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Clinical Fieldwork in Occupational Therap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433 - 440  

차수민 (춘해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RISS, KISS, Google Scholar,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Occupational Therapy" AND "Clinical Fieldwork"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연구 8편(100.0%) 모두가 Level IV(조사연구)에 해당하여 질적 수준이 낮은 편이었다. 또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가 6편(75.0%)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업치료 전공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75.0%)으로 가장 많았다. 주요 주제는 임상실습만족도가 4편(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임상실습교육체계와 임상실습에 따른 변화가 각각 2편(25.0%)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향후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확립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clinical fieldwork in occupational therapy. From 2000 to 2019, papers registered in the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databases were searched. The search 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년대 초반에 비해 현재 작업치료 개설 학과 수와 그에 따른 실습 학생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교육기관과 임상실습교육을 실시하는 실습기관의 환경 또한 많이 달라졌으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2010년 이후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상적인 임상실습 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포괄적인 문헌 검색방법으로 분석대상 연구를 선정하고,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과정을 통해 연구결과를 종합하기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포괄적인 문헌 검색방법으로 분석대상 연구를 선정하고,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과정을 통해 연구결과를 종합하기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정책 수립 등 향후 이상적인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정책 수립 등 향후 이상적인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사에게는 무엇이 요구되는가?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정신적, 발달적, 정서적 기능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별 또는 그룹으로 치료함으로써 일상생활과 직업 또는 놀이 환경 내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능력 향상을 돕는 전문직이다[1]. 작업치료사에게는 바른 인성과 직업에 대한 투철한 소명의식, 높은 수준의 전공지식과 효과적인 치료능력 등이 요구된다[2].
작업치료 실습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어떤 역량을 향상시키는가? 작업치료 실습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해볼 수 있는 통합교육과정으로 초임 작업치료사로서의 전문적 역량을 갖추기 위한 과정이다[3-6].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론적 지식과 실기 수행능력을 하나로 통합하고 현장 실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생들이 임상실습교육을 통한 경험에 따라 진로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7],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8].
작업치료사란 무엇인가?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정신적, 발달적, 정서적 기능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별 또는 그룹으로 치료함으로써 일상생활과 직업 또는 놀이 환경 내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능력 향상을 돕는 전문직이다[1]. 작업치료사에게는 바른 인성과 직업에 대한 투철한 소명의식, 높은 수준의 전공지식과 효과적인 치료능력 등이 요구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 Saboins-Chafee & S. M. Hussey. (1998).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therapy(2nd ed), St. Louis, MO : Mosby. 

  2. H. S. Lee. (2007). The Intervention Effects That Lead a Community-Based Strok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the Participating Student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2), 105-115. 

  3. K. M. Kim, K. Y. Chang, H. S. Lee, M. Y. Chang, H. Kim & E. K. Hong. (2017).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4), 87-100. DOI: 10.14519/jksot.2017.25.4.07 

  4. K. Davies, M. Curtin & K. Robson. (2017). Impact of an international workplace learning placement on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64, 121-128. DOI: 10.1111/1440-1630.12338 

  5. P. Kirke, N. Layton & J. Sim. (2007). Informing fieldwork design: Key elements to quality in fieldwork education for undergraduat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4, S13-S22. DOI: 1111/j.1440-1630.2007.00696.x 

  6.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16). Revised minimum standards for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https://www.wfot.org/resources/new-minimum-standards-for-the-education-of-occupational-therapists-2016-e-copy 

  7. N. H. Kim. (2007). Pre-Service EFL Teachers' Field Training Experiences and Changes in their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s. Master'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8. J. S. Choi. (2005). Comparison of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by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4), 113-123. 

  9.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20). National institutes of higher education. https://www.kaot.org 

  10. S. H. Hwang, B. J. Jeon & J. S. Choi. (2011).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gosiwon life during field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3), 129-143. 

