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eading Aids Devic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3, 2020년, pp.191 - 211  

황신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의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정보접근에서 발생하는 한계와 문제점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 분석 결과를 통해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의 제한요인을 여섯 가지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제한요인을 중심으로 독서보조기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정책적,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저가의 독서보조기기 개발, 독서보조기기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 제고, 독서보조기기 적용성 향상을 위한 웹 표준 지침 준수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운영적 측면에서는 시각 이외에 청각 활용 기능의 보강, 독서보조기기 활용 관련 정보서비스 확충, 독서보조기기의 휴대성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roblems in access to information using reading aids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use of alternative materials using reading aids devi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서보조기기 이용의 제한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 시각장애인복지관, 장애학생지원센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및 각 지역 지회, 기타 시각장애인 학생회 등을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이와 함께, 장애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항목을 구성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지닌 장애의 유형 및 정도를 분석하고, 독서보조기기의 이용 및 독서보조기기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독서보조기기 이용 저해요인을 파악하여 주된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당 문제점에 대한 응답자들의 개선 의견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의 독서보조기기 이용성, 활용성, 인식도, 만족도 등을 확인하여 현재 독서보조기기를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제한 요인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성인 시각장애인 192명을 대상으로 독서보조기기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또한 시각장애인의 장애 특성으로 인해 시각장애인들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과 관련한 실증적인 연구는 수행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독서보조기기 이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독서보조기기와 관련한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 과는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장애 유형 가운데 시각장애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인들이 독서보조기기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의 제한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를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독서보조기기의 이용과 관련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현재의 독서보조기기의 문제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문항목은 총 5개 카테고리의 1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 통계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항목을 구성하여 성별, 나이, 직업, 최종학력 등의 기본적인 사항들이 독서보조기기 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입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장애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항목을 구성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지닌 장애의 유형 및 정도를 분석하고, 독서보조기기의 이용 및 독서보조기기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각 장애인들의 독서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서보 조기기의 이용 현황을 고찰하고,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현재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에 있어서 시각장애인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실증적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거시적으로는 정책적 측면, 미시적으로는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장애 유형 가운데 시각장애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인들이 독서보조기기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의 제한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를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독서보조기기의 이용과 관련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현재의 독서보조기기의 문제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부터 분석·도출한 내용에 기반하여, 독서보조기기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정책적,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독서보조기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독서보조기기의 기능 개선사항, 독서보조기기로 이용 가능한 콘텐츠, 시각장애 유형에 따른 기능 등의 제반 사항을 포함하여 독서보조기기 이용에서의 제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각 장애인들의 독서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서보 조기기의 이용 현황을 고찰하고,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현재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에 있어서 시각장애인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실증적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현행 독서보조기기의 사용과 관련하여 독서보조기기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부분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참조).
  •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 통계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항목을 구성하여 성별, 나이, 직업, 최종학력 등의 기본적인 사항들이 독서보조기기 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입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장애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항목을 구성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지닌 장애의 유형 및 정도를 분석하고, 독서보조기기의 이용 및 독서보조기기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독서보조기기 이용 저해요인을 파악하여 주된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당 문제점에 대한 응답자들의 개선 의견을 파악하고자 한다.
  • 하지만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체자료의 이용 비율은 시각장애인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접근성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양한 대체자료 및 독서보조기기의 마련이 시급한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기기의 발전 및 보급은 장애인에게 어떤 환경을 조성해왔는가? 진화하는 정보기술이 대체자료 및 독서보조기기의 제작에 접목되면서,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어 온 장애인 정보접근성의 시간적, 비용적 한계는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의 발전 및 보급은 장애인, 특히 시각장애인들이 이전보다 많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왔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여전히 정보 접근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검색 하는데 있어서의 한계로 인해 정보 소외의 문제를 겪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여전히 정보 접근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여전히 정보 접근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검색 하는데 있어서의 한계로 인해 정보 소외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대두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대체자료와 독서보조기기의 제작에 있어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은 출판사의 납본, 장애인도서관의 제작 과정을 통해 전자파일 형태로 생성된 대체자료를 이용해서 독서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과정은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기 활용의 어려움, 접근성 문제 등이 독서활동 및 정보접근에서의 어려움으로 직결되고 있다. 이외에도 대체자료의 양적 부족과 적시성의 문제, 그리고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해 대체자료를 가독하는 과정 등은 시각장애인들의 정보 이용에 있어 여전히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 유형별 인구 분포는 어떻게 되는가? 2018년 기준, 국내에 등록된 시각장애인의 수는 약 25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13억 명이 시각장애를 지닌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18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장애 유형별 인구 분포는 지체 장애 2,585,876명, 시각장애 252,957명, 청각 장애 342,582명, 언어장애 20,744명, 지적장애 206,917명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접근성의 측면에서 보면, 시각장애는 다른 유형의 장애에 비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상당히 많은 제약이 있으며, 따라서 대부분의 장애인 대체자료들은 시각을 위주로 구성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2018. 2018 Survey on Reading Activities of the Disabled. Seoul: Department of Cooperation,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2. Kim, Jung-Sim, Young-Joon Nam, and Man-Deok Seo. 2015. "A Study on the Needs of the Print-Disabled for Utilization of the Electronic Publication: Focused on the Visually Disabled and the Dea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75-97. 

