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연구: 대전한밭도서관을 중심으로
Big Data Analysis for Public Libraries Utilizing Big Data Platform: A Case Study of Daejeon Hanbat Library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3, 2020년, pp.25 - 50  

온정미 (대전한밭도서관 자료정책과) ,  박성희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6년 1월 1일부터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이 서비스되기 시작하여 도서관 빅데이터가 공공도서관 업무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사례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들에서 활용한 빅데이터와 활용유형분석 및 도출된 서비스/시행정책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통합도서관리시스템(ILUS)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각각의 자료분석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점과 이점을 살펴본다. 사례분석 결과,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장서, 수서, 기타의 유형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서비스/시행정책은 이용자 맞춤형 테마서가 및 독서진흥프로그램 진행, 장서활용도 증대, 특화주제에 기반한 수서 및 대출현황 데이터 공개로 요약되었다. 비교분석결과, ILUS는 자관의 자료실현황분석에 특화되어 있으며, 빅데이터 플랫폼은 다양한 속성(연령, 성별, 지역, 대출시기 등)에 따른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시간단축과 유연한 분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비교분석에서 밝혀진 특징 및 한계점을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big data platform services for the public library began January 1, 2016, libraries have used big data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use cases of library big data and attempts to draw improvement pla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ibrary big data. For this...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례는 공공도서관 협력 워크숍(2017.3.23.)에서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활용 체계 구축사업 참여 안내’라는 주제로 발표한 자료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또한 도서관 빅데이터 활용사례 경진대회,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 세미나, 도서관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을 개최하여 도서관 빅데이터 활용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일선 공공도서관 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6년 1월 1일부터 서비스하기 시작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도서관의 빅데이터 활용 유형분석 및 시행정책을 살펴보았고 현재 통합도서관리시스템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 분석 과정 및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의 사례 및 비교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장은 현재 한밭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합도서관리시스템(ILUS)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제공 데이터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시스템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된 목적은 첫째, 합리적인 장서개발 및 수서정책 수립이다. 유형별, 주제별 도서대출현황에 근거한 장서구성 및 개발지침 방향성을 확립하고, 대출빈도가 높은 장서목록을 파악하여 수서할 때 적용하고, 베스트셀러 등 인기대출도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자 하는데 있다. 둘째, 장서이용률 향상을 위한 서비스 개발이다.
  • 이를 통해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 데이터분석의 특징과 한계점을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이용자 정보서비스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논문은 2016년 1월 1일부터 서비스하기 시작한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사례 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빅데이터의 활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2016년 1월 1일부터 서비스하기 시작한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도서관들을 중심으로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 데이터와 분석내용, 기능구현 등을 통해 도출된 서비스나 시행정책에 대해 고찰한다.
  • 둘째, 장서이용률 향상을 위한 서비스 개발이다. 한번도 대출되지 않았던 미대출 장서 수와 미대출 장서 비율을 주제 분야별로 파악하여 미대출 장서의 활용을 위한 독서 이벤트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이용자의 연령대별, 성별, 도서대출 패턴 등에 대한 이용행태를 분석 활용하여 도서관 주요핵심 이용자를 비롯한 잠재 이용자의 특성 파악이 가능하며 월별, 연령별, 주제별 최다 대출목록을 게시하여 홍보가 가능하다.

가설 설정

  •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의 가치는 1) 도서관 업무의 효율성을 가져다준다. 추천도서 제시, 자동화된 알고리즘으로 의사결정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정책의 선정 근거 확보 등으로 업무정책 방향 설정 등에 도움을 주어 업무시간을 절약하고 업무의 효율성에서 오는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다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란? 현재 우리는 정보화 시대를 넘어 다양한 데이터로 넘쳐나는 빅데이터 시대에 살고 있다. 빅데이터란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로, 기존의 기술 방식으로는 저장하기 어려운 큰 규모의 자료를 일컫는다. 과거의 H/W 중심에서, 현재의 S/W 중심을 거쳐 점점 데이터 중심의 환경으로 변화하고, 정보기술(IT)의 지속적인 발전과 스마트폰의 대중화, 사물인터넷(IoT)의 발달, 인공지능의 가시화 등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대하고 있다.
도서관 빅데이터의 두 가지 핵심가치는? 도서관 빅데이터는 도서관 업무의 효율성과 이용자의 정보서비스 만족도 향상이라는 두 가지 핵심가치를 두고, 사서들이 만들어내는 원시데이터, 이용자 정보요구 행태에 기초한 이용자데이터, 소장 콘텐츠, 외부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여 업무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신뢰성과 정확성을 담보로 한 양질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만족할 때 도서관 빅데이터의 가치가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도서관리시스템인 KOLAS나 ILUS 등이 제공해주는 정보는 무엇인가? 현재 공공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리시스템인 KOLAS나 ILUS 등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오고 있다. 이 시스템들은 회원 수, 대출이용자 수, 자료실별 소장자료 수, 주제별 장서 수, 대출건 수 등을 위한 일일통계, 매월 말 통계, 연도별 통계와 같은 단순통계를 제공한다. 하지만, 조회 조건이나 조합할 수 있는 내용이 단순하기 때문에 도서대출 현황 분석, 이용자 대출 분석 및 장서 분석과 같은 고급 분석은 조회된 수치에 대해 수작업으로 자료를 만들어 사용하며 그래프나 도표의 경우 별도로 공을 들여 작업해야 하는 등 통계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Seo (2013). Focusing on the KAIST library web log analysis system. Korea Special Library Association(KSLA) Bulletin, 5, 45-52. 

  2. Kim, Sun Tae (2013). Big data era: Challenging role of library as an librarian. Korea Special Library Association(KSLA) Bulletin, 5, 36-44. 

  3. Kim, Ywan Jong (2016. 11). Analysis and meaning of big data in public libraries - Focusing on the collection recommender algorithm. Proceeding of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67-86. 

  4. Kim, Tae-Young, Baek, Ji-Yeon, & Oh, Hyo Jung (2018). An analysis of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357-388. http://dx.doi.org/10.16981/kliss.49.201806.357 

  5. Shim, WonSik, Bae, Kyung-Jae, Park, Heejin, Suh, Yoo Jin, Ahn, Hye-Yeon, & Suh, Kyu-Won (2015). Big data as library contents and the rol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6. Lee, Su Sang. (2014). Library and big data analysis. KLA Journal, 55(8), 14-25. 

  7. Lee, Won Sang (2014). Big data platform in academia and its implementing strategy. Digital Libraries, 74, 25-35. 

  8. Lee, Jeong-Mee (2013). Understanding big data and utilizing its analysis in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53-7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3.24.4.053 

  9. Lee, Hye Jin, Kim, Wan Jon, & Kim, Hyesun (2015). Big data platform implementation and service plans in libraries: Focus on the "study on big data analysis and adoption in library". Digital Libraries, 79, 3-14. 

  10. Cho, Young Im (2013). Understanding big data and its main issu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6(3), 31-52. https://doi.org/10.22896/karis.2013.16.3.002 

  11. Pyo, Soon Hee (2015. 5). Economical value of big data services for public library. Proceeding of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Biblia, 7-28. 

  12. Pyo, Soon Hee, Kim, Yun Hyung, Kim, Hye Sun, & Kim, Wan Jong (2015).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53-8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063 

  13. Han, Jong-Hee, Kwon, Sang-Il, Kim, Hyun-Sook, Suh, Young-Joo, & Kim, Nam-Gyu (2014). Legislative information support research project report: A proposal for thesis and dissertation contents enhancement using big data analysis in national assembly library. Seoul: National Assembly Librar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