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자추적 실험을 이용한 새만금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 범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aemangeum Sluice-Gates Effluent Discharge using the Particle Tracking Model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2 no.4, 2020년, pp.211 - 222  

조창우 ((주)지오시스템리서치 부설연구소) ,  송용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부설연구소) ,  방기영 ((주)지오시스템리서치 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입자추적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 범위 파악을 위한 방법론을 수립하고, 2017년을 대상으로 새만금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 범위를 계절별 확률 분포로 제시하였다. 물질 수송 시간의 지표 중 하나인 water age를 계산하고 입자추적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계산 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배수갑문 유출수는 신시 또는 가력 배수갑문을 중심으로 그 영향 범위가 방사형으로 증가하는데 계절풍의 영향으로 동계에는 남측으로, 하계에는 북측으로 영향 범위가 치우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예측 결과는 2017년 상황에 한정되지만, 본 연구에서 수립한 입자추적 실험을 이용한 배수갑문 유출수 영향 범위 산정 기법은 현재 변화하고 있는 새만금 해역의 장래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 범위 산정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calculating the influence of effluent discharge from Saemangeum sluice-gates using the particle tracking model. For 2017, we presented the seasonal effects of effluent discharge as probability spatial distribution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water age, on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동하는 입자를 이용하여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입자 방출 조건과 환경 조건을 포괄할 수 있는 다수의 입자를 활용해야 하며, 다수의 입자가 이동하는 위치를 배수갑문 유출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라고 가정하는 확률론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갑문 유출수가 새만금 외해역으로 미치는 영향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조건(조시, 갑문 유출입량, 바람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확산 범위를 확률로서 제시하기 위하여 모델 영역 내에 가상의 격자를 설정하고, 입자추적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단위 격자별 통과 입자 개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범위 산정 방법론을 정립‧적용하여 2017년을 대상으로 새만금 외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범위를 예측하고자 한다. 현재 새만금은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내부 개발이 진행되고 새만금 외해역의 해양환경 변화 보다는 새만금호의 목표 수질 달성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새만금유역 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 결과에 따라 새만금호의 수질 및 배수갑문 운영 방안 또한 가변적인 상황이다.
  • 만약 입자추적 모델링에서 1,000개의 입자를 10분 간격으로 출력한 경우, 모델 영역 밖으로 입자가 나가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100분 후에는 10,000개의 입자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입자에 대해 고유 ID를 부여하고, 단위 격자에 한번 이상 포함되는지만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1,000개의 입자가 가로, 세로 5 km 공간에 무작위로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공간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500 m 등간격으로 격자화하고 단위 격자속에 들어있는 입자의 개수를 세면 단위 격자속에 포함된 입자의 개수를 전체 입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해역의 상황은? 새만금 해역은 2006년 방조제 건설 후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방조제 외측의 새만금 신항 공사와 내측의 내부 개발 공사(준설, 매립, 방수제 등)가 진행 중에 있으며, 신시 및 가력 배수갑문을 통해 내·외측으로 해수가 유통되고 있는 상황이다. 2개의 배수갑문은 새만금호의 관리수위 유지를 위해 운영되는데, 해수를 제한적으로 유통시킨 2011년에 호내 수질이 크게 악화되면서 호내 수질 개선을 위해 2013년부터는 내측과 외측의 일정 이상 수위의 차이가 발생하는 대조기를 대상으로 배수갑문을 하루에 한 번 정기적으로 개문하여 해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운영되었다.
배수갑문 유출수가 새만금 외해역에 미치는 영향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입자추적 실험을 수행하여 계절별 영향 범위를 확률 분포 계산 결과는? 배수갑문 유출수가 새만금 외해역에 미치는 영향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입자추적 실험을 수행하여 계절별 영향 범위를 확률 분포로 제시하였다. 계산 결과, 배수갑문으로부터 유출된 입자들은 동계에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주로 남측으로 이동하고, 하계에는 남-남남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북측으로 이동한다. 배수갑문 유출수 영향 범위의 간접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water age를 계산하고 배수갑문 유출수가 외측 해역에 도달하는 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한 결과, 배수갑문 유출수의 영향 범위는 신시 또는 가력 배수갑문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water age 계산 결과와 입자추적 실험 결과가 대체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자추적 실험의 장점과 단점은? 입자추적 실험은 입자 방출 이후 각각 입자의 공간적 위치와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해수의 이동 양상과 체류시간(residence time)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정확한 확산범위 산정을 위한 적절한 입자의 방출 개수 및 방출 시기 설정의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입자의 방출 조건, 환경 조건, 무작위 행보 등에 의한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갖는 입자가 대변하는 대상 물질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방류 입자의 수를 증가시켜 하나의 입자가 가질 수 있는 오차 범위를 축소시키고, 다양한 입자 경로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ng, K.Y., Park, S.J., Kim, S.O., Cho, C.W., Kim, T.I., Song, Y.S. and Woo, S.B. (2013). Numerical hydrodynamic modeling incorporating the flow through permeable sea-wall.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5(2), 63-75. 

  2. Bolin, B. and Rodhe, H. (1973). A note on the concepts of age distribution and transit time in natural reseroirs. Tellus, 25(1), 58-62. 

  3. Delhez, E.J.M., Campin, J.M., Hirst, A.C. and Deleersnijder E. (1999). Toward a general thoery of the age in ocean modelling. Ocean Modell., 1(1), 17-27. 

  4. Deltares, (2013). Delft3D-FLOW Simulation of multi-dimensional hydrodynamic flows and transport phenomena, including sediments User Manual Hydro-Morphodynamics. Version: 3.15.30808, The Netherlands. 

  5. Jung, K.Y., Ro, Y.J. and Kim, B.J. (2013).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and tidal residual current in the Chunsu Bay, Yellow sea, Korea based on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5(4), 207-218. 

  6. Kim, J.H., Park, S.E., Kim, H.C., Hong, S. and Lee, W.C. (2020).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anthropogenic pollutant dispersion near shellfish growing area in Jaran Bay: A tracer-based water age approach.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23(1), 29-36. 

  7. Liu, S. (2013). Numerical modeling of hydrodynamic circulation in Lake Taihu. Master's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8. Perianez, R. and Elliott, A.J. (2002). A particle-tracking method for simulating the dispersion of non-conservative radionuclides in coastal waters. J. Environ. Radioact., 58(1), 13-33. 

  9. Salama, N.K.G. and Rabe, B. (2013). Developing models for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transmission of disease-causing agent within open-cage salmon aquaculture. Aquacult. Env. Interac., 4, 91-115. 

  10. Smyth, D., Kregting, L., Elsaber, B., Kennedy, R. and Roberts, D. (2016). Using particle dispersal models to assist in the conservation and recovery of the overexploited native oyster (Ostrea edulis) in an enclosed sea lough. J. Sea Res., 108, 50-59. 

  11. Suh, S.W. (2006). A hybrid approach to particle tracking and Eulerian-Lagrangian models in the simulation of coastal dispersion. Environ. Modell. Software, 21(2), 234-242. 

  12. Suh, S.W. and Lee, H.Y. (2011). Analysis of hydrodynamic change around the Saemangeum area using a particle tracking method.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3(6), 442-4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