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등 온라인 교육에서의 민원에 관한 연구 - 누가 무엇을 왜 묻는가?
Analysis on Inquiries of Secondary-level Online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4, 2020년, pp.369 - 378  

장혜승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  이은주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등교육 단계의 세 개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민원의 차이를 양적·질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세 개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서 2019년 1학기에 발생한 총 12,023건의 민원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결과, 서비스별로 1) 민원 유형, 2) 민원의 제기 시점, 3) 민원인 유형, 4) 민원 처리 방식에 있어 민원 빈도의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A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경우 학생 스스로가 학습 내용과 관련된 민원을 학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학기 중에 집중적으로 제기한 반면, B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경우에는 소속 중·고등학교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관리 교사들이 시스템(학기 초)이나 평가·기록(학기 말) 관련 민원을 주로 제기하였으며, C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서는 건강장애 학생들을 대신하여 학부모들이 학기 초에 주로 학사 운영과 관련한 민원을 많이 제기하였다. 이러한 양적 분석 결과는 실제 A, B, C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민원을 담당하는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질적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 재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등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기획·설계·운영함에 있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inquiries generated in three different online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at the secondary educational level. Data covers 12,023 inquiries record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9 and the compared groups among three programs are divided by four criteria: its type, period, in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육 단계의 온라인 교육에서 그 교육 목적과 대상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둘째, 학기 시점(초-중-말)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민원인별로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넷째, 민원 응대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육 단계의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어떤 민원이 발생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향후 원격수업 확대에 대비한 ‘학습자 지원체제’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서론에서 밝힌 각각의 연구 질문에 따라 집단간 민원수(빈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온라인 교육의 질 담보의 하나의 요소인 민원 서비스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코로나 19 대응으로 추진한 한국의 ‘온라인 개학’은 매우 새로운 시도로 많은 국가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들(UAE, 우즈베키스탄, 요르단 등)은 한국이 어떻게 온라인 교육으로 학교 교육을 대체하고 있는지,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은 교사, 학생 그리고 학부모를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육 단계의 온라인 교육에서 그 교육 목적과 대상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둘째, 학기 시점(초-중-말)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민원인별로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넷째, 민원 응대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육 단계의 온라인 교육에서 그 교육 목적과 대상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둘째, 학기 시점(초-중-말)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민원인별로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넷째, 민원 응대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육 단계의 온라인 교육에서 그 교육 목적과 대상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둘째, 학기 시점(초-중-말)에 따라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민원인별로 민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넷째, 민원 응대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은 온라인 교육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가? 다만 한국은 교육부를 중심으로 원격수업을 추진할 수 있는 수업 운영 계획을 비롯한 지침을 빠르게 마련하여 제공하고, 교육청 단위로 온라인 개학을 위한 기기지원, 수업 매뉴얼 제공, 민원 상담 전화 운영을 실시하여[12], 수업을 진행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 교원들을 비롯하여 가정에서 당장 온라인 수업에 참여해야 하는 학생과 이를 관리해야 하는 학부모를 지원함으로써 온라인 교육의 최소한의 질 담보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온라인 교육으로 코로나 19에 대응하려는 많은 국가는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많은 국가에서 온라인 교육으로 코로나 19로 인한 학교 폐쇄에 대응하고자 하지만, 온라인 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 및 시스템을 갖추고 온라인용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서 교육 기회 보장이라는 1차원적 교육 목적 달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 온라인 교육 서비스 운영에서의 질담보 또는 온라인 학습의 효과성을 언급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의 온라인 개학에 대해 어떻게 온라인 교육으로 학교 교육을 대체하고 있는지,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은 교사, 학생 그리고 학부모를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나라는 어디인가? 코로나 19 대응으로 추진한 한국의 ‘온라인 개학’은 매우 새로운 시도로 많은 국가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들(UAE, 우즈베키스탄, 요르단 등)은 한국이 어떻게 온라인 교육으로 학교 교육을 대체하고 있는지,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은 교사, 학생 그리고 학부모를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ng-ho Choi & Mi-seung Ha(1999). New administration. Seoul: Sammisa. 

  2. Dowd, N.(2012). Technical college instructo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online readiness and of student support services on student success in online courses (Doctoral dissertation), Edgewood College, Madison. 

  3. Eunjoo Lee, Sungmi Kim, Myoungjin Park, & Chanhee Son(2019). Exploring how Open Secondary High School students are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learning data. Educational Research, 41(2), 85-103. 

  4. Eunjoo Lee, Youngsik Jeong(2019). Analysis of the effect of sincere learning attitud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5), 481-489. 

  5.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2020). 2019 Open middle school operating project results report. 

  6.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2020). 2019 Open high school operating project results report. 

  7.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2020). 2019 E-school for student-athletes operation project results report. 

  8.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2020). 2019 School For You project results report. 

  9.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2020). 2019 Online Classes project results report. 

  10. Hyeseung Maria Cahng, Seulki Yang, Do Yeon Hwang, Jinyoung Son, & Minryoung Kang(2019). How to answer to the different types of inquiries( Analysis on the inquiries of the online educational system). ICER 2019. Seoul. South Korea. 

  11. HyunJong Kim, TaiHun Lee, SeungEui Ryu, & NaRang Kim(2018). A Study on Text Mining Methods to Analyze Civil Complaints - Structured Associ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3), 13-24(12 pages). 

  12. NEWSIS(2020, April 12).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Operate '1396 Call Center'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Retrieved fr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412_0000991339. 

  13. Soo-man Lee & Seung-jong Lee(1994). List of local administrative literature. Seoul: Korea Institute of Local Administration. 

  14. Young Ju Joo, Sung Hee Park, Woo Jin Shim, & Ji Yeon Kim(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ropout Scale for the Cause Examination in Corporate E-Learning.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10(2), 79-97. 

  15. Young-pyoung Chun(1995). Symposium on the Strategies towards Service - Oriented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Service Administration and Civil Request Administrators.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2), 2039-2053. 

  16. Yun-hee Lee(2019). Analysis on the reality of education civil affairs administration-focusing on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ngbu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