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미 분석법에 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
Physics Image Analysis by Sematic Method and Interest in Physics of Freshman Students in the Engineering College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2, 2020년, pp.214 - 224  

송영욱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은 물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공과대학 신입생은 고등학교 때에 다양한 학습 환경 조건에서 대학에 입학한다. 대학 물리교육을 위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특성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와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공과 계열 286명, 정보기술 계열 242명, 건설환경 계열 136명 총 664명이다. 분석 내용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이미지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때 물리를 배우지 않은 학생의 물리 이미지 점수가 물리I 또는 물리I,II를 배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물리 관심 여부는 성별과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고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서는 고등학교 때 물리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물리를 이수한 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다. 끝으로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s image and interest are factors that influence physics learning. Freshmen enter an engineering college under various learning conditions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Understanding physics image and interes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reshmen will help college physics education. The 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고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서는 고등학교 때 물리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물리를 이수한 학생보다 물리 관심이 높았다. 끝으로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관심 여부 및 이유를 성별과 고등학교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조사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학습을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 대학 물리교육을 위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특성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와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공과 계열 286명, 정보기술 계열 242명, 건설환경 계열 136명 총 664명이다.
  •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 조건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알아보는 연구는 학습자의 이해 및 교수 전략 등 대학 물리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학 수업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다음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얻은 결론과 물리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이다.
  •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하였다. 앞으로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 환경 조건 중 대학수학능력평가에서 물리 선택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공계열 대학생이 물리가 부족하다면 생기는 일은 무엇이 있나? 그러나 최근 이공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대학 물리에 대한 학업 성취도는 낮은 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Song, 2018). 이공계열 진학생들의 대학 물리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지는 현상은 대학 물리교육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며, 이는 향후 개별 전공과목에 대한 이해도 향상에도 큰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Cho & Kim, 2017).
물리 과목이 학생들에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물리 과목은 학생들에게 자연 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원리를 습득하거나 과학적 사고력을 증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2012). 특히 이공계열 대학에 진학한 학생에게 대학 물리는 전공에 대한 전문성 신장에 앞서 기본이 되는 과목으로 기초를 충실히 다져야 할 과목이다.
물리 학습에서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무엇인가? 물리 학습에 있어서 학생의 학습 이전에 가지고 있는 개념과 같은 인지적 요인, 물리 학습과 관련하여 처해 있는 여건과 같은 사회문화적인 요인, 그리고 관심과 동기와 같은 정의적 요인 등은 모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Lee & Im, 2013). 하지만 대학 물리교육에 대한 이전 연구는 대부분 학습자의 행동 및 인지적 참여에 중점을 두고 관심과 흥미 같은 정의적 영역에 중점을 두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amuti-Trache, M., Bluman, G., & Tiedje, T. (2013). Student success in first-year university physics and mathematics courses: Does the high-school attended make a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7), 2905-2927. 

  2. Cho, S., & Kim, W.-J. (2017). Study on reg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subject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New Physics: Sae Mulli, 67(9), 1109-1114. 

  3. Christian, W., Belloni, M., Esquembre, F., Mason, B. A., Barbato, L., & Riggsbee, M. (2015) The physlet approach to simulation design. The Physics Teacher, 53(7), 419-422. 

  4. Harlow, J. J. B., Harrison, D. M., & Meyertholen, A. (2014). Correlating student interest and high school preparation with learning and performance in an introductory university physics course.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 10, 010112. 

  5. Hazari, Z., Cass, C., & Beattie, C. (2015). Obscuring power structures in the physics classroom: Linking teacher positioning, student engagement, and physics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2(6), 735-762. 

  6. Hong, M., Kim, J.-A., & Park, H.-J. (2011).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6), 836-847. 

  7. Huang, Y., & Li, J. (2015). Comparing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of imagination between expert and novice designers within different product design st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5(2), 261-292. 

  8. Kang, K. (2018). Analysis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hysics images by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New Physics: Sae Mulli, 68(10), 1140-1146. 

  9. Kryjevskaia, M., Boudreaux, A., & Heins, D. (2014). Assessing the flexibility of research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Implementing Tutorials in Introductory Physics in the lecture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Physics, 82(3), 238-250. 

  10. Kurt, H. (2013). Determining biology teacher candidates' conceptual structures about energy and attitudes towards energy.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2(4), 399-423. 

  11. Lee, L. (2012). Analysis of physics course-taking pattern in high schools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a. New Physics: Sae Mulli, 62(10), 1043-1052. 

  12. Lee, Y., & Im, S. (2013).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bout physics learning. New Physics: Sae Mulli, 63(4), 423-431. 

  13. Lindstrom, C., & Sharma, M. (2011) Selfefficacy of first year university physics students: Do gender and prior formal instruction in physics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9(2), 1-19. 

  14. Margoniner, V., Burki, J., & Kapp, M. (2019). Monkeying around in mechanics: Using student-student dialogue videos to increase physics learning. The Physics Teacher, 57(4), 232-235. 

  15. Mason, A. J., & Singh, C. (2016). Impact of guided reflection with peers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physics learning. The Physics Teacher, 54(5), 295-299. 

  16. Mattson, R. E., Rogge, R. D., Johnson, M. D., Davidson, E. K. B., & Fincham, F. D. (2013). The positive and negative semantic dimension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Personal Relationships, 20(2), 328-355. 

  17. Murakami, T., & Kroonenberg, P. M. (2003). Three-mode model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emantic differential data.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8(2), 247-283. 

  18. Norbergh, K., Helin, Y., Dahl, A., Hellzen, O., & Asplund, K. (2006). Nurses'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dementia: The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Nursing Ethics, 13(3), 264-274. 

  19. Sawtelle, V., Brewe, E., & Kramer, L. H. (2012).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tention in introductory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9), 1096-1121. 

  20. Schlag, P. A., Yoder, D. G., & Sheng, Z. (2015). Words matter: A semantic differential study of recreation, leisure, play, activity, and sport. A Journal of Leisure Studies and Recreation Education, 1, 25-38. 

  21. Song, Y. (2018). The effect of peer-leader collaboration problem-solving(PLCPS) for helping physics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introductory physics class. New Physics: Sae Mulli, 68(9), 994-1004. 

  22. Song, Y., & Choi, H. (2015). Strategy and application of phased context teachinglearning for helping physics learn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3), 333-342. 

  23. Song, Y., & Choi, H.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for physics image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6), 1051-10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