  1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2020).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Education Standards Certification Guideline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12. H. S. Lee, K. Y. Chang, H. S. Woo & Y. Y. Yoon. (2014). Preliminary Study of Clinical Training Standardiz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37-56. DOI: 10.14519/jksot.2014.22.3.04 

  13. E. S. Cohn & P. Crist (1995). Nationally speaking. Back to the future: New approaches to fieldwork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2), 103-106. 

  14. S. Presseller. (1983). Nationally speaking-Fieldwork education: The proving ground of the profess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7(3), 163-165. 

  15. P. A. Crist & R. G. Cooper. (1988). Nationally speaking--Evaluating clinical competence with the new fieldwork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2(12), 771-773. 

  16. L. D. Shalik. (1987). Cost-benefit analysis of level II fieldwork in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10), 638-645. 

  17. H. Shalik & L. D. Shalik. (1988). The occupational therapy level II fieldwork experince: Estimation of the fiscal benefi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2(3), 164-168. 

  18. J. R. Still. (1982). Mini-councils: A solution to fieldwork supervis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6(5), 328-332. 

  19. J. K. Kim, S. Y. Park, T. Y. Lee & D. H, Kang. (2004).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on the Clinical Fieldwork.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2(1), 69-82. 

  20. M. J. Lee, K. M. Kim, J. S. Lee, T. Y. Lee, D. H. Kang, K. S, Lee & E. Y. Yoo. (2004). The Current Fieldwork Affiliation Statu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2(2), 105-117. 

  21. M. O. Song. (2009). A Review of Studies for Clinical Fieldwork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ciences, 6(1), 103-111. 

  22. M. Arbesman, J. & Scheer, D. Lieberman.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23. H. S. Lee, J. S. Noh, J. J, Cha, S. R. Kim, S. K. Kim, S. G. Park, S. J. Sim, J. H. Lee & M. S. Chu. (2010). The Change of Awareness of Decision on Employment Through the Fieldwork f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1), 107-121. 

  24. I. S. Lee, Y. M, Lee & C. Jang. (2013). A Survey for Satisfaction Degree on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 in the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1(1), 45-59. DOI: 10.15268/ksim.2013.1.1.045 

  25. H. R. Lee, E. K. Hong & K. M. Kim. (2014).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hange and Experience During Clinical Fieldwork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35(1), 341-355. DOI: 10.15870/jsers.2014.03.53.1.341 

  26. K. M. Kim, K. Y. Chang, H. S. Lee, M. Y. Chang, H. Kim & E. K. Hong. (2017).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4), 87-100. DOI: 10.14519/jksot.2017.25.4.07 

  27. S. Y. Hong & E. K. Hong. (2017). The influence of Fieldwork on Major Skills Required in Clinical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6(4), 405-423. DOI: 10.23944/Jsers.2017.12.56.4.18 

  28. J. H. Kang, Y. O. Nam & M. H. Oh. (2019). A Focus Group Interview(FGI) on Experience During Clinical Fieldwork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4), 299-309. DOI: 10.21184/jkeia.2019.6.13.4.299 

  29. M. H. Young. (2019).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1), 167-173. DOI: 10.21184/jkeia.2019.1.13.1.167 

  30. M. E. Roberts, B. R. Hooper, W. H. Wood & R. M. King. (2015). An international systematic mapping review of fieldwork edu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Revue de mappage systematique internationale de la formation clinique en ergotherapi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82(2), 106-118. DOI: 10.1177/0008417414552187 

  31. C. A. Leonardelli & L. A. Caruso. (1986). Level I fieldwork: Issues and need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4), 258-264. 

  32. S. Brown, L. A. Caruso, V. C. Stoffel & J. J. McPherson. (1989). Development of a level I fieldwork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3(10), 677-682. 

  33. R. Ozelie. (2017). Occupational Therapy Level II Fieldwork Impact on Clinicians: A Preliminary Time Study.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32(1), 61-71. DOI: 10.1080/07380577.2017.1421800 

  34. E. L. Kemp. (2018). Differentiating Fieldwork Settings: Matching Student Characteristics to Demands.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32(3), 216-229. DOI: 10.1080/07380577.2018.14910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