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on the Education of Library Space Planning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3, 2020년, pp.51 - 77  

박혜진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최만호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와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의 방향과 개선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은 공간기획 실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공간기획 과정에서 사서의 참여는 이용자 및 전문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도서관 규모와 예산에 따라 계획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공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사서의 공간실무 참여와 필요성은 강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서관 운영과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imed at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 related to library space planning by carrying out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es related to the education related to library space planning and supporting libraries in charge of library space planning through the result ...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수경과 김준경(2015)은 이용자의 요구변화 및 사회 역할 변화적 측면에서 어린이도서관 개념에 부응할 수 있도록 건축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공간의 가시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용자의 동선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건축계획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기능별 프로그램 진행과 효과적 공간 사용을 위하여 건축계획 시 공간별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둘째,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항목은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추진과제와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변화 및 사회적 역할변화에 주목하고, 신규 도서관 건립과 리모델링을 경험할 사서를 위하여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을 도출하고, 도출한 내용을 통해 교육 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서가 도서관 공간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건물 사용자 및 이용자서비스를 담당하는 관리자로서 도서관 설계와 리모델링 실무에 의견을 전달하여, 도서관공간기획 실무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또한 조사·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 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각 항목과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 필요성과의 상관관계,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 집단간 차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조사·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 공간 관련 실무, 사서가 갖추어야 할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공간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를 지원하기 위하여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를 통해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요인, 도서관 공간 관련 실무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과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 과의 상관관계·영향력·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 필요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 조사를 통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교과내용을 도출하고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와 관련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기획의 교육에 대한 사서 대상 인식 조사를 통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기반으로 교과내용을 도출하고,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도서관공간기획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에게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절에서는 연구질문에 제시되었던 질문을 중심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을 도출하고, 도출한 내용을 통해 교육 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서가 도서관 공간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건물 사용자 및 이용자서비스를 담당하는 관리자로서 도서관 설계와 리모델링 실무에 의견을 전달하여, 도서관공간기획 실무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공간구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로 이용자의 요구나 이용행태에 따른 공간구성 관련 연구와 사회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공공도서관 기능 변화와 복합화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용자의 요구 및 이용행태에 따른 도서관 공간구성 관련 연구로, 정리현 등(2019)은 코엑스몰 활성화의 원동력이 문화공간으로서의 별마당 도서관의 공간 구성과 특징에 있다고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결과분석을 통하여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를 지원하며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입증하기 위해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했다. 이를 위해 측정변수들의 평가차원 내에서 항목간의 내적 일관성을 의미하는 수렴 타당성과 차원간의 독립성을 의미하는 판별타당성으로 나누어 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기획의 교육에 대한 사서 대상 인식 조사를 통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기반으로 교과내용을 도출하고,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도서관공간기획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에게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절에서는 연구질문에 제시되었던 질문을 중심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위의 선행연구들은 공통적으로 도서관의 공간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 왜 필요한 지를 보여주었으며,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과 관련된 사서인식조사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분석을 통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실무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추진과제와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변화 및 사회적 역할변화에 주목하고, 신규 도서관 건립과 리모델링을 경험할 사서를 위하여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을 도출하고, 도출한 내용을 통해 교육 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정부는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9~2023년)을 기반으로 2023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1년에 약 71개관)을 신규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노후화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리모델링을 지원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 공간 혁신 지원을 위한 도서관 건립위원회를 구성 및 운영하고, 도서관 건립 사전 평가제를 도입하여 도서관 건립과 리모델링 시 반영할 새로운 방향성도 제시할 계획이다.
  • 첫째,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 도서관공간기획 교과내용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은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 첫째, 도서관환경분석에서는 도서관공간론, 실내건축환경, 융복합공간디자인과 같은 교과내용을 통해 도서관 공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도서관공간기획 교육 운영 시위 교과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면 사서의 공간기획 실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도서관공간기획 과정에 사서의 참여와 이용자의 요구, 전문가와의 소통의 중요성이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복합화 된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위해서는 사서의 참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이용자중심의 공간기획, 도서관 내 실별 담당자의 의견 반영은 중요하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의 목적과 계획은 무엇인가? 이에 정부는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9~2023년)을 기반으로 2023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1년에 약 71개관)을 신규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노후화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리모델링을 지원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 공간 혁신 지원을 위한 도서관 건립위원회를 구성 및 운영하고, 도서관 건립 사전 평가제를 도입하여 도서관 건립과 리모델링 시 반영할 새로운 방향성도 제시할 계획이다.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도가 높아지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오늘날 문헌과 정보의 기록 및 이용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요즘 도서관계에서 중요한 과제는 신규도서관 설립 확대, 인테리어나 구조 변경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리모델링이다. 도서관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 이용자 요구의 다변화, 타 공공서비스와 함께 복합적인 문화공유의 공간이 되었다. 이에 따라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도는 자연스레 높아지게 되었다.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도서관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정보기술의 발전은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만들었고,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더욱 복합적이고 중요하게 만들었다. 특히,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의 본래 기능인 자료수집과 보존, 열람 서비스 외에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지역주민들의 문화와 교육, 여가활동 지원 등 이용자들의 문화생활 보장기능까지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 Jae-Min. 2018. "Space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in Response to Future Social Needs."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85-123. 

