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마린시티 해안의 복합재난 위험성 평가
Coastal Complex Disaster Risk Assessment in Busan Marine City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6 no.5, 2020년, pp.506 - 513  

황순미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안관리부) ,  오형민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안관리부) ,  남수용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안관리부) ,  강태순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안관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상승, 태풍, 집중강우 등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복합재난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부산 마린시티는 과거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주거지 중심의 신도시로서, 최근 태풍과 해일 및 월파의 복합 원인으로 대규모 침수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재난 대비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에 따른 대비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위해 평가프레임을 수립하고, 침수예측 자료와 국가공인 사회경제적 위험요소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경제적 위험요소는 인구, 지하시설, 건물, 인도, 도로의 5가지로서, 최대 침수심에 대한 각 요소의 절대기준을 마련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요소별 가중치 설정을 위하여 전문가 설문을 적용하였다. 평가결과는 관심, 주의, 경계, 위험 4단계로써, 2100년의 해수면상승과 재현주기 100년 빈도의 폭풍해일 및 확률강우를 가지는 시나리오에서 관심등급 43 %, 주의등급 24 %, 경계등급 21 %, 위험등급 11 %로 각각 나타났다. 각 등급은 색상별로 구분하여 복합재난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climate change, there is an increasing risk of complex (hybrid) disasters, comprising rising sea-levels,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This study focuses on Marine City, Busan, a new residential city built on a former landfill site in Suyeong Bay, which recently suffered massive flood dam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안가 복합재난 위험지역 피해저감 기술개발’ 과제의 일부로 시도된 연구로서, 비교적 협역인 마린시티에 대해 격자데이터 기반으로 평가하여 상세단위의 위험성 평가가 가능하다.
  • 본 연구에서는 외수 또는 내수에 의한 독자적인 분석에 국한된 연구에 한계를 파악하고 행정안전부의 내수와 외수의 복합재난 침수예상도 최대 침수심 자료와 사회경제적 요소 자료를 이용하여 복합재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험요소를 인구, 지하시설, 건물, 도로, 인도 다섯 가지로 선정하여 위험요소별 절대 기준을 설정하여 절대평가를 수행했다.
  • 본 연구에서는 피해대상을 사람과 자동차 두 가지로 정의하고 피해대상별 위험기준을 설정하여 위험요소를 평가했다. 위험요소중 인구와 인도, 그리고 건물의 경우 침수심을 이용한 사람 위험기준을 적용했지만 건물의 물적 피해는 대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 또한 보험개발원(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2018)에서는 자동차의 에어클리너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보다 수위가 높으면, 에어클리너를 통해 엔진으로 물이 유입되어 시동이 꺼져 피해의 주원인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자동차 종별 에어클리너 설치 높이를 측정하여 보고하였다. 측정결과, 에어클리너 위치는 승용차의 경우 약 54 ~ 57 cm, 1톤 트럭의 경우 약 26 ~ 31 cm,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 매립지의 취약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해안가 복합재난이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상승, 태풍, 집중강우 등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해안가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을 일컫는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IPCC(SR)에서는 해수면상승은 RCP시나리오별(2.6 ~ 8.5)로 2100년까지 26 ~ 110 cm 상승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IPCC, 2019), 백중사리에 의한 해안가 저지대 상습침수피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슈퍼태풍의 한반도 내습 가능성 및 태풍 강도의 증가가 예상되어(Moon, 2013), 해일고 및 파랑의 크기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해안 매립지의 취약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Kang et al.
해안가 복합재난이란? 해안가 복합재난이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상승, 태풍, 집중강우 등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해안가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을 일컫는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IPCC(SR)에서는 해수면상승은 RCP시나리오별(2.
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부산 마린시티는 과거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주거지 중심의 신도시로서, 최근 태풍과 해일 및 월파의 복합 원인으로 대규모 침수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재난 대비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에 따른 대비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위해 평가프레임을 수립하고, 침수예측 자료와 국가공인 사회경제적 위험요소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J. H., K.W. Kim, and W. C. Cho(2013), Flooding Risk Assessment Using Flooding Characteristic Val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3), pp. 957-964 (in Korean). 

  2. Han, S. R., N. R. Kang, and C. S. Lee(2015), Disaster Risk Evaluation for Urban Areas Under Composite Hazard Factors, J. Korean Soc. Hazard Mitig, 15(3), pp. 33-43 (in Korean). 

  3. IPCC(2001), Climate Change 2001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in English). 

  4. IPCC(2019), Special Report on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in English). 

  5. Kang, T. S.(2014), A Study on the Framework of Coastal Vulnerability Assessment,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6. Kang, T. S., H. M. Oh, H. M. Lee, and H. S. Eum(2015), Storm Surge Vulnerability Assessment due to Typhoon Attack on Coastal are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No. 5, pp. 608-616 (in Korean). 

  7. Kang, T. S., S. R. Moon, S. Y. Nam, and J. S. Shim(2010), The Vulnerability of the Reclaimed Seashore Land Attendant Upon Storm Surge/Coastal Inund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Vol. 24, No. 1, pp. 68-75 (in Korean). 

  8. KHOA(2014),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Island Region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 Result Report (in Korean). 

  9. KHOA(2015),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Coastal disaster assessment system final report (in Korean). 

  10. KMA(20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rea Peninsula Climate Change Prospect Analysis Report (in Korean). 

  11.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2018), http://www.kidi.or.kr/ (Accessed: June 2018). 

  12. MLIT(20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Manual (in Korean). 

  13. MOF(201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ide Disaster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in Korean). 

  14. MOIS(201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evelopment of complex caus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technology and research on countermeasur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on coastal city (in Korean). 

  15. MOIS(201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reduce damage for hazardous area due to complex disasters in coastal zone (in Korean). 

  16. Moon, I. J.(2013), Landing Possibility and Response of Super Typhoon over Korean Peninsula, Proceedings of Climate Change Center (in Korean). 

  17. National Weather Service(2020), https://www.weather.gov/jan/swpw_flooding (Accessed: June 2020). 

  18. NDMI(2012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Development of Assessment System for Flood Vulnerability Index. Final Report (in Korean). 

  19. NDMI(2012b),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Trial and Improvement of Community-based Flood Risk Assessment Methods. Final Report (in Korean). 

  20. NDMI(2014),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mprovement of Design Element based on Empirical Experiments. Final Report (in Korean). 

  21. OECD(2008), Handbook on Constructing Composite Indicators (in English). 

  22. Yoo, G. Y., S. W. Park, D. K. Chung, H. J. Kang, and J. H. Hwang(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ology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ea Level Rise Impact on a Coastal City,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9(2), pp. 185-205 (in Korean). 

  23. Samsung Traffic Safety Research Institute(2019), http://sts.samsungfire.com/ (Accessed: July 2019). 

  24. Shon, T. S., D. H. Kang, J. K. Jang, and H. S. Shin(2010), A study of Assessment for Internal Inundation Vulnerability in Urban Area using SWMM. J. Korean Soc. Hazard Mitig., 10(4), pp. 105-11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