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부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일대 둠벙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군집 특성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Irrigation Ponds in the Western CCZ area,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2, 2020년, pp.173 - 184  

정현용 (DMZ생태연구소) ,  염철민 (DMZ생태연구소) ,  김재현 (DMZ생태연구소) ,  박신영 (DMZ생태연구소) ,  이예원 (DMZ생태연구소) ,  표진아 (DMZ생태연구소) ,  김승호 (DMZ생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부 민간인통제선 일대 둠벙에 서식하는 저서 성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규명하여 향후 보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3문 5강 17목 59과 192종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다. 다른 지역의 둠벙(61~131종), 다른 유형의 정수성 습지(47~92종), 그리고 우포늪 등의 보호습지(48~135종)와 비교할 때, 서부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일대 둠벙에서 더 다양한 분류군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물방개, 물장군, 대모잠자리를 포함 28종의 특이종이 확인되었으며, 98곳의 조사지에 특이종이 하나 이상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 분석에서 이동성이 높은 무리의 우점이 나타난 점, 개별 조사지의 다양도와 특이종의 출현 빈도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 점을 함께 고려할 때, 서부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일대 둠벙의 높은 종 다양성은 둠벙과 인근 수생태계의 연결성을 통해 유지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서부 민통선 일대 둠벙의 생물 다양성 보전계획을 수립할 때 특별히 종 다양성이 높은 몇 개 둠벙만을 점적으로 보전하는 접근은 부적절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둠벙을 포함한 수서생물의 이동성 서식지 전반의 연결성을 고려한 접근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rrigation ponds, 'dumbeong', which are artificially constructed water resources for traditional farming, serve as a biological shelter connecting seasonally created rice paddy fields to local freshwater ecosystems. This 2018 study surveyed 143 irrigation ponds in the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1), 전체 논의 89%가 전통농법인 둠벙에 의존해 농사를 짓는 서부 민간인 통제선 일대의 수생태계에서 서식처로서의 둠벙의 역할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Paju-si Gunnaemyeon local office, 2011). 이에 본 연구는 서부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 둠벙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규명하는 한편 특이종의 분포를 밝히고, 그에 기반해 보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둠벙이란 무엇인가? , 2011). 둠벙이란 관개를 위해 지하수를 가두어 만든 인공습지로, 1970년대 이후 다목적농촌용수 개발사업, 배수 개선사업 등으로 관개수단이 개선되면서 둠벙은 한반도 전 지역에서 쇠퇴하였다. 하지만 둠벙과 같은 소택형습지가 농업 경관의 생물다양성 증진 및 보전에 기여한다는 해외의 연구 결과와 함께(Saito et al.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군이 자연에서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둠벙에서 가장 널리 연구된 분류군은 절지동물문(Arthropoda), 환형동물문(Annelida), 연체동물문(Mollusca) 등으로 구성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군으로, 이들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식물의 사체나 유기잔사물을 동물성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한편 어류나 양서류에게 이용됨으로써 담수생태계의 영양단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서식지를 선택하는 등으로 서식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구조는 수생태계의 특성을 대표하는 생물집단으로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Ward, 1992).
본 논문에서 수행한, 서부 민간인통제선 일대 둠벙에 서식하는 저서 성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군집 구조의 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부 민간인통제선 일대 둠벙에 서식하는 저서 성대형무척추동물 종 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규명하여 향후 보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3문 5강 17목 59과 192종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다. 다른 지역의 둠벙(61~131종), 다른 유형의 정수성 습지(47~92종), 그리고 우포늪 등의 보호습지(48~135종)와 비교할 때, 서부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일대 둠벙에서 더 다양한 분류군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물방개, 물장군, 대모잠자리를 포함 28종의 특이종이 확인되었으며, 98곳의 조사지에 특이종이 하나 이상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 분석에서 이동성이 높은 무리의 우점이 나타난 점, 개별 조사지의 다양도와 특이종의 출현 빈도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 점을 함께 고려할 때, 서부 민간인출입통제구역 일대 둠벙의 높은 종 다양성은 둠벙과 인근 수생태계의 연결성을 통해 유지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ae, Y.J., S.I. Cho, D.H. Hwang, H.G. Lee and G.B. Na. 2004. Bio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 invertebrates from Upo wetlan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8(1): 75-91. 

