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근로자의 근무일과 휴일의 식사구조 특성: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분석
Characteristics of Korean Employees' Meal Structure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Analysis of the 2014 Korean Time Use Surve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5 no.4, 2020년, pp.323 - 332  

김소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아사노가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인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Korean employees' meal structure characterized by mealtime, meal places, and companions. The data from 19,692 time diaries, recorded by 9,846 employees aged 19-64 years for two days in the 2014 Korean Time Use Survey, were analyzed for working days and non-working days. Approxim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근로자의 식사구조 특성이 근로자의 근로시간, 통근시간, 시간부족 등 상황요인과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진일보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식품영양학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근로자의 식사구조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특정 집단의 식생활 행태를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근로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어떻게 식사행동을 실천하는지를 이해하는데 신뢰성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2012),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식사구조를 분석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식사구조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영양정책 및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식사장소와 식사동반자 관련 분석을 위해 한 끼 식사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완료되는 시점까지 식사장소와 식사동반자에 변화가 없다는 가정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에 따라 식사시간의 첫 10분에 해당되는 장소와 동반자를 해당 식사의 식사장소와 식사동반자로 간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근로자의 식사구조는 근무일과 휴일에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1. 식사횟수가 3회인 날이 근무일의 63%, 휴일의 65%였고, 다음으로 2회인 날이 각 30% 수준이었다. 아침식사의 결식률이 높았는데 특히 근무일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약 48%에 달했다. 2. 근무일과 휴일 모두 하루 세끼의 식사패턴을 보였다. 근무일에는 휴일에 비해 이러한 식사시간 패턴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근로자의 끼니별 식사시간대는 근무일의 아침과 점심식사는 두 시간 이내에 모여 있는 반면, 근무일 저녁과 휴일의 모든 끼니는 세 시간 정도의 범위에 분산되어 있었다. 아침, 점심, 저녁 식사를 하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은 시간이 근무일의 경우에는 각각 7:30, 12:10, 19:20이었고, 휴일의 경우에는 각 9:00, 12:20, 19:00였다. 3. 근무일 식사시간의 평균이 남성의 경우 약 85분, 여성의 경우 약 78분인 반면, 식사준비 및 정리 시간은 남성이약 5분, 여성이 약 46분으로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근무일 아침과 저녁식사의 경우, 식사 장소가 집인 비율이 각각 88, 67%로 가장 높았고, 점심식사의 경우, 식당과 직장인 비율이 각각 46, 42%였다. 혼자 먹는 비율이 가장 높은 끼니는 근무일 아침이었고(약 40%),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끼니는 휴일 저녁이었다(약 69%). 끼니별로 식사장소와 동반자를 조합한 식사구조를 분석한 결과, 근무일 아침과 저녁, 휴일의 모든 끼니에서는 집에서 가족과 하는 식사구조가, 근무일 점심에서는 식당에서 타인과 하는 식사구조가 대표적이었다.
식사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2012). 식사구조, 즉 식사가 이루어진 시간, 장소 및 식사 동반자는 식사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식사가 내포하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반영한다(Kim et al. 2016).
공동 식사행위가 식사의 사회성을 가장 많이 내재한 식사형태인 이유는? 2016). 가족동반 식사와 같은 공동 식사행위는 집단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집단 연대를 유지하는 면에서 식사의 사회성을 가장 많이 내재한 식사형태이며(Sobal & Nelson 2003; McCullough et al. 2016), 현대사회에서 불규칙적인 시간과 장소에서 사회적 교류 없이 개인적으로 간식을 섭취하는 행위는 식사의 사회성을 배제한 형태로 볼 수 있다(Poulai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rtrand M, Schanzenbach DW. 2009. Time use and food consumption. Am. Econ. Rev., 99(2):170-176 

  2. Bhat CR, Koppelman FS. 1999. A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survey of time-use research. Transportation, 26(2):119-139 

  3. Chae HY. 2005. Workers'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Korean Fam. Resour. Manag. Assoc., 9(3):31-43 

  4. Cheng SL, Olsen W, Southerton D, Warde A. 2007. The changing practice of eating: evidence from UK time diaries, 1975 and 2001. Br. J. Sociology, 58(1):39-61 

  5. Golla AM, Vernon V. 2006. Late for dinner again: Do work schedules and home schedules clash? Washington, D.C., pp 13-18 

