review of mobile mapping and surveying technologies. Measuremen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Measurement Confederation, 46(7), pp. 2127-2145. 

  16. Puttonen, E., Lehtomaki, M., Kaartinen, H., Zhu, L., Kukko, A., and Jaakkola, A. (2013), Improved sampling for terrestrial and mobile laser scanner point cloud data. Remote Sensing, 5(4), pp. 1754-1773. 

  17. Samjong KPMG ERI Inc. (2020), New Changes Made by Autonomous Driving, Samjong Insight Vol 69, Samjong KPMG ERI Inc. 49p. (in Korean) 

  18. Schwarz, K.P. and El-Sheimy, N. (2004), Mobile mapping systems - state of the art and future trend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ISPRS Congress, Istanbul, Turkey, July 2004; ISPRS: Vienna, Austria, 2004; 35, Part 5. pp. 759-768 

  19. Won, S.Y., Moon, J.Y., Yoon, S.Y., and Choi, Y.S. (2019), The future direction of HD map industry development plan and governa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3), pp. 120-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oo, H.S., Song, K.S., Seok, K.K., Kim, B.G., and Hwang, T.J. (2011), Study on lightweight mobile mapping systems using high speed camera & MEMS IMU/GPS.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19(4), pp. 73-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