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성강 유역에 위치한 호수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군집 비교 분석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Lakes in the Boseong River Basin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1, 2020년, pp.11 - 21  

조현진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나정은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학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성강 유역에 위치한 호수들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차이를 비교하고 이러한 군집 구조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2014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분기별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보성호는 다른 호수들에 비해 식물플랑크톤의 다양성이 풍부하고 밀도 역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어 시공간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3월 조사에서 확인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다른 조사시기와 우점종을 포함한 규조류와 녹조류의 군집에서 구분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Indicator species analysis를 통해 확인된 각 그룹 간 지표종을 확인한 결과, 계절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천이와 영양 농도에 따른 다양성 및 밀도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산출되어 호수들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시공간적으로 구분되었음을 나타냈다.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을 통해 보성강 유역 내 호수들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있어 Secchi depth, 수온, 전기전도도, DO 등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영양염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요인과 함께 식물플랑크톤 군집 차이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patio-temporal difference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mong 4 lakes in the Boseong River basin.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quarterly from 2014 to 2017 for this study. A total of 345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including 107 Bacillariophyceae, 175 Ch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 아직까지 보성강 유역 내 호수들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비교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성강에 위치한 호수들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시공간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하고 이러한 군집을 형성하는 데 관계가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성강 유역에 위치한 호수들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차이를 비교하고 이러한 군집 구조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2014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분기별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보성호는 다른 호수들에 비해 식물플랑크톤의 다양성이 풍부하고 밀도 역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어 시공간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생태계가 다른 생태계와 구별되는 특성은? 하천생태계는 다른 생태계와는 다르게 상류에서 하류로 일방적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매우 복잡한 구조를 나타낸다(Horne and Goldman, 1994; Allan, 1995). 하천의 연속성 개념(River continuum concept)은 이러한 하천생태계에 존재하는 물이라는 매개체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화와 서식처의 특성에 맞춰서 나타나는 다양한 수생생물의 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개념이다(Vannote et al.
하천의 연속성 개념은 무엇인가? 하천생태계는 다른 생태계와는 다르게 상류에서 하류로 일방적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매우 복잡한 구조를 나타낸다(Horne and Goldman, 1994; Allan, 1995). 하천의 연속성 개념(River continuum concept)은 이러한 하천생태계에 존재하는 물이라는 매개체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화와 서식처의 특성에 맞춰서 나타나는 다양한 수생생물의 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개념이다(Vannote et al., 1980; Allan, 1995).
주암호와 상사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연구에서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은? 이로 인해 상사호로 유입 되는 호소수는 표층수와 최소 5 m 이상의 수심차이가 나는 곳에서 상대적으로 저층수가 이동하며, 특히 수위변동이 심하고,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이가 높게 나타나는 여름철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호소수가 상사호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여름철의 상사호는 규조류의 우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두 호수 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유사성이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직접적 유입으로 인해 이루어진 것인지 주암호에서 유입되는 수질에 의해 상사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변화된 것인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lan, J.D. 1995. Stream ecology -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and Hall, London. 388pp. 

  2. APHA. 1999.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1st eds. Wasington, D.C. 

  3. Bolgovics, A., G. Varbiro, E. Acs, Z. Trabert, K.T. Kiss, V. Pozderka, J. Gorgenyi, P. Boda, B.A. Lukacs, Z. Nagy-Laszlo, A. Abonyi and G. Borics. 2017. Phytoplankton of rhithral rivers: Its origin, diversity and possible use for quality-assessment. Ecological Indicators 81: 587-596. 

  4. Carmack, E.C., C.B.J. Gray, C.H. Pharo and R.J. Daley. 1979. Importance of lake-river interaction on seasonal patterns in the general circulation of Kamloops Lake, British Columbia. Limnology and Oceanography 24(4): 634-644. 

  5. Cho, H.J., M.H. Jeong, J.E. Na and H.Y. Lee. 2017.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lakes in Jeonnam using SOM.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0(1): 148-156. 

  6. Choi, M.K., B.H. Kim, Y.T. Chung and I.S. Wui. 1994. Occurrenc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Lake Chu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7(1): 79-91. 

  7. Du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3): 345-366. 

  8. Hirose, H.M., T. Akiyama, K. Imahori, H. Kasaki, S. Kumana, H. Kobayasi, E. Takahashi, T. Tsumura, M. Hirano and T. Yamagishi. 1977. Illustration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ho Publishing Co. Ltd., Tokyo. 932pp. 

  9.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576pp. 

  10. Hutchinson G.E. 1967. A Treaties on Limnology. Vol. 2. John Willey & Sons, Inc. New York. 1115pp. 

  11. Jung, M.H., J.H. Park, S.D. Kim, D.H. Kim, N.I. Chang and H.Y. Lee. 2008. Seasonality of phytoplankton in Dongbok Lake,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4):367-376. 