  2. Kwak, Seung-Jin, Younghee Noh, and Jae-Min Shin. 2017.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u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3): 7-25. 

  3. National Library Statics System. [online]. [cited 2020.2.6]. . 

  4. Kim, Min-kyung. 2017.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Library following Change in Using Trend - Focused on the Local Public Library."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15(4): 253-263. 

  5. Kim, Yeon-Young, Beung-Jung Kwak, Hyun Ma, and Yeon-Sook Hwang. 2013. "A Study on Space Organization of the Reading Room in a Children's Librar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1): 161-164. 

  6. Kim, Hyeon-O, Min-Woo Kang, and Yong-Seung Kim. 2018. "A Review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Public Libraries in the Past Deca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8(2): 86-89. 

  7. Noh, Young-hee and Youngji Shin.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Based on the Self-Designed Major."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1): 5-31. 

  8. Noh, Young-hee and Man-Ho Choi. 2016. Understanding Library Space Composition. Seoul: Chungram. 

  9. Rho, Jee-Hyun. 2012. "Toward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he Americ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27. 

  10. Ministry of Culture. 2019. Third Comprehensive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1. Park, Tae-Yeon, Hui-Jeong Han, Hyo-Jung Oh, and Dongmin Yang. 2018. "A Study on the Librarians Key Tasks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327-356. 

  12. Song, Seung-Eon and Seok-Tae Kim. 2011. "A Study on the Prescribing and Editing of Thesis i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3(3): 163-167. 

  13. Ahn, In-ja and Miyoung Park. 2011.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Programs and Improvement Methods Analyzed from Case Studies."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279-301. 

  14. Oh, Chan-Ohk. 2008. "A Study on Intelligent Space Design Supporting the Elderly - Focused on the Needs of the Aged on Digital Systems in Residential Spa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7(5): 61-71. 

  15. Ryu, Byeong-Jang. 2009. A Study on Librarians Participation Influencing Construction of a Public Library. Ph. D. diss., Kyonggi University. 

  16. Lee, Soo-kyung and Jun-kyung Kim. 2015.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Children's Library-Focused on Visibility Graph Analysis and Analysis of user's behavior on Functional Spaces."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13(1): 199-210. 

  17. Lee, Sook-Hyeun. 2007.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Librarians. M.A. thesis, Yonsei University. 

  18. Lee, Eun-Ju.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taloging?Classificatio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of Librarians as Change of Information Environment. M.A.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 Lee, Hwa Seong and Yong Seung Kim. 2017.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by the User."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7(2): 54-54. 

  20. Lim, Yeo-joo. 2018. "A Study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Libraries and Local Organizations: Focusing on Multicultur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299-324. 

  21. Jang, Woo-Seok and Kwang-Ho Son. 2011. "A Study on the Trend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Mix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 199-207. 

  22. Jung, Rih-yun, Soyoung Ahn, Kyungrok Kim, and HyeUk Chung. 2019. "The Effect of New Spatial Configuration of Byulmadang Library."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25. 

  23. Cho, Woo-rie and Choon-Woong Choi. 2016. "Research on Changes in Space Composition Elements Based on Functions of Korean Public Libr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4-285. 

  24. Cha, Mik-Yeong. 2006. "A Study on the Library Space in the Emerging Ubiquitous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1): 325-343. 

  25. Hwang, Ok-Gyung. 2006.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173-190. 

  26. Jochumsen, Henrik, Casper Hvenegaard Rasmussen, and Dorte Skot-Hansen. 2010. A New Model for the Public Library i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ociety. Denmark: University of Copenhagen 

  27. Nunnally, Jum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 Hill. 

  28. Teng, Teng. 2018. 커뮤니티 도서관의 사용자 중심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3): 62-70. 

  29. Ven, AH van de and Diane L. Ferry.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