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의 화재모의훈련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fire response ability : Focusing on the fire simulation training of business faci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191 - 198  

김봉준 (한세대학교 스마트시티안전융합과) ,  류구환 (한세대학교 스마트시티안전융합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3개의 업무시설물을 대상으로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교보재의 활용 여부와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의 훈련평가 반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훈련 참여자들의 대응자세 및 대응능력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다수의 훈련 참가자들은 훈련 교보재 활용과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이 훈련평가에 반영될 때 훈련 참여도, 대응자세 및 대응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할 경우 훈련 참여자들의 화재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대피) 향상과 유지를 위해 화재발생 상황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훈련 교보재를 다수 활용하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fire simulation training to improve fire response capability, fire simulation training is conducted for three business facilities, and changes according to whether training materials are used and whether the response time for each response s...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훈련 결과를 비교, 검토 및 분석하여 화재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제 업무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고 각종 화재훈련용 교보재를 활용하여 실제 화재발생 초기상황과 유사한 훈련 환경의 구현 여부,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이 훈련평가에 반영된다는 공지 여부, 피난 실패자의 별도 선별 여부 등의 이벤트 유무에 따라 변화하는 훈련 참여자의 대응자세 등을 관찰 및 분석한다.
  • 따라서 실제 화재발생 상황을 구현하여 화재대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화재모의훈련용 교보재의 개발과 실질적인 화재모의훈련을 통해 참가자들의 화재대응 측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방식을 사용하여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화재대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화재모의훈련용 교보재와 화재대응(화재인지 및 통보, 화재 초기소화, 대피)측면의 정량적인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3개의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교보재의 활용 여부와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의 훈련평가에 반영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훈련 참가자들의 화재대응능력을 정량적인 평가지표로 비교, 분석하여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모의훈련을 통해 화재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3개의 건물을 대상으로 각종 화재모의훈련용 교보재 및 이벤트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훈련 실제 상황과 유사한 훈련환경의 구현, 모의훈련 전 화재안전체험교육실시, 사전 허용피난 시간의 공지 등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도 및 관심도, 화재대응 자세가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 적용 기준의 “시나리오 3”(참고문헌 [16])과 동일하게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지만, 잠재적으로 많은 재실자에게 위험이 되는 상황을 가상하여 적용하였으며, 대략적인 내용은 Table 4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 모의 훈련계획 시에, 무엇을 설정해야 화재 대응 능력이 향상되었는가? 분석결과 훈련 실제 상황과 유사한 훈련환경의 구현, 모의훈련 전 화재안전체험교육실시, 사전 허용피난 시간의 공지 등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도 및 관심도, 화재대응 자세가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훈련계획 시에는 훈련 참여자들의 초기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화재 대피) 향상과 유지에 훈련목표를 두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해야 화재대응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성적인 훈련평가보다는 건물 현황 및 수용 인원에 맞도록 훈련 평가기준을 설정한 후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실시하여야만 향후 훈련 피드백 및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어떤 두 단계의 계획으로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훈련 결과를 비교, 검토 및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는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훈련 결과를 비교, 검토 및 분석하여 화재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제 업무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화재모의훈련을 실시하고 각종 화재훈련용 교보재를 활용하여 실제 화재발생 초기상황과 유사한 훈련 환경의 구현 여부, 대응단계별 대응시간이 훈련평가에 반영된다는 공지 여부, 피난 실패자의 별도 선별 여부 등의 이벤트 유무에 따라 변화하는 훈련 참여자의 대응자세 등을 관찰 및 분석한다. 둘째, 기존의 정성적인 훈련평가에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훈련 참여자들의 화재인지ㆍ통보시간, 초기 화재소화시간, 대피완료시간(옥외 지상까지 대피하는데 소요되는 피난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화재모의훈련 평가에 반영하여 화재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화재사고로부터 고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방지하고자 우리나라 정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10년~2019년) 화재발생 추이(참고문헌 [1])를 보면 연간 평균 화재 건수는 약 42,630건, 인명피해는 2,175명(사망 302명, 부상 1,873명), 재산피해는 약 4,37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화재사고로부터 고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방지하고자 정부에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6조, 동법 시행규칙 제15조”에 의거, 특정소방대상물은 년 1회 이상 소방훈련과 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실시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50만원 이상(2차 위반 100만원, 3차 위반 200만원)이 부과된다. 현재 대다수의 건물에서 실시하는 소방훈련은 법을 지키기 위한 형식적인 훈련에 불과하며, 진행자의 시나리오에 의한 보여주기식의 절차훈련으로 실제 화재 상황과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단순 소화기 사용훈련과 대피훈련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있어 화재 등의 재난 상황시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resentation material of the department of fire-fighting research of Ministry of National Safety Protection. (2019). Fire Outbreak Status Analysis Results 

  2. J. O. Kim & W. S. Song, (2018). A Study on the Public Fir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Reduction of Large Scale Fire Damage & Casualt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018(1), .233-234. 

  3. D. S. Baek, H. K. Kim & J. A. Son, S. C. Lee, (2015). A Study on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Fire Evacuation Training in 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018(2), 211-212. 

  4. D. J. Kim, D. H. Kim & D. W. Lee, (2019).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aster Response Exercise on Exercise Participants (Focused on Manufacturing . Korean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Vol.12 No.1(2019). pp.35-44. 

  5. S. I. Kim, J. W. Lim & J. K. Kim, J. W. Kim, (2018).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for Unexpected Scenarios Fire-Fighting Dril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32(2), 110-117. 

  6. W. S. Song, J. O. Kim & M. O. Yooni.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Fire Safety Education & Training Facil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30(1), .291-292. 

  7. A. R. Kim & E. K. Hwang. (2014). A study on the analysis of supply of Fire evacuation experiments.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e, 34(2), 2(2014). pp.157-158. 

  8. B. S. No. D. H. Cho & C. S. Park, J. Y. Choi, (2016).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Evacuation Time by Escape Training - A Case Study of Ship.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Society, 2016 1(2016). 56-62. 

  9. J. S. You & Y. J. Chung. (2015). Study on the Ship Fire Analysis According to Explosion Hazar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9(1), .80-86. 

  10. J. Y. Kim & Y. H. Jeon, (2015). The Case Analysis through Fire Simulation FDS and Evacuation Simulation Pathfinde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10(6), 253-260. 

  11. C. H. Choi, S. Y. Joo & J. J. Lee, (2009). An Evaluation on Evacuation Safety in Multiplex Cinema Based on Fire & Evacuation Simulation. Journal of KIAEBS, 1(1), .7-13. 

  12. J. O. Jung, (2003). A Study on Landmarks and Way-finding in Fire Emergency Spaces using Virtual Real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7 , 121-129. 

  13. A. R. Kim & E. K. Kyoung. (2014). A study on the analysis of supply of Fire evacuation experim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4(2),. 157-158, 

  14. D. H. Kim,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of Based on the Run Simulation Training for Strengthening U-City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Doctoral Thesis, Hansei National University 

  15. S. R. Lee & K. H. Youk. (2009). A Study on Fire Behavior of Combustibles in a Residential Build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3(4), 25-31. 

  16. National fire agency Notice. (2011). Function centered design method and standard of fire-fighting facility etc.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