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보건의료데이터 보호 및 활용을 위한 주요 법적 쟁점 -미국 HIPAA/HITECH, 21세기 치료법, 공통규칙, 민간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Legal Issues in Protecting and Utilitizing Medical Data in United States - Focused on HIPAA/HITECH, 21st Century Cures Act, Common Law, Guidance - 원문보기

의료법학, v.22 no.4, 2021년, pp.117 - 157  

김재선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보건의료데이터 관련 주요 법령으로 HIPAA/HITECH, 21세기 치료법, 공통규칙, 주법 등을 검토, 데이터의 보호 및 활용 관점에서 관련 법령의 발전과정, 구체적 쟁점에 관한 입법방침을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미국의 경우 개인의료정보에 관한 단일법제를 통하여 보호와 활용 기준을 비교적 명확하게 규율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96년 의료정보보호에 관한 기본법으로 HIPAA를 도입, 의료정보를 개인식별정보, 비식별정보, 한정데이터세트로 구분하여 PHI의 경우 목적에 따른 활용범위를 규정하였으며, 의료정보의 비식별조치 방식 규정, 한정데이터세트의 삭제정보 대상, 데이터 재식별 금지합의서 등에 관하여 규정하였다. 한편, 연구목적 의약품 및 의료기기 혁신 촉진을 위하여 제정된 21세기 치료법에서는 정보의 공유와 정보접근성 강화를 위하여 데이터 공유를 위한 상호호환성, 데이터 차단 금지, 정보주체의 접근성 강화를 규정하였으며, 공통규칙에서는 포괄적 동의제도를 도입, 절차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을 기초로 하되, 보건의료데이터를 규율하는 일관된 법제를 제정한다면 규제체계와 내용을 보다 명확히 하여 정보소유자와 이용자에게 정보이용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미국의 경우 의료정보의 활용 측면에서 규제체계를 비교적 간소화하고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식별가능 의료정보의 익명조치 방안으로 전문가 합의 방식과 세이프 하버 방식을 규정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세이프하버 방식의 경우 18가지 식별자를 제거하면 비식별조치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비식별조치 방식과 절차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는 점, 전문가 합의 방식도 전문가 판단기준, 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어 판단절차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보건의료데이터의 경우 치료목적, 연구목적 등으로 활용될 경우 그 가치가 증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보다 간소하고 명확한 기준을 제안함으로써 정보보호와 활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미국의 경우 정보주체의 권리보호 방안을 구체화하되, 설명의무를 상세히 규정하되 식별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권한(옵트아웃 절차)를 명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HHS 규칙과 FDA 규정에서 인간대상 연구에 대하여는 포괄적 동의제도를 인정하되 공통규칙을 통하여 동의절차, 방법,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정보주체에 대한 고지의무, 옵트아웃 제도, 삭제요구권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동의절차에서 동의 대상자가 쉽고 명확하게(8th grade reading level 기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최신성·편의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주법(뉴욕, 캘리포니아 주 등)은 데이터 보호 및 활용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면서 정보접근권, 삭제요구권, 옵트아웃 제도, 정보처리 동의의 투명성 강화조치 마련 등을 규정하여 데이터 활용에 있어서 정보주체의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정보주체의 권리 보호는 정보의 가치보존과 활용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요건이 될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입법에서도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미국의 경우 보건의료데이터 법제 전반에서 신뢰기반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중요한 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reviewed the HIPAA/HITECH, 21st Century Cures Act, Common Law, and private Guidances from the perspectives in protecting and utilitizing the medical data, while implications were followed. First, the standards for protection and utilization are relatively clearly regulated through sing...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곽명섭,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논의과정에 대한 고찰", 「법과 정책연구」 제7집 1호, 2007. 

  2. 김나경,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인권과 정의」 제392권, 2009. 

  3. 김재선,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행정법연구」 제44권, 2016. 

  4. 김재선, "미국의 의료정보보호법제에 관한 공법적 고찰-미국의 최근 행정법제 적용사례 논의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9. 

  5. 박도휘.강민영, 데이터 3법 통과: 의료 데이터, 개방을 넘어 활용으로, Issue Monitor, 제124호, 삼정 KPMG 경제연구원, 2020. 

  6. 선종수, "의료법상 의료행위의 개념과 그 판단기준-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의생명과학과 법」 제17권, 2017. 

  7. 안동인, "醫療公法(Medical Public Law)의 基礎로서의 (齒科)醫療行爲-의료행위의 개념 및 범주에 대한 공법적 고찰-", 「행정판례연구」 제23권 1호, 2018. 

  8. 윤혜선, "정밀의료의 출현에 대한 규제의 시선-미국의 '정밀의료 발전계획'을 단초로-", 「법학논총」 제35권 4호, 2018. 

  9. 이원복,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 「법조」 제67권, 2018. 

  10. 이원복, "유전체 연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가명처리 제도", 「법학논집」 제25권 1호, 2020. 

  11. 이인영, "의료행위의 현대적 의의와 과제", 「법과 정책연구」 제7집 1호, 2007. 

  12. 최계영, "의료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유럽연합과 미국의 법제를 중심으로-", 「경제규제와 법」 제9권 2호, 2016. 

  13. 홍석원 등, 의료정보정책 관련 실태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8. 

  14.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시범사업 추진계획(안), 보건복지부 정책 토론자료 (2017. 12). 

  15. Brittaney N. Edwards, The 21st Century Cures Act: A Patient's Miracle or Demise?, 40 Journal of National Association of Administrative Law Judiciary 79 (2021). 

  16. Carleen M. Zubrzycki, Privacy from Doctors, 39 Yale Law and Policy Review, 526 (2021). 

  17. Craig Konnoth & Gabriel Scheffler, Can Electronic Health Records Be Saved?, 46 American Journal of Law and Medicine 7, 7 (2020). 

  18. David A. Hoffman, Increasing Access to Care: Telehealth During Covid-19, 7 Journal of Law and Biosciences 1 (2020). 

  19. Elizabeth A. Rowe, Sharing Data, 104 Iowa Law Review 287 (2018). 

  20. Louis Enriquez-Sarano, Data-Rich and Knowledge-Poor: How Privacy Law Privatized Medical Data and What to Do About It, 120 Columbia Law Review 2319 (2020). 

  21. Robert Anderson, Esq. & Stephanie Eckerle, Esq., Taking Health It to the Next Level-Interoperability and Information Blocking, Health Law (2021). 

  22. Robert Dieterie, Consent Model for the Exchange of SDOH Information, Gravity Project,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T, 2021. 

  23. Robert O'Harrow Jr. The Machinery Behind Health-Care Reform, Washington Post, May 16, 2009. 

  24. Sharona Hoffman,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Medical Big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5.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21st Century Cures Act: Interoperability, Information Blocking, and the ONC Health IT Certification Program Proposed Rule, 202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