  3. Nam, Hyung Doo. 2015. "The Significance of Marrakesh Treaty and its Implication to Korea: The Confirmation of Superiority of Human Rights over Copyright." Justice, 146(1): 391-422. 

  4. Bak, Seong Eui.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User of Accessible Materials among Persons with Visual/Hearing Impairment. M.A.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5. Park, Yeon Ju and Kyung Hee Ha. 2014.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the Use of Alternative Data o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iency in the Blind."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8(4): 75-93. 

  6. Park, Yeonju. 2014. "Analysis fo the Precedents Related with Child Abuse to Protect Rights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6(2): 31-49. 

  7. Ahn, In-Ja. 2012. "Improving Strategy of Reading Culture for Printed Disabled People in the Library."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3(1): 187-212. 

  8. Oh, Seonkyung.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the Production State of Alternative Materials of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3): 215-246. 

  9. Lee, Hae Kyun, Sung Ae Kim, and Jung Hyun Kim.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Reading)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Reading and Library Utilization by the Disabled."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8(3): 619-643. 

  10. Jang, Won-Hong and Sam Gyun Oh. 2015. "Designing and Evaluating an Audiobook Service Model on Android Platform for the Visually-Impaired."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221-236. 

  11. Jeon, Young-Hwan, Hye-Kyung Lee, and Jin-Hyun Lee. 2015. Development of Appropriateness Evaluation Tools for the Use of Auxiliary Engineering Equipment. Seoul: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12. Jung, Seung Min, So Hee Sohn, and Dong A Kim. 2019.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Products for Assistive Devices for the Blind." In Proceedings of the HCI Society of Korea, 2019(2): 999-1001. 

  13. Choi, Mina. 2011. A Survey on Needs and Demands for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Daegu City. M.A. thesis.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14.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08. Surveys & Statistics 2018. Kyoungki: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15. Korea Copyright Commission. 2015. Ratification of the Marrakesh Treaty. Seoul: Korea Copyright Commission. 

  16. Beal, Carole R. and L. Penny. Rosenblum. 2018.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Tablet Computer Application (App) in Help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Solve Mathematics Problem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12(1): 5-19. 

  17.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1999. Statement on Libraries and Intellectual Freedom. [online]. [cited 2020.8.10]. . 

  18. Irvall, Birgitta and Gyda Skat Nielsen. 2005.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hecklist. IFLA Professional Reports 89. [online]. [cited 2020.8.9]. . 

  19. Niran, Adetoro. 2015.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Librar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Nigeria: Alternative Format Use and Perception of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3(1): 40-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