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A solid system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uidelines can increase social acceptance and utilization. The paper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ystem in which guidelines for health care facilities in the US, Australia, and the UK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Korea. Method: It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of the system in the framework of composition, governance, and procedure for the Facility Guidelines Institute's Guideline for US, Australia's Australasian Health Facility Guidelines for Australia, and Health Building Notes for UK.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composition, the guidelines for health care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composition by space and composition by issue.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space and issues are clearly separated, such as Australia's AusHGF, and complete it step by step. Second, in terms of governance, despite the fact that the medical supply is privately oriented, the medical system i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form a separate organization in the public sector that establishes, researches, and revises the guideline that will serve as a focal point for experts in various fields to participate. Third, in terms of procedure,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guideline that reflects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consumers by clearly organizing procedures including collecting opinion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공적의료보험 | 미국의 공적의료보험의 대표적인 예는? |
젊은 연령의 실직자 및 빈곤계층을 위한 메디케이드(Medicaid) 프로그램과 65세 이상 은퇴한 노인들을 위한 메디케어(Medicare)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이러한 고용기반방식으로 인해 의료서비스에서 소외될 수 있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공적의료보험을 제공한다. 젊은 연령의 실직자 및 빈곤계층을 위한 메디케이드(Medicaid) 프로그램과 65세 이상 은퇴한 노인들을 위한 메디케어(Medicare)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
플랫폼 | 보건의료체계를 국민에게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플랫폼으로서,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위한 공간이 아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촉진하는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은? |
병원 등의 보건의료시설
각 국가는 보건의료체계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 회복, 유지한다. 그 중 병원 등의 보건의료시설은 보건의료체계를 국민에게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플랫폼으로서,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위한 공간이 아닌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촉진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치유적인 환경을 갖춘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진다. |
안내서 | 특정 시설을 설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서술과 함께 구체적인 디자인에 대한 부가적 정보를 담은 안내서는? |
건축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
건축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특정 시설을 설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서술과 함께 구체적인 디자인에 대한 부가적 정보를 담은 안내서이다. 특히 보건의료시설은 다양한 기능적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특수한 건축물이므로 가이드라인이 가지는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