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3, 2020년, pp.101 - 124  

신은자 (세종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 S is a policy that mandates research papers supported by specific funders such as the European Community be published in open access journals. The funder supports APC to researchers, providing a chance to advance the era of gold open access, and is expect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 s...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픈액세스란? 결과적으로 도서관의 학술지 구독료 부담은 갈수록 증가하였고, 이를 완화시키거나 해결하는 방안으로 오픈액세스(Open Access)가 떠오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오픈액세스는 학술논문을 무료로, 이용의 제약 없이, 전자 형태로 배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2001년 부다페스트 오픈액세스 이니셔티브(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BOAI)를 시작으로, 2003년 베데스다 선언과 베를린 선언 등이 잇달아 나왔고, 이를 계기로 오픈액세스 운동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부다페스트 오픈액세스 이니셔티브 이후 실제 영향은? 실제 BOAI 이후 이용 가능한 학술논문은 증가하였고, 특히 저소득 국가 연구자에게 오픈액세스는 연구에 필요한 원문을 수집하는 중요한 채널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가 인용하는 논문은 여전히 구독제 학술지 논문이 대부분이라는 지적도 있다(Tennant et al.
오픈액세스의 확산이 도서관의 학술지 구독료 부담을 경함시켰는지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가 있는 이유는? 오픈액세스의 확산이 도서관의 학술지 구독료 부담을 확실히 경감시켰는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 학술지 구독료 특히 상업적인 학술지 구독료는 여전히 높고, 오픈액세스 학술지라 하더라도 저자를 대신하여 오픈액세스 출판료인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도서관에서 부담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Gyuhwan. 2016. "An OA Policy Study on Research Outcomes Funded by Public Institution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37-353. 

  2. Kim, Soon. 2019. "Research Support Service of Library for the Open Science Era." In 2019 OAK Conference, 53-65. 

  3. Kim, Hwan Min. 2018. "Survey on Perception of Korean Researchers Regarding Open Access Publishing."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3-189. 

  4. Kim, Hwan Min. 2019. "A Case Study of Flipped Journals: From Subscription to Open Access." In Proceedings of the 2nd KESLI Seminar for Open Knowledge, 1-24. 

  5. Seo, Tae-sul, Hye-Sun Kim, Dong-Hoon Choi, Mi-Hwan Hyun, and Youngim Jung. 2019. Trends and Strategies for Open Access Scholarly Publishing. Daejeon: KISTI Research Report 2018KRR003. 

  6. Oh, Sunhye and Seing-Jin Kwak. 2020. "A Study on the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the University Library based on the Research Life Cycl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4(2): 155-178. 

  7. Lee, J. Y. 2019.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Academic Society for OA Publishing." In 2019 OAK Conference, 5-28. 

  8. Ihm, Sahng Hyeog. 2017. "The Open Access and Copyrights Transfer of Articles of Journals: Focus on the Policy of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Korean Journal of Law & Society, 55(2): 235-268. 

  9. Chae, Jong Il. 2019. "A Study on the Issues of Open Access and Copyright Law in Academic Papers." Law Review, 60(1): 319-359. 

  10. Choi, Seon-Heui and Hye-Sun Kim. 2018. "Policy Development: Top Priority in Activating Open Access." KISTI Issue Brief, 2: 1-12.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8. Establishment of Scholarly Information Sharing System. Daejeon: KISTI Research Report K-18-ID-1102-R. 

  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20. Overview and Service Description of KOAR. [online]. [cited 2020.7.10]. . 

  13. Korean Associ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2019. Directory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including Curriculum). Seoul: KALISP. 

  14.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20. Started Full and Immediate OAs by Linking KCI sites with Korean University Libraries: NRF and KCLA signed MOU. [online]. [cited 2020.7.10]. . 

  15. Brainard, J. 2019. "Scientific Societies Worry about Threat from Plan S." Science, 363(6425): 332-333. 

  16. Dal-Re, R. 2019. "Plan S: Funders are Committed to Open Access to Scientific Publicatio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49(6): 1-4. 

  17. Debat, H. and D. Babini. 2019. "Plan S in Latin America: A Precautionary Note." PeerJ Preprints, 1-11. 

  18. Dempsey, L. 2017. "Library Collections in the Life of the User: Two Directions." Liber Quarterly, 26(4): 338-359. 

  19. Frantsvag, J. E. and T. E. Stromme. 2019. "Few Open Access Journals are Compliant with Plan S." Publications, 7(2): 1-18. 

  20. Guzik, T. J. and A. Ahluwalia. 2019. "Plan S: in Service or Disservice to Society?" European Heart Journal, 40(12): 949-959. 

  21. Haug, C. J. 2019. "No Free Lunch-What Price Plan S for Scientific Publishing?"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0(12): 1181-1185. 

  22. Huh, S. 2019. "Journal Statistics, Coping Strategy with Upcoming Scholarly Journal Publishing Environment Including Plan-S, and Appreciation for Reviewers and Volunteer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16: 1-4. 

  23. Kim, K. 2020. "Plan S." Science Editing, 7(1): 78-79. 

  24. McNutt, M. 2019. "Opinion: "Plan S" Falls Short for Society Publishers-and for the Researchers They Serv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6(7): 2400-2403. 

  25. Mering, M. 2020. "Open Access Mandates and Policies: The Basics." Serials Review, 46(2): 1-3. 

  26. Moore, S. A. 2019. "Revisiting "the 1990s Debutante": Scholar-led Publishing and the Prehistory of the Open Access Movement."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71(7): 856-866. 

  27. Oberlander, A. and T. Reimer. 2019. "Open Access and the Library." Publications, 7(3): 1-3. 

  28. Revez, J. 2018. "Opening the Heart of Science: a Review of the Changing Roles of Research Libraries." Publications, 6(1): 1-13. 

  29. Schiltz, M. 2018. "Science without Publication Paywalls: cOAlition S for the Realisation of Full and Immediate Open Access." PLoS Medicine, 15(9): 1-4. 

  30. Tennant, J. P., F. Waldner, D. C. Jacques, P. Masuzzo, L. B. Collister, and C. H. Hartgerink. 2016. "The Academic, Economic and Societal Impacts of Open Access: an Evidence-based Review." F1000Research, 5: 1-54. 

  31. Wise, A. and L. Estelle. 2020. "How Society Publishers Can Accelerate Their Transition to Open Access and Align with Plan S." Learned Publishing, 33(1): 1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