  6. Hamrick KS, Andrews M, Guthrie J, Hopkins D, McClelland K. 2011. How much time do Americans spend on foo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Service, pp 5-35 

  7. Holm L, Ekstrom MP, Hach S, Boker LT. 2015. Who is cooking dinner? Changes in the gendering of cooking from 1997 to 2012 in four Nordic countries. Food Cult. Soc., 18(4):589-610 

  8. Jung HK. 2001. The transition of Korean food cultur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lifestyl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onference, Seoul, pp 17-24 

  9. Kim SE, Kim HJ, Jung HK. 2016.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food culture: In the views of eating patterns and food identity. J. East Asian Social Thoughts, 19(2):195-231 

  10. Kolodinsky JM, Goldstein AB. 2011. Time use and food pattern influences on obesity. Obesity, 19(12):2327-2335 

  11. Lee YM, Shim JE, Yoon J. 2012. Change of children's meal structur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s: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1998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7(1):109-118 

  12. Macromill Embrain. 2015. Survey on employees' perception of working day lunch. Res. Rep., 2015(9):1-27 

  13. Marshall D, Bell R. 2003. Meal constructi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occasion and location. Food Quality Preference, 14(1):53-64 

  14. McCullough MB, Robson SM, Stark LJ. 2016. A review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meals with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Adv. Nutr., 7(4):627-640 

  15. Mestdag I. 2005. Dis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meal:Temporal, social and spatial destructuration. Appetite, 45(1):62-74 

  16. Mestdag I. 2007. Destructuration of the Belgian meal pattern. Changes in the temporal, social and spatial aspects of eating practices by means of time-use data. Dotoral degree thesis, Vrije Universiteit Brussel, Belgium, pp 11-49 

  17. Monsivais P, Aggarwal AA. 2014. Time spent on home food preparation and indicators of healthy eating. Am. J. Prev. Med., 47(6):796-802 

  18. Moore JG, Christian PE, Coleman RE. 1981. Gastric emptying of varying meal weight and composition in man. Dig. Dis. Sci., 26(1):16-22 

  19. Murcott A, Belasco W, Jackson P. 2013. The handbook of food research. Bloomsbury Academic, London, pp 324-337 

  20.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s. 2010. Korean cuisine and health. Gyomoonsa, Paju, pp 194-207 

  21. Oh YJ. 2016. Increasing single household and analysis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behavior of eating alone. Proceedings of 2016 summer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Seoul, pp 3-14 

  22. Park MJ, Son MG. 2005. Everyday lifetime of aged men and women: Focusing on statistics from lifetime use survey. Duksung J. Soc. Sci., 11:121-145 

  23. Poulain J-P. 2002. The contemporary diet in France: "Destructuration" or from commensalism to "vagabond feeding". Appetite, 39(1):43-55 

  24. Sayer LC. 2005. Gender, time and inequality: Trends in women's and men's paid work, unpaid work and free time. Soc. Forces, 84(1):285-303 

  25. Shin KH, Chae KY, Yoo YJ. 2002. A study on the breakfast habits of salaried people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1):119-128 

  26. Sobal J, Nelson MK. 2003. Commensal eating patterns: a community study. Appetite, 41(2):181-190 

  27. Southerton D, Diaz-Mendez C, Warde A. 2012. Behavioural change and the temporal ordering of eating practices: A UK-Spain comparison. Int. J. Sociology of Agri. & Food, 19(1):19-36 

  28. Statistics Korea. 2015a. Report on the time use survey volume 1:Time spent on activities in 2014. Statistics Korea, Daejeon, pp 5-23 

  29. Valentine G. 1999. Eating in: Home, consumption and identity. Sociololy Rev., 47(3):491-524 

  30. Warde A, Cheng S-L, Olsen W, Southerton D. 2007. Changes in the practice of ea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imeuse. Acta Sociologica, 50(4):363-385 

  31. Yates L, Warde A. 2017. Eating together and eating alone:Meal arrangements in British household. Br. J. Sociology, 68(1):97-118 

  32. Zick CD, Stevens RB. 2010. Trends in Americans' food-related time use: 1975-2006. Pub. Health Nutr., 13(07):1064-1072 

  33. Zick CD, Stevens RB. 2011. Time spent eating and its implications for American's energy balance. Soc. Indicators Res., 101(2):267-273 

  34. Statistics Korea. 2015b. 2014 Time Use Survey data.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accessed 2017.0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