  12. Kim, Y.J., B.H. Kim, H.S. Kim, H.Y. Lee and S.J. Hwang. 2009. Biology of freshwater. Junghaengsa, Seoul. 260pp. 

  13. Kohonen, T. 2001. Self-organizing Maps. Springer, Berlin. 

  14.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2005. Cyanoprokaryota. 2. Teil: Oscillatoriales: Su $\ss$ wasserflora on Mitteleuropa, Bd 19/2. p. 1-759. (Ettl, H.,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5.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86. Bacillariophyceae 1. Teil: Naviculaceae. In: Su $\ss$ wasserflora on Mitteleuropa 2(l) (Ettl, H., J. Gerloff, H. Heyin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and New York. 876pp. 

  16.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88. Bacillariophyceae 2. Teil: Bacillariace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 In:Susswasserflora on Mitteleuropa 2(2) (Ettl, H., J. Gerloff, H. Heyin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and New York. 596pp. 

  17.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a. Bacillariophyceae 3. Teil: Centrales, Fragilariaceae, Eunotiaceae. In:Susswasserflora on Mitteleuropa 2(3) (Ettl, H., J. Gerloff, H. Heyin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and New York. 576pp. 

  18.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b. Bacillariophyceae 4. Teil: Achnanthaceae Kritische Eraganzungen zu Navicula ((Lineolutae) und Gomphonema. In: Susswasserflora on Mitteleuropa 2(4) (Ettl, H., J. Gerloff, H. Heying and D. Mollenhauer, eds.).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and New York. 437pp. 

  19. Kwon, Y.S., M.J. Bae, J.S. Kim, Y.J. Kim, B.H. Kim and Y.S. Park. 2014. Characterizing changes of water quality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elected Korean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3): 146-159. 

  20. Lee, K.H., S.K. Baik and B.H. Kim. 2005.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8(2): 249-260. 

  21. Lee, O.M. and H.Y. Song. 1995. The annual dynamics of standing crops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Juam lake in 1993.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8(4): 427-436. 

  22.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25. MjM Software. Gleneden Beach. 

  23. McCune, B., J.B. Grace and D.L. Urban.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Vol. 28).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24. McGregor, G.G. 2007. Freshwater cyanoprokaryota of North-Eastern Australia I: Oscillatoriales. Flora of Australia Supplementary series no. 24. ABRS. Canberra. 

  25. McNeil, J.R. and P. Engelke. 2016. The great acceleratio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Anthropocene since 1945. The Belknap Press. Messachusetts. 275pp. 

  2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investigation for guideline of lake environment. 299pp. 

  27.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 Final Report: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alga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operation of algae expert forum. 152pp. 

  28. Nam, H.K., Y.J. Song, S.I. Kwon, J.W. Eo, S.S. Yoon, B.K. Kwon and M.H. Kim. 2018. Characteristics of Ground-dwelling Invertebrate Communities at Nari Basin and Tonggumi Area in Ulleungdo 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6(1): 21-32. 

  2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NIER/YRERC). 2010. Yeongsanriver Newsletter Vol. 6. 20pp. 

  30. Park, Y.S., R. Cereghino, A. Compin and S. Lek. 2003. Application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patterning and predicting aquatic insect species richness in running water. Ecological Modelling 160: 165-280. 

  31. Parmer, C.M. 1977. Algae and water pollution. Municipal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io. 124pp. 

  32. Reynolds, C.S. and J.P. Descy. 1996. The production, biomass and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large rivers. Archiv fur Hydrobiologie 10: 161-187. 

  33. Reynolds C.S., V. Huszar, C. Kruk, L. Naselli-Flores and S. Melo. 2002. Towards a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the freshwater phytoplankto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4: 417-428. 

  34.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iv fur Hydrobiologie 106: 473-485. 

  35. Song, H.J., K.S. Hwang, J.H. Park, H.Y. Lee, H.W. Kim, J.S. Kim, S.H. Lee, D.O. Lim and B.J. Lim. 2013. Water quality variation and biotic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Juam Lake (201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1): 37-44. 

  36. Thurman, H.V. 2004. Introductory oceanography, 10th ed.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624pp. 

  37. Vannote, R.L., G.W. Minshall, K.W. Cummins, J.R. Sedell and C.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mn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7: 130-137. 

  38. Vensato, J. and R. Alhoniemi. 2000. Clustering of the self-organizing map.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 11:586-600. 

  39. Wehr, J.D. and R.G. Sheath. 2003. Freshwater algae of North America: Ecology and Classification. Academic Press, Amsterdam. 

  40. Werner, D. 1977. The Biology of Diato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498pp. 

  41. Wetzel, R.G. 1999.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 Academic Press, Sandiego. U.S.A. 1006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