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국가별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의 체계 비교 및 시사점 연구 - 미국, 호주, 영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ystem and Implications of Health Care Facility Guidelines by Major Countries - Focused on US, Australia, UK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6 no.3, 2020년, pp.27 - 35  

이승지 (환경디자인학과, 인천가톨릭대학교) ,  김미애 (헬스케어환경디자인전공, 인천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 solid system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uidelines can increase social acceptance and utilization. The paper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ystem in which guidelines for health care facilities in the US, Australia, and the UK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Korea. Method: It conduct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축 과정에서의 체계가 명료히 드러나고 과정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수록 작성된 가이드라인이 사회적으로 수용되어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선진 사례로 참고되는 미국, 호주, 영국의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이 구축된 체계에 대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호주의 AusHFG는 임상연구, 서비스 모델, 기술 등의 변화를 반영하여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새로운 기술과 같은 중요한 변화가 있을 때와 AusHFG의 특징 중 하나로서 제공되는 유닛별 평면인 HPU(Health Planning Unit)는 3년마다 재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년 단위로 개정 계획을 수립하여 홈페이지에서 최근 개정된 사항과 현재 개정 중인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이 연구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선진 사례로 참고되는 미국, 호주, 영국의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이 구축된 체계를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관련 연구가 시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가이드라인의 구축 과정에서의 체계를 명료히 함으로써 사회적인 수용 및 활용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 연구는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아닌, 작성되고 운영되는 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다. 조사 대상 사례는 국가의 보건의료체계 유형별로 선행연구에서 사례로서 내용이 참고된 미국, 호주, 영국의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을 선택하였다.
  • 뢰머(Roemer)는 이러한 국가의 보건의료체계를 각국의 경제적 수준과 보건의료체계를 지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라는 주장에 근거하여 세계 각국의 보건의료체계를 자유기업형, 복지국가형, 포괄형, 사회주의형으로 유형화하였다(신영수 외, 2017: 19-21). 이 중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변화속에서 사라진 사회주의형을 제외한 세 가지 유형에서 보건의료시설의 가이드라인이 잘 구축된 미국, 호주, 영국을 각 선택하여, 각 사례 국가의 보건의료체계를 개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공적의료보험의 대표적인 예는? 정부는 이러한 고용기반방식으로 인해 의료서비스에서 소외될 수 있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공적의료보험을 제공한다. 젊은 연령의 실직자 및 빈곤계층을 위한 메디케이드(Medicaid) 프로그램과 65세 이상 은퇴한 노인들을 위한 메디케어(Medicare)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보건의료체계를 국민에게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플랫폼으로서,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위한 공간이 아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촉진하는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은? 각 국가는 보건의료체계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 회복, 유지한다. 그 중 병원 등의 보건의료시설은 보건의료체계를 국민에게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플랫폼으로서,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위한 공간이 아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촉진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치유적인 환경을 갖춘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진다.
특정 시설을 설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서술과 함께 구체적인 디자인에 대한 부가적 정보를 담은 안내서는? 건축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특정 시설을 설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서술과 함께 구체적인 디자인에 대한 부가적 정보를 담은 안내서이다. 특히 보건의료시설은 다양한 기능적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특수한 건축물이므로 가이드라인이 가지는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나태준, 박여울, 남지현, 2014, "폐쇄된 정책공동체의 특성이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2(1), 95-122쪽 

  2. 보건복지부, 2019, 의료기관 건축설계 가이드라인 

  3. 신영수, 김용익 외, 2017, 의료관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4. 신한나, 2018, 미국과 호주의 민간의료보험제도와 운영현황 및 관리정책, HIRA, 12(1). 61-75쪽 

  5. 이승지, 김미애, 2019, "미국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의 체계 특성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5(4), 37-45쪽 

  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2, 주요국의 의료서비스산업 정책연구 

  7. Francis, Susan; Glanville, Rosemary; Noble, Ann; Scher, Peter, 1999, "50 years of Ideas in health care buildings", https://www.nuffieldtrust.org.uk/files/2017-01/50-years-ideas-health-care-buildings-web-final.pdf, 2020.03.05 

  8. Mills, Grant R. W.; Phiri, Michael; Erskine, Jonathan; Price, Andrew D. F., 2015, "Rethinking healthcare building design quality: an evidence-based strategy",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43:4, 499-515. 

  9. FGI 홈페이지, https://fgiguidelines.org/, 2020.06.18 

  10. AusHFG 홈페이지, https://www.healthfacilityguidelines.com.au/, 2020.06.23. 

  11. HBN 홈페이지, https://www.gov.uk/government/collections/health-building-notes-core-elements, 2020.05.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