  2. Cho, Y.H., Y.G. Han, S.J. Park, Y.J. Park, Y.J. Kim, M.J. Choi and S.H. Nam. 2011. A survey on insect diversity of Mulyeongari- oreum wetland, in Jeju island,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4): 526-539. 

  3. Choe, L.J., M.S. Han, M. Kim, K.J. Cho, K.K. Kang, Y.E. Na and M.H. Kim. 2013.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irrigation ponds, within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4): 304-314. 

  4. Chun, D.J. and T.H. Ro. 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n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2): 137-148. 

  5. Collins, W.W. and C.O. Qualset. 1999. Biodiversity in agroecosystems. CRC Press, Boca Raton. 362pp.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999.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urvey report on Argyroneta aquatica habitat in Yeoncheon-gun, Gyeonggi-do.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7. A research report on the conservation plan of Argyroneta aquatica habitat in Eundae-ri, Yeoncheon. 

  8. Desjonqueres, C., F. Rybak, J.S. Ulloa, A. Kempf, A. Bar-Hen and J. Sueur. 2020. Monitoring the acoustic activity of an aquatic insect population in relation to temperature, vegetation and noise. Freshwater Biology 65(1): 107-116. 

  9. Han, M.S., H.S. Bang, M.H. Kim, M.K. Kim, K.A. Roh, J.T. Lee and Y.E. Na. 2007. The fauna of aquatic invertebrates in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6(3): 267-273. 

  10. Han, M.S., M.H. Kim, H.S. Bang, Y.E. Na, D.B. Lee and K.K. Kang. 2011.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Korean paddy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0(2): 209-215. 

  11. Hanga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16. Wetland conservation plan on Ganghwa Maehwamareum habitat. 

  12. Jeong, S.B., D.S. Kim, H.S. Jeon, K.S. Yang and W.T. Kim. 2010. Species richness of aquatic insects in wetland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in Jeju, Korea: Test of Rapoport’s rule.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9(3): 175-185. 

  13. Jung, K.S. 2011. Odonata larvae of Korean. Ecology and Nature. 400pp. 

  14. Jung, K.S. 2012. The dragonflies and damselflies of Korea. Ecology and Nature. 272pp. 

  15. Jung, S.W., Y.H. Kim, H.M. Kim and S.H. Kim. 2018. Biodiversity and characteristic communities structure of freshwater ecosystems in the western area of DMZ,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6): 603-617. 

  16. Katano, O., K. Hosoya, K. Iguchi and M. Yamaguchi. 2003.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freshwater fishes in irrigation ditches around rice field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66(2): 107-121. 

  17. Kim, J.H., H.Y. Chung, S.H. Kim and J.G. Kim. 2016. The influence of water characteristics on the aquatic insect and plant assemblage in small irrigation ponds in Civilian Control Zone,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4): 331-341. 

  18. Kim, J.O., H.S. Shin, J.H. Yoo, S.H. Lee, K.S. Jang and B.C. Kim. 2011. Functional evaluation of small-scale pond at paddy field as a shelter for mudfish during midsummer drainage perio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0(1): 37-42. 

  19. Kim, M.H., M.S. Han, H.K. Nam, K.K. Kang and M. Kim. 2012. Geological distribution of aquatic invertebrates living in paddy fields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6): 1136-1142. 

  20. Kim, S.H., J.H. Kim and J.G. Kim. 2011.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2): 275-289. 

  21. Kim, S.W. 2006. Land-cover change detection of western DMZ and vicinity using spectral mixture analysis of landsat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1): 158-167. 

  22. Kwon, S.J., Y.C. Chun and J.H. Park. 2013. Benthic macroinvertebrates. Ecology and Nature. 792pp. 

  23. Lee, D.H. and K.J. Ahn. 2018. Insect fauna of Korea. vol.12, no.22, aquatic Coleoptera I (Arthropoda: Insecta: Coleoptera: Dytisc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67pp. 

  24. Lee, D.H., J.W. Hwang, S.H. Sung, C.S. Yoon and S.W. Cheong. 2009. A characteristic on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hinbulsan wet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8(5): 561-567. 

  25. Lee, H.G., S.W. Jung and J.K. Choi. 2012. Spati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in lake Hoengseong reg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46-56. 

  26. Lee, J.E. and J.S. Kim. 2001.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of Gudam swamp (Andong, Gyeongsangbuk- do).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3(1): 19-28. 

  27. Maltchik, L., A.S. Rolon, C. Stenert, I.F. Machado and O. Rocha. 2011. Can rice field channels contribute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Southern Brazilian wetlands? Revista de Biologia Tropical 59(4): 1895-1914. 

  28. Mazerolle, M.C. 2004. Drainage ditches facilitate frog movements in a hostile landscape. Landscape Ecology 20(5): 579-590. 

  29.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 Comprehensive biodiversity report of the Demilitarized Zone in Korea. 

  30. Ministry of Environment. 1997. (1st year) A report of survey results on the Mujechi-neup, Jeongjok-san mountain: Aquatic invertebrates, amphibia, reptilia and protozoa inhabiting the Mujechi-neup. 

  31. Ministry of Environment. 1998. (2nd year) A report of survey results on the Mujechi-neup, Jeongjok-san mountain: Insect fauna and conservation plan of Mujechi-neup. 

  3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8. The intensive field survey on wetland protection area: Muryeongari-oreum.Hwaeum-neup 

  33. National Wetlands Center. 2012. The intensive field survey on wetland protection area: Nakdong-gang estuary, Daeamsan Yong-neup, Dongbaek-dongsan, Mujechi-neup. 

  34. Paju-si Gunnae-myeon local office. 2011. A pumping station for water supply situation. 

  3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vertebrates in rice paddy field. 420pp. 

  36. Saitoh, K., O. Katano and A. Koizumi. 1988. Movement and spawning of several freshwater fishes in temporary waters around paddy field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38: 35-47. 

  37. Son, J.K., N.C. Kim, M.H. Kim and B. Kang. 2012.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growth environment at rural palustrine wetlan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5): 129-144. 

  38. Son, J.K., N.C. Kim, M.H. Kim and B.H. Kang. 2012.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growth environment at rural palustrine wet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15(5): 129-144. 

  39. Stenert, C., I.C. de Mello, M.M. Pires, D.S. Knauth, N. Katayama and L. Maltchik. 2018. Responses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to pesticide application in irrigated rice field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90(2): 74. 

  40. Suzuki, M., M. Mizutani and A. Goto. 2004. Effects of connection of paddy fields, ditch and stream through small-scale fishways on fish fauna. Irrigation, Drainage and Rural Engineering Journal 72(6): 641-651. 

  41.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Biology and habitat. John Wiley & Sons Inc. 456pp. 

  42. Wilson, A.L., D.S. Ryder, R.J. Watts and M.M. Stevens. 2005. Stable isotope analysis of aquatic invertebrate communities in irrigated rice fields cultivated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Aquatic Ecology 39(2): 189-200. 

  43. Won, D.H., S.J. Kown and Y.C. Jun.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415pp. 

  44.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16. 2nd year (2017-2021), Conservation plan of Yong-neup wetland protection area, Daeam-san mountain: Final report. 

  45. Yeongs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15. A study on the wetlands protection area - Reservation plan on Mulyeongari- oreum wetland, Jeju. 

  46. Yoon, I.B. 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0 Aquatic Insects.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840pp. 

  47. Yoon, I.B. 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262pp. 

  48. Yoon, S.S., G.W. Kim, H. Choi, C.H. Byun and D.W. Lee. 2019. Trait-based evaluation of plant assemblages in traditional farm ponds in Korea: Ecological and management implications. Journal of Limnology 78(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